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의 불꽃 의열단

$19.44
SKU
978897443124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24 - Thu 01/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21 - Thu 01/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7/30
Pages/Weight/Size 140*210*30mm
ISBN 9788974431242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가장 두려워했던 독립운동단체, 조선의열단
의열단,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군)로 이어지는 ‘의열단’의 역사를 한눈에!
조선의열단 창단 100주년을 기념해 출간된 ‘의열단 이야기’

의열단을 빼놓고 항일 독립운동사를 이야기할 수 없다!
1919년 11월 10일, 중국 지린성에서 김원봉을 포함해 조선의 열혈청년 13명이 항일독립운동의 결사체 의열단(義烈團)을 창단한 지 올해로 100주년이다. ‘정의로운(義) 일을 맹렬히(烈) 실행하는 단체(團)’라는 뜻의 의열단. 의열단은 창단 때부터 ‘마땅히 죽여야 할 일곱 대상(7가살)’과 ‘다섯 가지 파괴 대상(5파괴)’을 정해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 ‘항일의 불꽃’이란 말이 어울릴 만큼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무장투쟁으로, 의열단은 일제강점기 내내 일제가 가장 두려워하고 증오한 항일단체, 독립운동단체였다. 창단 후부터 10년 동안 크고 작은 의열투쟁을 34번이나 일으켰다. 창단 단원들은 일제 군경과 밀정들에게 쫓기고, 수시로 황천길을 넘나들면서도 한 사람도 변절하거나 투항하지 않았다. 변화하는 세계정세에 맞춰 이후 의열단은 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군)의 핵심세력으로 독립투쟁을 이어갔다. 그러나 조선의용군이 충칭파(임시정부 측)와 옌안파로 나뉘면서 역사적 비극의 운명을 맞는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뒤 조국의 서울(충칭파)과 평양(옌안파)으로 나뉘어 귀국한 의열단원들은 남북 어디에서도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 채 잊히거나 소외당하거나 제거되었다. 이들에게 일제강점기가 ‘통분의 시대’였다면 해방 이후는 ‘통탄의 시대’였고, 지난 100년은 ‘통한의 100년’이었다. 그러나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비견할 만한 독립투쟁을 벌인 ‘항일의 불꽃’ 의열단을 빼놓고는 항일 독립운동사를 이야기할 수 없다.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서 의열단이 없었으면 많이 건조했을 것이다. 일제에게 깔보였을지도 모른다. 의열단은 민족혼을 잇고 침략자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겨레의 거룩한 독립투쟁단체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의열단은 단체보다 김원봉이라는 단장 한 사람에 더 주목되어 알려진 게 사실이다. 창립 단원과 나중에 참여한 유명·무명의 단원들은 대부분 망각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독립운동사 및 친일반민족사 연구가이자 대한민국 근현대 인물 연구의 권위자인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은 조선의열단 창단 100주년을 기념해 어느 한 사람의 역사가 아닌, 의열단 창단에서부터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군)로 이어지는 ‘의열단’의 역사를 들려준다. 이와 함께 의열단 창단 100주년을 맞아 의열단과 그 후계 단체들은 정명(正名)을 찾고 정당한 대접을 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일제의 간담을 서늘케 하고 국민에게 희망과 용기를 준 의열단

1장 의열義烈의 사력
1. 일제가 가장 두려워했던 항일단체, 조선의열단 / 2. 의를 위해 몸을 던진 지사들 / 3. 조국 해방 전쟁에 나선 단체들

2장 의열단을 창단하다
1. 배신자가 없었던 의열단 창립 단원 / 2. 김원봉, 의백義伯으로 선임되다 / 3. 일곱 부류의 암살 대상과 다섯 가지의 파괴 대상 / 4. 진보적인 의열단 강령 / 5. 폭탄 제조기술을 익혀 실전에 대비하다 / 6. 황상규와 김대지의 역할

3장 왜적을 타도하자
1. 실패로 끝난 첫 번째 거사 / 2. 박재혁, 부산경찰서장을 처단하다 / 3. 최수봉,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던지다 / 4. 김익상, 조선총독부에 폭탄을 던지다 / 5. 일본 육군대장 저격

4장 신채호, 「의열단선언」 짓다
1. 김원봉, 신채호를 찾아 베이징으로 / 2. 신채호의 「의열단선언」 / 3. 일제는 한민족 생존의 적이다 / 4. 강도정치에 타협하거나 기생하는 자는 우리의 적이다 / 5. 외교론·준비론 미몽을 버리고 민중직접혁명을 선언하노라 / 6. 양병 10만이 일 척의 작탄만 못하나니 / 7. 새로운 조선을 건설하자 / 8. 의열단 총회 열어 결의를 다지다 / 9. ‘불멸의 문헌’이라는 역사적 평가를 받다

5장 이어지는 의열투쟁
1. 박열, 일왕 부자 처단을 기도하다 / 2. 김상옥, 종로경찰서에 폭탄 던진 뒤 일경과 전투 / 3. 동양척식주식회사 폭파를 시도하다 / 4. 일제 정보자료에 나타난 의거 준비 과정 / 5. 김지섭, 일왕궁 입구에 폭탄을 던지다 / 6. 이인홍과 이기환, 밀정 김달하를 처단하다 / 7. 이종암 등의 군자금 모금 의거 / 8. 나석주,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식산은행에 폭탄 던지다 / 9. 이해명, ‘변절’한 박용만 처단

6장 의열단의 의기와 자료(사료)
1. 머리에는 민족주의, 가슴에는 아나키즘 / 2. ‘조선 독립에 모든 것 바친다’ / 3. ‘오직 자유를 위한 행동뿐이다’ / 4. 의열단의 ‘3·1 혁명 10주년 선언’

7장 내외의 거센 도전과 새로운 진로
1. 명성이 높아지고 세력이 강화된 의열단 / 2. 정세 변화와 안팎의 시련 / 3. 황푸군관학교에서 정치·군사교육 받다 / 4. 진보인사들과 의열단 진로 논의 / 5. 폭렬투쟁에서 ‘민중혁명’으로

8장 폭렬투쟁에서 대중운동으로
1. ‘조선전민족단일혁명당’을 추진하다 / 2. 의열단원들, 국내에서 노농운동 지도 / 3. 일제의 만주 침략으로 국민당 정부와 합작하다 / 4. 조선혁명정치간부학교 설립 / 5. 조선혁명정치간부학교는 의열단 양성소 / 6. 노래로 민족의식 일깨우다 / 7. 민족시인 이육사 / 8. 혁명음악가 정율성

9장 민족혁명당 모태 역할
1. 민족혁명당, 좌우 진영을 통합하다 / 2. 민족·민주 혁명 이념 제시 / 3. 각 계파 안배된 민족혁명당 간부진 / 4. 이청천 계열 이탈로 당세가 약해지다 / 5. 『민족혁명당보』 발행 / 6. 민족혁명당의 ‘실천적 의의’

10장 조선의용대 창설과 항일전
1. 조선의용대를 창설하게 된 배경 / 2. 신채호, 뤼순감옥에서 옥사하다 / 3. 1938년 10월 10일, 조선의용대가 창설되다 / 4. 조선의용대 창설에 얽힌 뒷이야기 / 5. 의열단의 후신, 조선의용대 / 6. 일본 반전운동가들과 연계투쟁 / 7. 임시정부에서도 한국광복군 창설 / 8. 장제스, 김구와 김원봉을 초청해 한중연합전선 제의

11장 두 쪽으로 갈라진 조선의용대
1. 조선의용대의 다양한 활동 / 2. 반파시스트동맹 결성 / 3. 조선의용대, 분열될 위기를 맞다 / 4. 중국공산당의 김원봉 고립 작전 / 5. “망명자 가족 생계유지 때문”이라는 이유

12장 거듭된 희생과 시련
1. ‘셈해지지 않는’ 희생자들 / 2. 타이항산에 묻힌 윤세주 / 3. 김원봉이 쓴 윤세주 약사 / 4. ‘내명년에는 조국에 진입하겠다’ 선서하더니! / 5. 조선의용군 무명 전사자에게 바치는 노래

13장 분단된 조국에서
1. 남북으로 갈려 입국한 조선의용군 / 2. 최후의 의열단원, 이승만을 쏘다 / 3. 의열단 무명전사 위령탑을
Author
김삼웅
독립운동사 및 친일반민족사 연구가로, 현재 신흥무관학교 기념사업회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대한매일신보](지금의 [서울신문]) 주필을 거쳐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문화론을 가르쳤으며, 4년여 동안 독립기념관장을 지냈다.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위원, 제주 4·3사건 희생자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위원회 위원, 백범학술원 운영위원 등을 역임하고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위원, 친일파재산환수위원회 자문위원,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건립위원회 위원, 3·1운동·임시정부수립100주년기념사업회 위원 등을 맡아 바른 역사 찾기에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역사·언론 바로잡기와 민주화·통일운동에 큰 관심을 두고, 독립운동가와 민주화운동에 헌신한 인물의 평전 등 이 분야의 많은 저서를 집필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필화사』, 『백범 김구 평전』, 『을사늑약 1905 그 끝나지 않은 백년』, 『단재 신채호 평전』, 『만해 한용운 평전』, 『안중근 평전』, 『이회영 평전』, 『노무현 평전』, 『김대중 평전』, 『안창호 평전』, 『빨치산 대장 홍범도 평전』, 『김근태 평전』, 『독부 이승만 평전』, 『안두희, 그 죄를 어찌할까』, 『10대와 통하는 독립운동가 이야기』, 『몽양 여운형 평전』, 『우사 김규식 평전』, 『위당 정인보 평전』, 『김영삼 평전』, 『보재 이상설 평전』, 『의암 손병희 평전』, 『조소앙 평전』, 『백암 박은식 평전』, 『나는 박열이다』, 『박정희 평전』, 『신영복 평전』, 『현민 유진오 평전』, 『송건호 평전』, 『외솔 최현배 평전』, 『3·1 혁명과 임시정부』, 『장일순 평전』 등이 있다.
독립운동사 및 친일반민족사 연구가로, 현재 신흥무관학교 기념사업회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대한매일신보](지금의 [서울신문]) 주필을 거쳐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문화론을 가르쳤으며, 4년여 동안 독립기념관장을 지냈다.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위원, 제주 4·3사건 희생자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위원회 위원, 백범학술원 운영위원 등을 역임하고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위원, 친일파재산환수위원회 자문위원,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건립위원회 위원, 3·1운동·임시정부수립100주년기념사업회 위원 등을 맡아 바른 역사 찾기에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역사·언론 바로잡기와 민주화·통일운동에 큰 관심을 두고, 독립운동가와 민주화운동에 헌신한 인물의 평전 등 이 분야의 많은 저서를 집필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필화사』, 『백범 김구 평전』, 『을사늑약 1905 그 끝나지 않은 백년』, 『단재 신채호 평전』, 『만해 한용운 평전』, 『안중근 평전』, 『이회영 평전』, 『노무현 평전』, 『김대중 평전』, 『안창호 평전』, 『빨치산 대장 홍범도 평전』, 『김근태 평전』, 『독부 이승만 평전』, 『안두희, 그 죄를 어찌할까』, 『10대와 통하는 독립운동가 이야기』, 『몽양 여운형 평전』, 『우사 김규식 평전』, 『위당 정인보 평전』, 『김영삼 평전』, 『보재 이상설 평전』, 『의암 손병희 평전』, 『조소앙 평전』, 『백암 박은식 평전』, 『나는 박열이다』, 『박정희 평전』, 『신영복 평전』, 『현민 유진오 평전』, 『송건호 평전』, 『외솔 최현배 평전』, 『3·1 혁명과 임시정부』, 『장일순 평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