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식과 실학

한국 지성사를 읽다
$12.96
SKU
978897199332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hu 05/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Thu 05/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3/23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71993323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석학 인문 강좌 시리즈 제 1권. 문명론의 시각에서 고전을 읽는다. 이 책은 초점을 처음부터 끝까지 한국 역사에 두고 있으면서도 시야를 확장해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나아가 전 지구적 상황에서도 다루고 있다.
14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역사 전환, 거기에 대응하는 움직임이 문명 갈등으로 표출된 것으로 본 견해를 정리한 내용이 책의 앞부분에 실린 「문명 개념과 한국의 역사 전환」으로, 한반도상에서 착종된 문명 개념을 통일적·입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시론을 펼친다.

동아시아의 중국 중심 체제에 선각적으로 문제 제기를 한 『열하일기』의 박지원, 경학(經學)과 경세학(經世學)을 엮어서 위대한 학적 체계를 구축한 정약용, 해양으로 열린 학지(學知)를 탐구한 이강회, 동서 회통의 기학(氣學)을 수립한 최한기를 이야기한다.
Contents
책머리에

1장 | 문명 개념과 한국의 역사 전환: 14세기 말과 20세기 전후
114세기와 20세기의 역사 전환
2문명의 전통적(동양적) 개념
314세기의 역사 전환과 조선 개국
420세기 전후의 역사 전환과 문명적 갈등
5다시 돌아보는 14세기 말과 20세기 전후

2장 | 중국 중심 천하관과 그 극복의 과제: 『열하일기』(熱河日記)의 문제 제기를 통해서
1‘연행’의 의미와 연행록, 『열하일기』
2중국 중심 천하관과 조공체제
3흔들린 조공체제에서 싹튼 비판 사상
4근대적 세계에서 ‘동양’과 ‘중화’의 개념
5중국 중심주의의 현대적 변용태

3장 | 정약용의 경학: 개혁의 이론적 근거
1다산학의 체계
2경학과 그 시대적 의미
3다산 경학의 방법론
4다산의 개혁 이론, 그 경학적 근거와 논리
5다산 개혁론의 행방

4장 | 19세기 바다, 실학에서 바다로 열린 학지(學知): 이강회(李綱會)의 경우
1다산학단과 이강회
217세기 이래 한반도의 해양 상황
3우이도로 간 이강회
4이강회 저술의 분석―해양으로 향한 학지(學知)
5서세의 침투에 대한 관찰 보고
6실학과 해양

5장 | 최한기의 기학(氣學): 근대 대응의 논리
1기학(氣學)의 시대성
2최한기의 독서벽과 저술의 의미
3다산 경학에 견주어 본 혜강 기학의 성격
4만국일통의 사상과 상업유통적 사고의 논리
5일통론의 높은 차원으로 확장과 정치
6동서의 학적 만남에서 기학과 경학

찾아보기
Author
임형택
1943년 영암 출생. 정읍 지역에서 소년기를 보냈다. 서울대학교 문리대 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에서 수학하였고,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문학박사를 받았다. 성균관대 교수로 대동문화연구원 원장과 동아시아학술원 원장을 겸임했으며, 2009년 정년퇴임하여 현재 명예교수이다. 연세대 용재석좌교수, 실학박물관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민족문학사연구소 공동대표, 한국한문학회 회장, 한국실학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문학사의 시각』, 『실사구시의 한국학』, 『한국문학의 체계와 논리』, 『문명의식과 실학』, 『우리 고전을 찾아서』. 『옛노래, 옛사람들의 내면풍경』 등이 있고, 편역서로 『이조한문단편집』(공동), 『백호전집』(공동), 『역주 목민심서』(공동), 『역주 매천야록』(공동), 『반계유고』(공동), 『한문서사의 영토』, 『이조시대 서사시』 등이 있다. 도남국문학상, 만해문학상, 단재상, 다산학술상, 인촌상(인문사회문학 부문)을 수상했다. 소설에서 출발, 한문학으로 들어가 한국학 전반으로 공부영역을 확장하면서 동아시아적 시각에 착안하였다.
1943년 영암 출생. 정읍 지역에서 소년기를 보냈다. 서울대학교 문리대 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에서 수학하였고,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문학박사를 받았다. 성균관대 교수로 대동문화연구원 원장과 동아시아학술원 원장을 겸임했으며, 2009년 정년퇴임하여 현재 명예교수이다. 연세대 용재석좌교수, 실학박물관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민족문학사연구소 공동대표, 한국한문학회 회장, 한국실학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문학사의 시각』, 『실사구시의 한국학』, 『한국문학의 체계와 논리』, 『문명의식과 실학』, 『우리 고전을 찾아서』. 『옛노래, 옛사람들의 내면풍경』 등이 있고, 편역서로 『이조한문단편집』(공동), 『백호전집』(공동), 『역주 목민심서』(공동), 『역주 매천야록』(공동), 『반계유고』(공동), 『한문서사의 영토』, 『이조시대 서사시』 등이 있다. 도남국문학상, 만해문학상, 단재상, 다산학술상, 인촌상(인문사회문학 부문)을 수상했다. 소설에서 출발, 한문학으로 들어가 한국학 전반으로 공부영역을 확장하면서 동아시아적 시각에 착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