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한양대 다문화교육연구센터에서 기획·출간된 책으로, 지식의 주관성과 해석을 강조하는 포스트실증주의 입장에서 질적연구를 하는 전통들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 저자가 말하는 전통은 가정, 세계관, 지향, 절차 그리고 실천의 복합체를 말하는데, 이런 문맥에서 볼 때 질적 연구는 지성적 전통에 의거한 공예로 볼 수 있다. 이 책은 서론 격인 1장 공예로서의 질적연구와 결론인 15장, 결론: 전통, 즉흥성 그리고 질적 통제 사이에 총 4부를 담고 있고, 각 부는 다시 그 부 전체를 개관하는 별도 텍스트로 시작된다. 이 책은 원래 사회 과학 분야에서 조직, 경영 등의 분야에 종사하는 학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저술되었다. 그러나 번역자들은 이 책이 (다문화)교육 등 타 사회과학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에게도 소중한 지식의 원천이 될 것으로 거듭 확신한다. 왜냐하면 보통의 연구방법론 책과 달리 연구의 과정 등 형식이나 절차보다는 질적 연구 전통들을 그 사상적 기반과 연관하여 알기 쉽게 설명하기 때문이다. 이지선 박사의 말 대로, “책꽂이에 꽂아두고 자주 방문해야 할 책”임이 분명하다. 번역자들은 이 책의 내용이 질적 연구 전통에 대한 ‘뿌리 깊은’ 이해를 하는데 반드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독자 제현들의 아낌없는 질정을 기대한다.
Contents
01 공예로서의 질적 연구: 포스트실증주의 전통들과 연구 스타일들
질적 연구의 수행에 존재하는 딜레마들
공예로서의 질적 연구: 연구 전통들과 스타일들
이 책에 관하여
1부 해석주의 전통들
02 상징적 상호작용론: 자아와 의미의 탐구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대한 철학적 영향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일반 개념들 일상적 삶의 상징적 특성 역할, 정체성 그리고 다중적 실재 협상된 질서들 상징적 상호작용론 전통에서의 연구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논쟁들과 새로운 방향들
03 해석학: 텍스트의 해석
철학으로서의 해석학 해석학적 전통에서의 중심 개념들해석학적 전통내의 연구
04 극작법과 드라마주의: 극장과 무대로서의 사회생활 55
극작법에 대한 철학적 배경 어빙 고프먼과 극작법 극작법 전통에서 연구하기케네스 버크와 드라마주의 철학 드라마주의 전통에서 중심 개념 드라마주의 전통 연구하기
05 민속방법론: 평범한 삶의 성취
민속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민속방법론의 중심 개념 민속방법론 전통에서의 연구 민속방법론의 공헌과 한계
06 문화기술지: 현지인에 대한 문화적 이해
문화기술지의 인류학적 유산 고전적인 문화기술지의 중심 개념들 개성이 강한 문화기술지 전통 문화기술지 전통에서 연구하기 문화기술지 전통에서의 논쟁과 새로운 방향
2부 심층구조 전통
07 기호학과 구조주의: 사회적 실재의 문법
기호학의 철학 기호학과 구조주의의 중심개념 기호학적 전통에서의 연구 구조주의의 최근 경향과 발전
3부 비판적 전통
08 유물사관: 계급, 갈등 그리고 지배
마르크스의 철학 유물사관의 주요 개념 유물사관론 전통에서의 노동 유물사관에 대한 비판과 논의
09 비판이론: 헤게모니, 지식생산과 의사소통 행위
비판이론의 철학비판적 이론에서의 중심 개념 비판적 이론 전통 연구하기 비판이론에 대한 논쟁과 새로운 방향
10 페미니즘: 핵심적 사회 원리로서의 젠더
페미니스트 이론과 철학 페미니스트 전통의 중심 개념들 페미니스트 전통에서 연구하기 토론 그리고 페미니스트 전통에의 새로운 방향들
11 구조화 이론과 인간 행동학: 권력의 구조들 속에서 이원론 극복하기 247
앤서니 기든스와 구조화 이론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의 중요 개념들 구조화주의자 전통에서 연구 사회와 사회 연구에 대한 부르디외의 이해 부르디외의 인간행동학의 중심 개념들 부르디외의 인간행동학의 전통에서 연구
4부 ‘포스트’의 전통들 289
12 포스트모더니즘: 이미지와 ‘진리’와의 유희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던 지식보드리야르와 포스트모던 사회 포스트모던 전통에 대한 연구 포스트모던 전통에서의 비판과 논쟁
13 포스트구조주의: 담론, 영역과 해체
해체 철학 해체의 주요 개념들 푸코의 지식 고고학과 계보학 푸코 포스트구조주의의 주요 개념들 권력과 권력/지식 포스트구조주의 전통에서 연구하기 포스트구조주의 전통에 대한 반응
14 포스트식민주의: 제국주의에 대한 폭로와 저항
포스트식민주의 전통의 등장 포스트식민주의 전통에서의 중심 개념들 포스트식민주의 전통 연구
15 결론: 전통, 즉흥성 그리고 질적 통제
질적 연구에서의 전통과 즉흥성질적 통제: 개인의 주도권질적 통제: 문지기 질적 연구를 빚는 즐거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