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설야 문학의 중요한 의미론적 요소인 생산력주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한설야에게는 생산양식의 한 축을 이루는 생산관계에 대한 집요한 문제 의식 뿐만 아니라 생산력에 대한 강조 역시 만만치 않은 힘을 발휘하고 있었다. 한설야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생산력주의가 다른 프로작가들에게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를 단계적으로 탐구해 본 것이 이 저서의 핵심이다. 가장 먼저 관심을 기울인 대상은 한설야와 더불어 한국 프로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인 이기영이다. 이기영은 한설야보다도 생산력주의에 더욱 경도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작가의 각기 다른 문학적 행로를 설명할 수 있는 유력한 근거라고 생각한다. 아쉬운 점은 이기영의 생산력주의를 해방 이후까지 확장시켜 연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러한아쉬움은 앞으로의 연구를 추동하는 동력으로 삼고자 하다. 또한 거의 잊혀지다시피 한 월북작가 김영석을 생산력주의라는 문제의식 하에서 다루었다. 더불어, 시대적으로는 생산력주의가 문단에 가장 폭넓게 받아들여지던 일제 말기 소설들의 일반적인 양상도 살펴보았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1장 한설야 소설에 나타난 생산력주의
1. 생산과 근대
2. 서술자의 중립적 태도에 나타난 생산력주의
3. 제국담론의 전유를 통해 드러난 생산력주의
4. 북조선식 노동영웅들
5. 결론
2장 한국 전쟁의 기억과 사회주의적 개발의 서사 ― 한설야의 『성장』
1. 한설야의 마지막 장편소설『성장』
2. 한국 전쟁에 대한 전유
1) 경덕의 침묵과 발화가 의미하는 것
2) 축소된 국가로서의 병원
3) 국가라는 대가족
3. 스타하노프(Stakhanov)형 인간의 완성
1) 천리마 시대의 풍경
2) 집단주체의 일원 되기
4. 성장이 지닌 의미와 균열의 지점들
3장 일제 말기 이기영 소설에 나타난 생산력주의
1. 이기영 문학의 연속성 이해를 위한 전제
2. 만주라는 환상과 생산력주의
1) 무갈등의 시공과 생산력 강조 ― 이기영의『대지의 아들』
2) 생산력주의의 내파 ― 한설야의『대륙』
3) 일제 말기 두 가지 생산문학론 ― 최재서와 임화
3. 일제 말기 생산력주의의 귀결 ―』동천홍』과『광산촌』
4. 생산력주의의 등장 배경
5. 결론
4장 이기영의 『처녀지』 연구 ―남표와 선주의 죽음을 중심으로
1. 이기영의 마지막 생산소설
2. 이념적 연애가 낳은 선주의 죽음
3. 공동체와 연대성의 특권적 지점으로서의 노동
4. 개인이 소거된 공동체의 비극
5. 남표와 선주의 죽음이 의미하는 것
5장 이기영 소설에 나타난 만주 로컬리티
1. 로컬리티(locality)의 기본적인 특성
2. 도시와 농촌의 이분법, 하얼빈과 신경 對 개안둔과 정안둔
3. 지방주의(localism)의 관점에서 바라본 만주
1) 『대지의 아들』 : 중심부로서의 조선 ― 주변부로서의 개양둔
2) 『처녀지』 : 중심부로서의 일본 제국 ― 주변부로서의 정안둔
4. 한설야와의 비교 ― 분열된 일본인의 시각에서 바라본 만주 로컬리티
6장 일제 말기 생산소설의 정치적 성격 연구
1. 『춘추』에 수록된 단편소설들
2. 균열과 저항의 양상들
1) 일제의 억압적 권력에 대한 형상화
2) 농촌의 모순적 생산관계 드러내기
3) 징후를 통해 균열의 흔적 드러내기
4) 자율적 정치공간의 형상화
3. 국책에 순응하는 양상들
1) 전통「동양」국책으로의 귀환
2) 무갈등의 시공 드러내기
4. 결론
7장 김영석 소설 연구 ―생산의 문제를 중심으로
1. 잊혀진 이름 김영석
2. 노동의 윤리와 생산에 대한 강조
3. 해방기 노동현실의 형상화
4. 기억의 정치를 통한 북한의 생산관계 은폐
5. 결론
제2부
1장 한설야의 『열풍』 연구
1. 세 명의 한설야 : 1920년 북경, 1944년 함흥, 1958년 평양
2. 신채호와 한설야
1) 작품 속에 형상화 된 신채호의 모습
2) 신채호와 손빈의 거리
3. 신채호가 주장한 한중연합론의 문학적 구현
4. 신채호의 영향력과 연애서사의 변화
5. 결론
2장 한설야 단편소설의 개작 양상 연구 ― 외국인 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1. 서론
2. 일본인 형상의 변화를 통한 식민지적 생산관계의 모순에 대한 강조
3. 중국인 형상의 변화에 나타난 반식민주의적 의식의 강화
4.인물 형상화의 이분법과 현실 극복 의지의 강조
5. 결론
3장 한설야 장편소설의 개작 양상 연구
1. 개작 양상 연구의 필요성
2. 서사적 내용의 변화
1) 반일의식의 강화
2) 기층민중의 이상화
3) 혈통의 순결성 강조
4) 사회주의적 연애의 경직화
5) 사제관계의 강화와 그 정점으로서의 김일성
3. 표현 형식에 있어서의 변화
4. 결론
4장 현덕의 삶과 문학세계
1. 실증적 검토의 필요성
2. 현덕의 전기적 생애
1) 출생 및 성장 환경
2) 등단 및 작품활동
3) 해방 이후의 행적
3. 공동체의 해체 과정과 아동 인물의 의미
1) 공동체 해체 과정의 형상화
2) 가정과 학교로부터 소외된 아동들
3) 상상적 전망으로 제시된 아동의 성장
4. 도시 공간의 전면화와 아동 인물의 사라짐
5. 이념형 인물에게서 발견한 아동의 모습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