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이슈에 관한 논쟁에서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말이 있다. “그럼 여자도 군대에 가든지.”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여성 징병 청원 글이 20만 명 넘는 동의를 얻으면서 화제가 되었지만, 사실 이러한 글은 청원 게시판이 생겨난 2017년 이후 해마다 올라왔다. 1999년 군가산점제 위헌 판결 이래로 20년 넘게 반복된 주장이기도 하다. 그리고 여성혐오 발언을 정당화하는 ‘최후의 근거’로 꾸준히 출몰하곤 했다. 2015년 ‘○○녀’ 발언들이 확산될 때도 그랬고, 2021년 한 제약회사의 면접에서도 그랬다.
그럼 여성징병제를 도입하기만 하면 지긋지긋한 갈등이 해결될까? 여성징병제는 성평등을 위한 지름길인가? 이 기나긴 논쟁에서 우리가 곧잘 잊어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이미 군대에 간 여성들, 즉 여성 군인들이다. 1950년 한국전쟁 이래로 이 ‘초남성 공간’에서 분투한 이들은 남성중심적인 군 문화에 맞서고, 때로는 전략적으로 순응하며 자신들의 자리를 만들어왔다. 이 책은 그들의 ‘과거’와 ‘현재’ 이야기로부터 여성징병제라는 ‘미래’를 역추적한다. 물론 여군은 남군과 달리 지원제로 선출되어 장교와 부사관으로 시작하지만, 그 자체로 군대 속 여성의 위치를 드러낸다.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군대와 안보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해온 저자는 이 책에서 여성 군인들을 분야별로 인터뷰하고, 군 안팎의 각종 문헌과 영상 자료를 분석해 그들이 어떻게 일하고 성장하는지 보여준다. 부침이 심했던 여군제도의 역사 속에서 여성은 각 시대마다 어떻게 군인이 되어갔는지, ‘군인’이 되고자 했던 그들에게 ‘여성성’은 어떤 의미였는지, 오늘날 신자유주의 경쟁체제가 여군과 남군의 생각을 어떻게 바꾸어나가고 있는지 펼쳐 보이며, 납작해진 여성 징집 논쟁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한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1장 여성 징집, 그 논란의 연대기
- 격분하는 말에서 법적 제도 청원까지
- 여성징병제에 대한 입장들
- 남성의 마음은
- 신자유주의 시대, 병역의무
- 성 전쟁의 전선이 되다
- 군대는 갈 만한 곳인가
2장 분리에서 통합으로, 여군의 역사
- 국가와 병역법, 국민되기
- 외부이자 잔여: 한국전쟁 시기
- 애국의 상징: 총력안보 시대
- 전문직업인: 지식정보화 시대
- 스마트한 군인: 신자유주의 시대
3장 여성 군인의 탄생
- 시대의 전환, 아버지와 딸의 대화
- ‘여성적인 것’의 논란
- 우수인력담론과 성평등론의 조우
- 여성성으로 조율하기
- 국가를 지키는 군인, 여/군인
4장 여성은 어떻게 군인이 되는가
- 새로운 나, 능력 있는 나
- 여성과 군인 사이에서
- 체력은 남성성의 마지막 보루일까
- 안전하게 군인이 되는 법
- 신자유주의 시대, 여군되기
5장 성평등은 만능키가 될 수 있을까
- 성평등이라는 프레임
- 여성이 군에 가면 무엇이 변할까
- 성평등만으로 충분한가
- 여군이 늘어나면 생기는 일
- 이스라엘과 스웨덴의 차이
감사의 말
부록: 여성 징집 논쟁과 여군제도의 연대기
주
Author
김엘리
성공회대학교 실천여성학전공 외래교수. 피스모모 평화페미니즘연구소 소장. 대학에서 여성학과 평화학을 강의한다. 최근 논문으로는 「혐오정동의 분단된 마음 정치학」, 「20~30대 남성들의 하이브리드 남성성」 등이 있다. 『여자도 군대 가라는 말』, 『그런 남자는 없다(』공저), 『페미니즘, 리더십을 디자인하다』(공저) 등의 책을 냈다. 그 외에도 『여성, 총 앞에 서다』, 『군사주의는 어떻게 패션이 되었을까』(공역)를 번역했다.
성공회대학교 실천여성학전공 외래교수. 피스모모 평화페미니즘연구소 소장. 대학에서 여성학과 평화학을 강의한다. 최근 논문으로는 「혐오정동의 분단된 마음 정치학」, 「20~30대 남성들의 하이브리드 남성성」 등이 있다. 『여자도 군대 가라는 말』, 『그런 남자는 없다(』공저), 『페미니즘, 리더십을 디자인하다』(공저) 등의 책을 냈다. 그 외에도 『여성, 총 앞에 서다』, 『군사주의는 어떻게 패션이 되었을까』(공역)를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