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십구재

$7.48
SKU
978897009895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11/10
Pages/Weight/Size 110*160*20mm
ISBN 9788970098951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현재 49재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탈상의례 혹은 상중의례로 떠오르고 있다. 이 책에서는 49재의 불교적 조명뿐만 아니라 인문학적 조명, 민속학적 조명을 통해 삶과 죽음의 완충지대로서 49재의 가치와 의미, 그리고 실천방법을 알기 쉽게 잘 설명해 주고 있다. 또한 사십구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 과정을 상세하게 밝히고 있다. 즉 49재의 의례진행 내용을 잘 설명해 주어 유족이나 관계자들이 그냥 참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와 가치를 알고 재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해준다.

저자는 사찰에서 49재를 치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유족들이 사찰과 협조하여 무엇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잘 조언한다. 49재를 지내는 사찰 정하는 법이라든가, 초재부터 막재인 49재를 다 치를 것인지, 1ㆍ3ㆍ5ㆍ7재만 지낼 것인지 등에 대한 안내를 해준다. 그리고 사찰에서만 49재를 치르는 것이 아니라 집안에서도 49일간 근신기간을 마련하여 고인의 극락왕생을 빌어야 한다고 말하며 그 49일 동안 어떻게 행동하고 처신해야 하는지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해 주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사십구재란 무엇인가
1. 사십구재의 의미
2. 왜 49일인가
3. 제사와 재(齋)의 차이

제2장 사십구재의 기원과 역사
1. 인도불교, 중유의 성립
2. 중국불교, 칠칠재의 정착
3. 한국불교, 사십구재의 발전

제3장 사십구재, 어떻게 진행되는가
1. 사십구재의 종류와 의례구조
2. 준비단계
3. 1단계 : 맞이하기(대령)
4. 2단계 : 씻기(관욕)
5. 3단계 : 기원하기(상단권공)
6. 4단계 : 제사지내기(관음시식)
7. 5단계 : 보내기(봉송)

제4장 사십구재의 특성과 기능
1. 사십구재 이후에도 계속되는 천도재
2. 사십구재의 복합적 기능
3. 국가적, 사회적 죽음의 탈상의례

제5장 사십구재 치르기
1. 사십구재의 준비
2. 사십구재의 실제

참고문헌
Author
구미래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12년간 근무하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발간작업에 참여하였으며, 직장생활과 병행하여 1988년 각 분야의 한국학 전공자들과 함께 우리문화연구원을 만들어 활동하면서 10여 년간 월간 『얼과 문화』를 발간하였다. 이화여대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여 「사회적 권력관계에 따른 nonverbal communication 차이 연구」로 석사학위를, 안동대 민속학과에서 불교민속을 전공하여 「‘사십구재’의 의례체계와 의례주체들의 죽음 인식」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성보문화재연구원 연구실장, 동국대 불교대학원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종교와 노래』(공저, 민속원, 2012), 『불교 상제례 안내』(책임집필, 조계종출판사, 2011), 『사십구재』(민족사, 2010), 『불교 임종 준비와 안내』(공저, 조계종출판사, 2010), 『한국인의 죽음과 사십구재』(민속원, 2009),『종교와 그림』(공저, 2008)ㆍ『종교와 의례공간』(공저, 2007)ㆍ『종교와 일생의례』(공저, 2006)ㆍ『종교와 조상제사』(공저, 2005)ㆍ『韓國宗敎民俗試論』(공저, 2004)ㆍ『한국인의 상징세계』 등이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12년간 근무하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발간작업에 참여하였으며, 직장생활과 병행하여 1988년 각 분야의 한국학 전공자들과 함께 우리문화연구원을 만들어 활동하면서 10여 년간 월간 『얼과 문화』를 발간하였다. 이화여대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여 「사회적 권력관계에 따른 nonverbal communication 차이 연구」로 석사학위를, 안동대 민속학과에서 불교민속을 전공하여 「‘사십구재’의 의례체계와 의례주체들의 죽음 인식」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성보문화재연구원 연구실장, 동국대 불교대학원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종교와 노래』(공저, 민속원, 2012), 『불교 상제례 안내』(책임집필, 조계종출판사, 2011), 『사십구재』(민족사, 2010), 『불교 임종 준비와 안내』(공저, 조계종출판사, 2010), 『한국인의 죽음과 사십구재』(민속원, 2009),『종교와 그림』(공저, 2008)ㆍ『종교와 의례공간』(공저, 2007)ㆍ『종교와 일생의례』(공저, 2006)ㆍ『종교와 조상제사』(공저, 2005)ㆍ『韓國宗敎民俗試論』(공저, 2004)ㆍ『한국인의 상징세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