“나주평야 범람원”, “서해안 리아스식 해안”, “데칸고원 목화”
현재 학교를 다니고 있는 학생들이든 이미 학교를 졸업한 성인들이든 지리 과목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위와 같이 각종 지형과 기후, 자원 등을 암기한 기억이 날 것이다. 또한 글자를 외우는 것을 넘어서 각종 지도와 기호 등의 이미지까지 외워야 했으니, 지리는 ‘외울 것’만 많은 지긋지긋한 과목이었을 것이다. 한국의 입시 위주의 교육, 국영수 중심의 교육은 지리 과목을 교과서와 교실 안에 가두어 버렸다. 그러나 그런 답답한 구조를 그저 지켜만 보기에는 지리가 가진 중요성이 너무 크다. 실제로 세계 각 나라들은 세계화, 환경문제, 다문화주의 등 21세기 주요 이슈를 가르치기 위해 지리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 책에는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공간 문제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한 글 21편이 실려 있다. 특히 개인적 차원의 문제보다는 국가적ㆍ지구적 차원에서 사회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거나 그럴 필요가 있는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어, 물리적 국경이 사라지고 전 세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지금 21세기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이 책은 일상생활과 지리 지식을 연결하는 것을 넘어선다.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는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저자들의 목소리를 숨기려 하지 않는다. 지리는 공간과 공간의 차이를 규명해 사회 구성원들 간의 이해와 소통의 폭을 넓히는 학문이다. 이 이해와 소통을 가로막아온 개발지상주의와 제국주의, 편견과 이기심을 예리하게 비판하면서 생태주의와 민주주의가 중심이 되고,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사라지며, 각 개인과 사회의 차이가 존중받는 세상을 이야기한다.
Contents
들어가며
1장 세계 속의 우리, 우리가 보는 세계
장벽을 걷어치워라
- '국경 없는 유럽'을 보며 무엇을 배울 것인가
대한민국 재발견 프로젝트
- 지리적 상상력에 미래가 있다
고추, 배 타고 한국 오다
- 아메리카 농작물의 전파와 음식 문화
커피, 세계를 마시다
- 커피의 확산과 다양한 커피 문화
개고기와 말고기
- 100년 전 조선 여행자들의 2가지 시선
만주 사람은 개 짖는 소리를 낸다고?
- 《북학의》를 통해 배우는 변화와 혁신
2장 차이를 존중하고 차별을 깨뜨리다
세계의 경찰, 그들의 정체
- 미국 자본의 약탈과 남아메리카의 저항
남과 북 구별 말고 잘 낳아 잘 기르자
- 인구라는 렌즈로 들여다보는 남북한 사회
국경 없는 마을에는 있고 서래 마을에는 없는 것
- 외국인 밀집 지역을 보는 이중적 시선
기아 사태가 즐겁다?
- 세계 식량 문제의 현황과 그 원인
같은 도시 속 2개의 공간
- 사회적 양극화와 공간의 분리
3장 인간과 환경의 공존을 꿈꾸며
필요한 운하와 필요 없는 운하
- 가적운하를 통해 보는 한반도대운하
전통 마을의 친환경 마인드
- 전통 마을의 환경친화적 입지와 구조
도시에 바람을 불러 웰빙을 꿈꾼다
- 바람 길과 도시 환경 문제
그 많던 명태는 다 어디로 갔을까?
- 기후 변화의 편익과 기회비용
10년이 안 돼도 강산은 변한다
- 인간이 만들어 낸 지형 변화
4장 우리의 공간을 줌-인!
아파트, 앉아라!
- 경관의 측면으로 바라본 아파트
‘어떤 나라'의 거리를 걷다 보면
- 사회주의 도시 평양을 통해 북한 사회 이해하기
서울을 사수하라
-행정수도 이전과 지역갈등
개천의 변신은 무죄?
- 청계천 개발과 지대 법칙
인동 장씨는 알아도 인동은 모르는 이유
- 행정구역의 변천과 지역성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