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조직의 이해

$37.95
SKU
978896817706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13 - Thu 12/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Thu 12/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2/24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68177064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1909년에 저술한 『사회조직의 이해』(Social Organization)는 7년 전에 발간한 『인간 본성과 사회질서』(Human Nature and Social Order, 1902) 그리고 9년 후에 발간한 『사회과정의 이해』(Social Process, 1918)의 자매편으로서 쿨리의 사상을 대표하는 저작이다. 쿨리는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제임스 마크 볼드윈과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의 영향을 받고 존 듀이, 허버트 미드와 교류를 통해 미국의 사회학, 사회심리학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제임스로부터 정신(mind)과 자아의 본질에 관한 연구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사회조직을 의식의 산물로 본다. 즉 쿨리가 말하는 사회조직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맺고 있는 모든 관계망’, 한마디로 ‘모든 제도’, 어쩌면 사회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사회조직의 이해』에서 조직은 흔히 일반 조직이론에서 이야기하는 관료조직, 기업조직 등의 특정 조직에 관한 것이 아니다. 차례에서 보듯이, 사회의식, 원초 집단 등이 이 저작의 주요 주제이다.

이 책은 원초 집단, 커뮤니케이션, 민주주의 정신, 여론, 사회계급, 제도, 가족, 교회, 전통 등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어 [사회학개론서] 같은 느낌을 준다. 하지만 여러 주제를 병렬적으로 묶어 놓은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일관된 주제―인간 본성―를 가지고 모든 장을 리듬 있게 엮어나가고 있다. 또한 각 주제들은 당시 미국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지만, 특히 가족해체, 출산율 저하 등과 관련한 논의는 시대를 초월하여 이 시대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Contents
?서문

제1부 조직의 원초적 측면들
제1장 정신의 사회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 I
정신은 유기적 통일체이다 / 의식적 관계와 무의식적 관계 / 자의식이 먼저 생기는가?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 폭넓은 내적 성찰 / 아동기 자의식 / 공적 의식

제2장 정신의 사회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 II
유기적 견해의 도덕적 측면 / 개혁은 공감에 기초해야 한다 / 칭찬과 비난의 효과 / 책임은 확대되지 줄어들지 않는다 / 폭넓은 견해의 도덕적 가치 / 유기적 도덕성은 지식을 필요로 한다 / 사회조직의 성격

제3장 원초 집단
원초 집단의 의미 / 가족, 놀이터, 이웃 / 대규모 사회가 미치는 영향 / ‘인간 본성’의 의미와 영속성 / 원초 집단: 인간 본성의 양성소

제4장 원초적 이상
원초적 이상주의의 성격 / ‘우리’ 또는 도덕적 통일의 이상 / 원초적 이상은 자기주장을 배척하지 않는다 / 적개심에서 우러나오는 관념 / 충성심, 진리, 봉사 / 친절 / 합법성 / 자유 / 자연권 원리 / 원초 집단이 교육 및 자선활동에 미치는 영향

제5장 원초적 이상의 확장
원초적 이상은 민주주의와 기독교 신앙을 강조한다 / 원초적 이상이 대규모로 성취되지 않는 이유 / 원초적 이상은 개성에서 무엇을 요구하는가 / 또 사회적 메커니즘에서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 보충 원리

제2부 커뮤니케이션
제6장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커뮤니케이션의 의미 /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본성과의 관계 /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전체와의 관계

제7장 커뮤니케이션의 발달
언어 이전의 커뮤니케이션 / 언어의 출현 / 커뮤니케이션의 정신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 / 글쓰기의 기능 / 인쇄술과 근대세계 / 비언어 기술

제8장 근대적 커뮤니케이션: 확장 및 활성화
최근의 변화의 특징 / 최근의 변화의 전반적 영향 / 미국사회의 변화 / 조직화된 풍문 / 여론, 민주주의, 국제주의 / 확산의 가치 / 감정의 확장 / 결론

제9장 근대적 커뮤니케이션: 개성
문제 / 커뮤니케이션이 개성을 발달시키는 이유 / 반대 이론이냐 평준화 이론이냐 / 양 견해의 화해 / 개성과 관련한 전망

제10장 근대적 커뮤니케이션: 피상성과 긴장
근대적 삶의 자극적 효과 / 피상성 / 긴장 / 병리적 효과

제3부 민주주의 정신
제11장 의식의 확장
부족사회 의식의 협소성 / 대면 모임의 중요성 / 개성 / 폭넓은 관계의 잠재의식적 특성 / 의식의 확장 / 성장의 불규칙성 / 근대적 의식의 범위 / 민주주의

제12장 여론 이론
조직으로서 여론 / 합의는 필수적이 아니다 / 여론인가 대중의 생각인가 / 공적 사고는 평균치가 아니다 / 집단은 가장 유능한 구성원을 통해 의사표현을 할 수 있다 / 일반 여론과 특수 여론 / 일반 여론의 범위 / 특수 여론의 범위 / 일반 여론과 특수 여론은 개성 속에서 통일된다 / 여론을 통한 통치방식 / 도덕적 통일에 기초한 효과적인 통치
제13장 대중의 기여
대중: 정서의 창조자 / 대중은 경험의 중요한 흐름 속에 살고 있다 / 구별짓기나 특권은 고립을 초래한다 / 상층계급의 제도적 특성 / 대중은 현명한 재판관이다 / 사람들은 결국 옳은 판단을 하게 된다 / 민주주의는 항상 대의민주주의이다 / 결론

제14장 민주주의와 군중 흥분
근대적 삶과 군중 이론 / 군중 심리 / 근대적 조건들은 정신적 감염을 조장한다 / 민주주의는 자기통제를 훈련시킨다 / 군중이 항상 잘못을 저지르는 것은 아니다 / 결론: 프랑스 사례

제15장 민주주의와 구별짓기
문제 / 민주주의와 변화는 구별되는가 / 민주주의 평준화 이론 / 혼란과 그 영향 / ‘개인주의’가 개성의 구별을 조장하는 것만은 아니다 / 현대의 획일성 / 미국과 유럽의 상대적 이점 / 경솔, 피상성, 긴장 / 확립된 질서의 정신적 절약 / 상업주의 / 확산 열의 / 결론

제16장 정서의 흐름 I
정서의 의미와 전반적 흐름 / (정서의) 쇠약 / (정서의) 순화 / 정의감 / 정의로서 진리 / 현실주의로서 진리 / 편의주의로서 진리 / 관심의 경제로서 진리 / 전도유망

제17장 정서의 흐름 II
동료애 감정의 성격 / 의사소통 및 확립된 원리가 조장하는 정서 / 정서가 현대의 삶에 미치는 영향 / 현대의 삶과 정서의 관계 / 전반적 결과 / 봉사 정신/ 매너의 추세 / 동료애와 갈등의 관계 / 비난 / 민주주의와 기독교 정신


제4부 사회계급
제18장 세습 또는 카스트 원리
계급의 성격 및 관행 / 세습과 경쟁: 계급 형성의 두 원리 / 세습계급을 형성하는 인간 본성의 조건 / 카스트 정신

제19장 카스트 발달의 촉진 조건과 억제 조건
카스트의 증가 또는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조건 / 인종 카스트 / 이주와 정복 / 기능의 점진적 분화; 중세 카스트; 인도 / 확립된 조건들의 영향 / 국가가 커뮤니케이션과 계몽에 미치는 영향 / 결론

제20장 카스트와 관련한 전망
질문 / 세습 원리의 확산 정도 / 카스트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카스트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들 / 사회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세습 원리와 기회평등 원리 / 결론

제21장 개방적 계급
개방적 계급의 성격 / 계급의식은 바람직한가 그렇지 않은가 / 동료애와 협동정신의 쇠퇴 / 계급조직과 자유의 관계

제22장 부가 개방적 계급 형성에 미치는 영향
개방적 계급의 비인격적 성격 / 다양한 분류법 / 계급은 명백한 구별짓기에 기초한다 / 일반화된 권력으로서 부 / 경제수준의 향상: 저임금계급의 이상 / 결론

제23장 자본가계급의 우월성 I
자본가계급 / 자본가계급에게는 카스트 정서가 없다 / ‘최적상태’의 의미 / 도덕적 특질 / 도덕적 특질과 봉사 정도의 관계 / 독재 원리 및 민주주의 원리와 산업통제와의 관계 / 민주주의 원리의 증대 가능성을 기대하는 이유들 / 사회적 권력 일반 / 조직화 능력 / 자본가권력의 성격과 원천 / 언론과 공적 정서를 억압하는 요인 / 상층계급의 분위기

제24장 자본가계급의 우월성 II
야망 있는 청년층의 영향력 / 개방체계에서 지배계급의 안위 / 무질서와 약탈의 위험 / 과거와 현재의 부유층 영향력의 확대 정도 / 영국 부유층과 미국 부유층의 우월성 비교

제25장 저임금계층의 조직화
계급조직의 필요성 / 노동조합의 효용성과 위험성 / 육체노동계급의 일반적 성향

제26장 빈곤
빈곤의 의미 / 빈곤의 개인적 원인과 일반적 원인 / 불균형에 의한 풍요로운 사회의 빈곤 / 빈곤층은 ‘부적응자’인가 / 빈곤은 누구 탓인가 / 빈곤층에 대한 사회의 태도 / 빈곤에 대한 근본적 처방

제27장 계급 적대감
계급 적대감의 원인 / 봉사정신이 반감을 완화한다 / 부(富)의 위세 경감 방안 / 공유 가능성 / 확립된 규칙이 사회적 대립에 미치는 영향 / 대면 토론의 중요성

제5부 제도
제28장 제도와 개인 I
제도의 성격 / 세습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 어린이와 세계 / 사회와 개인 / 개인 대 제도 / 개성의 토대로서 제도 / 도덕적 측면 / 선택 대 메커니즘 / 개성: 제도의 생명 / 구조로부터 자유로운 제도

제29장 제도와 개인 II
사적 경향으로서 혁신 / 공적 습성으로서 혁신과 보수 / 연대 / 프랑스식 연대와 영국식 연대 / 전통과 관행 / 반대는 전통과 관행만큼 많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 중세사회와 근대사회의 실질적 차이 / 근대적 삶에서 나타나는 전통주의와 관례 존중

제30장 형식주의와 해체
형식주의의 성격 / 형식주의가 개성에 미치는 영향 / 근대적 삶과 형식주의 / 해체와 ‘개인주의’ / 해체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 해체와 형식주의의 관계 / ‘개인주의’와 공감 결핍 / 현대의 ‘개인주의’ / 불안 속의 초조함 / 해체의 긍정적 측면

제31장 해체: 가족
구 가족체제와 신 가족체제 / 출산율 저하 / ‘버릇없는’ 아이들 / 여성의 새로운 경력 기회 / 유럽의 견해와 미국의 견해 / 사적 이혼 사유 / 제도적 이혼 사유 / 결론

제32장 해체: 교회
심리학적 종교관 / 사회구조의 필요성 / 신조 / 상징의 형식성 / 좋은 상징체계의 속성 / 현대사회에서 종교의 필요성 / 교회의 새로운 경향

제33장 해체: 전통
경제체계의 혼란 / 교육의 혼란 / 상류문화의 혼란 / 순수예술의 혼란

제6부 공적 의지
제34장 공적 의지의 기능
공적 의지와 사적 의지 / 공적 의지의 결여 / 사회악은 전혀 의도된 것이 아니다

제35장 공적 의지로서 정부
정부는 공적 의지의 유일한 행위자가 아니다 / 상대적 견해: 하나의 행위자로서 정부가 가진 이점 / 정부의 기계적 성향 / 정부 활동에 우호적인 특성 / 지방자치 사회주의 / 자기표현: 국민의 기본 요구 / 국가기능의 실질적 확장

제36장 광범한 의지의 여러 측면
지적 과정의 효율성 증대 / 유기적 이상주의 / 폭넓은 도덕성 / 간접 봉사 / 사회구조의 단순성 및 유연성 증대 / 공적 의지: 변화 비용의 절감 / 인간 본성: 공적 의지 배후의 힘

?해제
?찾아보기
Author
찰스 호튼 쿨리,정헌주
초기 미국사회학자로서 미국 미시건대학교 사회학 교수를 역임했다. 1905년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와 함께 미국사회학회를 공동 창립하고, 1918년 미국사회학회 회장을 맡았다. 그가 창안한 ‘원초집단’, ‘거울자아’ 등의 개념은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의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주요 저작으로는 『인간 본성과 사회질서』(Human Nature and Social Order, 1902), 『사회조직』(Social Organization, 1909), 『사회과정』(Social Process, 1918), 등이 있다.
초기 미국사회학자로서 미국 미시건대학교 사회학 교수를 역임했다. 1905년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와 함께 미국사회학회를 공동 창립하고, 1918년 미국사회학회 회장을 맡았다. 그가 창안한 ‘원초집단’, ‘거울자아’ 등의 개념은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의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주요 저작으로는 『인간 본성과 사회질서』(Human Nature and Social Order, 1902), 『사회조직』(Social Organization, 1909), 『사회과정』(Social Process, 191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