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학생운동사

시대의 가치를 향하여
$43.20
SKU
978897327721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hu 05/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Thu 05/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0/31
Pages/Weight/Size 153*225*35mm
ISBN 9788973277216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시대의 필요와 정신을 추구해온 이화의 역사는 대략 두 줄기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각각의 시대의 결핍과 시대정신을 적극적으로 맞닥뜨려 수용하는 것과 함께 이화의 출발 지점인 여성의 정확한 자리매김을 향한 노력이 그것이다. 이 책의 출발과 지향도 그 가치의 인식과 공유를 위한 것이었으며, 그런 이유로 서술 과정과 결과에도 그 지향이 반영되었다. 이화 학생운동의 역사와 여성의 삶을 확장시켜온 이화의 짧지 않은 경험을 읽어가는 표지판으로 이화 학생운동의 역사와 여성 부분을 간략하게 정리했다.
Contents
1부 여성과 민족의 자주성을 위한 이화인의 활동 : 1886-1945

1장 여성들이 만들어낸 배움의 집 - 이화학당의 시작
1. 여성제도교육의 시작 : 이 땅 여성의 삶을 확장하다·25
2. 이화학당이 추구한 교육이념 : 자신의 삶을 확장하고 조국과 공동체에 기여하다·28
3. 이화학당의 성장과 그것이 갖는 사회 개혁적 의미·30

2장. 학생 자치활동과 졸업생의 사회활동
1. 교육의 결과물을 나누는 이화 졸업생의 사회활동·35
2. 학생 자치활동과 계몽활동·38

3장. 국권 회복을 위한 이화의 독립운동
1. 국권침탈의 시작과 이화의 저항·41
2. 3.1 독립만세운동과 이화·45
3.1 독립만세운동의 준비|이화 학생들의 독립만세운동|이화 졸업생들의 독립만세운동
3. 3.1 독립만세운동과 근대여성의 탄생·54

4장. 1920년대의 학생운동과 이화
1. 1920년대 조선의 교육상황과 활발해진 학생운동·57
이화 교육제도의 변화|다양한 학생조직과 활발해진 학생운동
2. 6.10 만세운동과 학생운동의 성장·61
3. 이화가 주도한 제2차 서울 여학생 독립만세운동 : 1929-1930년·63

5장. 1920, 30년대 민족운동과 민중계몽운동
1. 이화의 양적 성장과 지향을 향한 도전 : 신촌캠퍼스의 이화여전·68
2. 1920, 30년대 학생활동의 이분화·71
반제국주의, 반봉건주의 타파를 위한 고민과 실천
3. 1940년대 일제의 대대적인 억압과 이화의 고군분투·76

2부 1960년대 이화 학생운동

1장. 독립국가와 민주주의 완성을 위한 노력
1. 독립과 분단, 전쟁의 시기·81
2. 1950년대 이화의 학생활동·84
3. 4.19와 이화의 침묵·86

2장. 민족의 자주성을 위하여 - 이화대학의 한일협정 반대 투쟁
1. 한일협정 추진과 학생들의 저항·90
2. 이화대학의 한일협정 반대 투쟁·92
한일협정 반대 투쟁|한일협정 비준 반대 투쟁
3. 3선개헌 반대와 복장시위 : 1969년·102

3장. 1960년대 이화 학생운동
1. 정치적 저항과 함께 산업화의 그늘에 눈을 돌리다·105
불균등발전의 그늘|농촌의 변화와 농촌계몽대 활동
2. 진보적 서클의 탄생·108
3. 1960년대 이화 학생운동의 특징·110

3부 민주주의 억압에 대한 저항과 민중운동의 시대 : 1970년대 이화 학생운동

1장. 민중민주주의로의 확장
1. 노동자와 도시 빈민의 생존권 투쟁·115
2. 본격적인 서클 활동의 활성화·119
3. 산업화의 그늘과 여성 노동문제에 대한 관심·121

2장. 유신체제의 시작과 반독재 민주화운동
1. 강경한 학원탄압과 저항의 구도가 시작되다·124
대학에 대한 본격적인 통제와 탄압|학원탄압에 대한 이화인의 저항
2. 반헌법적인 유신체제의 시작·133
3. 우유부단과 좌절과 패배주의를 내던진 이화공동체의 시간 : 1973년·136
민주주의의 죽음을 상징하는 검은 리본|대규모 시위와 이화공동체의 밤
4. 학생 대중의 참여와 여성 문제 인식을 특징으로 하는 1970년대 초반 이화의 학생운동·142
5. 긴급조치시대의 시작과 확산된 유신반대 투쟁·145
민청학련을 통한 전면적인 저항|학생 대중과 함께 전개된 이화대학의 유신반대 투쟁 : 1974년|언론과 종교계의 저항

3장. 긴급조치 9호와 저항의 시기
1. 긴급조치 9호와 민주주의의 퇴행·154
2. 긴급조치 9호와 이화 학생운동·157
모든 학생활동이 정지되다|행동은 대담하게, 말은 겸손하게 : 동아 언론 지원 활동|새벽을 기다리며 : 긴급조치 9호 세대|이화대학 서클의 재활성화
3. 1970년대 후반 노동 현실과 학생운동의 연대·166
4. 긴급조치 철폐와 학원 자유를 위한 투쟁 : 1977-1978년·169
5. 전면적인 반유신 투쟁과 유신체제의 몰락·173

4장. 민주주의와 민중연대를 위한 1970년대 이화 학생운동
1. 1970년대 한국 사회와 학생운동·179
2. 1970년대 이화의 학생운동·182
민중민주주의로의 확장과 여성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전통문화에 대한 탐구와 재창조 작업의 확산|농촌활동과 빈민 활동|야학의 활성화와 초보적인 민중연대

4부 학생운동의 성장과 민중연대의 시기 : 1980년대 이화 학생운동

1장. 학생운동의 이념 변화와 새로운 모색
1. 학생활동의 재개와 민주화의 좌절·197
학생회부활추진위원회와 학원 자율화를 위한 준비|학생회 부활과 학원 자율화의 시작|5월 이화 민주화 대행진|민주화의 좌절|신군부의 권력 장악과 광주항쟁|1980년 봄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모색
2. 학생운동의 양적 발전과 새로운 모색의 시기·219
새로운 전환과 모색의 시기 : 1981년|학내 운동체계의 활성화 : 1982년|학원 자율화 투쟁과 대중화 : 1983년-1984년

2장. 학원 민주화와 학생운동의 질적 전환의 시기
1. 학원 자율화를 위한 투쟁·233
정권의 유화책과 복학생들의 자율화 투쟁|학원 자율화, 학내민주화의 진행 과정|학생회 부활과 학내민주화 운동의 활성화
2. 대학 연대투쟁의 시작 : 1984년 하반기~1985년·247
3. 미문화원 점거 농성과 반미투쟁의 확산·252
4. 학내민주화의 진전과 연대투쟁의 상시화·255
학원안정법 저지 투쟁|수입개방 반대와 민정당사 점거 투쟁|해방이화
5. 1980년대 전반기 이화의 민중연대, 노학연대
노동현장의 파업과 활발한 노학연대 활동
6. 민중 생존권과 민주적 권리를 위한 개헌 투쟁·271
파쇼헌법 철폐와 민주헌법 쟁취투쟁|경찰의 학교침범과 학생들의 저항, 수업 거부 투쟁
7. 학생운동 노선 논쟁·280
8. 억압으로부터의 해방과 시대적 가치를 향한 이화의 역사 : 이화 100주년·282
9. 애학투련과 학생운동의 타격, 그리고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다·285
아시안게임 반대|애학투련 이후 학생운동의 변화를 모색하다

3장. 6월항쟁과 이화대학
1. 호헌철폐 투쟁과 서대협의 건설 : 1987년 상반기·293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2. 6.10 민주항쟁과 이화대학의 6월 민주화 대투쟁·296
호헌철폐와 군부독재 종식투쟁|6.10 민주항쟁|시험거부와 등교 투쟁|6월항쟁 기간의 이화광장
3. 언론의 자율과 민주화를 위한 대학언론의 투쟁·312
4. 학생운동의 대중노선, 전대협 결성·314
5. 여대협의 구성과 활동, 그리고 이화대학의 역할·317
6. 1987년 대선과 민주 정부 수립의 실패·322
대선에 대한 다양한 입장이 표면화되다|민주 정부 수립에 실패하다
7. 노태우집권과 미국의 개방압력에 대한 반대 투쟁·330

4장. 학생들의 통일운동
조국통일 촉진 운동과 6.10 남북학생회담을 위한 노력|8.15 남북학생회담 성사 투쟁과 남북교류의 확산|89평양청년학생축전

5장. 노태우 정권에 대한 공세와 민중연대의 강화
1. 5공 비리 처벌과 노태우 정권 퇴진을 위한 투쟁·350
5공 비리 청산과 전·이 구속을 요구하다|현대중공업 노동자 투쟁과 노학연대|이화대학의 5월 반미운동|전교조 지원과 노동 악법철폐 투쟁: 1989년 하반기
2. 대학언론의 자율권과 독립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361

6장. 다양한 민중연대 활동과 1980년대 이화 학생운동의 변모
1. 학원민주화운동과 문화운동·367
학생 대중이 진행한 교육 민주화 싸움과 학내민주화를 위한 노력: 1988-1989년|예술성과 운동성의 결합, 문화운동의 활성화
2. 이화의 민중연대 활동―1980년대 후반·377
노학연대 투쟁의 변화: 현장 중심에서 공조와 연대로|폭넓어진 농촌활동, 농민과의 지속적인 연대: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활발하게 진행된 도시 빈민연대 활동: 1980년대 후반
3. 평등하고 자주적인 여성의 삶을 위하여: 변혁운동과 함께 전개된 이화의 여성운동·392
4. 1980년대 학생운동과 이화·396

5부 1990년대 학생운동의 새로운 모색과 대안

1장. 보수 대연합 구도에 대한 저항과 학원 자율화 투쟁 : 1990년
1. 이화 학생회의 전환 및 학원자주화투쟁·405
2. 보수 대연합 반대 투쟁과 민중연대 강화·408
3. 자주화를 위한 투쟁과 남북교류 추진·414
팀스피리트에 대한 문제 제기|학생운동이 추진한 남북교류사업|학원자주화투쟁의 질적 전환|대학언론 통제에 저항하고 언론 자율화를 위해 싸우다

2장. 노태우 정권의 공세와 학생운동의 치열한 대응 : 1991년
1. 수서 비리와 민생파탄에 대한 항의·424
2. 6공화국 최대의 대중투쟁-5월 투쟁·426
3. 학생운동에 대한 대대적인 공세·433
4. 노태우 정권의 북방정책과 학생들의 통일운동·435
5. 제도개선을 통한 학원 자주화 사업·441

3장. 탈정치화 흐름과 이화 학생운동의 새로운 모색
1. 탈정치화 흐름과 학생회의 변화 모색·444
2. 다양한 학생 정치조직을 통한 대선 활동·450
3. 문민정부의 출범·454
4. 학생운동의 새로운 정신과 구조를 요구받다·456
학생운동 쇄신을 위한 조직의 재구성|학생운동의 진화를 모색하다

4장. 1990년대의 지속적인 민중연대 활동과 여성운동
1. 적극적으로 전개된 빈민 활동과 지역연대 활동·461
2. 여성의 문제와 그 해소방안을 확장해가다 - 1990년대 이화의 여성학, 여성운동·468

5장. 시대환경의 변화와 학생운동의 새로운 모색

6부 이화 민주화를 위한 유연하고 수평적인 연대

미래라이프대학 사태와 새로운 민주주의·485

기억하는 글 : 그들의 삶이 시대를 만들다·491
Author
김현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역사를 공부했다.
작가이며, 저서로 <김병곤평전> 등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역사를 공부했다.
작가이며, 저서로 <김병곤평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