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포비아

$25.52
SKU
978896680978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30 - Wed 06/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7 - Wed 05/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05/31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66809783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게임은 정말 악의 근원일까?
게임 담론에 숨겨진 권력의 전략을 낱낱이 밝힌다


게임포비아 담론의 핵심 기제는 뭔가? 불안과 공포 조성이다. 기존 미디어는 어떤 역할을 하나? 설명, 협박, 설득의 형태로 게임포비아를 전파한다. 누가 타깃이고, 어떤 효과를 낳나? 청소년과 학부모에서 시작해 사회 전체로 확산되며 문화정치적 지형을 보수화한다. 연구자 10명이 게임포비아 담론의 발생, 유포, 재생산 원리를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게임 담론에 숨겨진 권력의 전략을 낱낱이 밝힌다.
Contents
서문 게임포비아, 권력에 의한 담론의 허구적 배치

01 뉴미디어포비아: 올드미디어의 오만과 편견
인서트 코인
뉴미디어포비아의 역사
뉴미디어포비아의 형성 과정: 텔레비전, 인터넷 그리고 게임
텔레비전과 인터넷: 반복되는 뉴미디어 담론화 전략
새로운 포비아의 형성: 게임포비아
뉴미디어포비아: 반복되는 담론의 역사

02 텔레비전포비아와 게임포비아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의 갈등
텔레비전포비아
텔레비전의 확산
텔레비전과 기존 미디어 간 갈등
게임포비아
게임의 탄생과 발전
게임과 기존 미디어 간 갈등
텔레비전포비아와 게임포비아

03 누가 게임을 두려워하랴?
게임포비아의 두 가지 관점
게임포비아 발생의 배경
게임포비아의 특이성
포비아의 포비아
가치에 대한 강박
게임 기술의 무지
세대 문화의 차이
게임포비아와 사회적 관리 장치
‘게임포비아’에서 ‘게임필리아’로

04 게임포비아에 대한 미디어 담론의 구성과 내용
범죄와 게임, 그리고 공포
담론 분석의 대상과 절차
기사 제목 속 게임의 의미
정상성과의 대립
교육과의 대립
건강과의 대립
현실적 유용성과의 대립
산업으로서의 게임
공포를 파는 언론

05 게임 담론의 위계화와 떠도는 공포
게임은 위험하다?
학부모와 게임 이용자 담론이 만들어지는 장소
학부모와 게임 이용자 담론의 양상
학부모 담론
게임 이용자 담론
학부모와 게임 이용자 담론의 구성
선택적 담론의 형성과 위계화
담론 간 소통의 부재
현대의 불안과 정체 없는 공포

06 금지된 세계에 대한 금지된 상상
공포의 뿌리
금지된 세계, 사이버스페이스
마법에 의한 가상세계: 템페스트
과학에 의한 가상세계: 금지된 세계
금지된 상상: 사이버네틱스
가상의 공포

07 소셜 게임은 우리를 어떻게 유혹하는가?
가상세계 대 거울세계
소셜 게임의 시대
소셜 게임이란 무엇인가?
누가 어떻게 소셜 게임을 즐기는가?
소셜 게임은 어떻게 돈을 버는가?
행동경제학의 간계
소유효과
상호성
게임이면서 게임이 아닌 소셜 게임의 미래

08 임포스터 혹은 컴퓨터게임의 혼종화
컴퓨터게임과 인간적 층위
컴퓨터게임과 사회적 충돌
컴퓨터게임은 비사회성을 지닐까?
컴퓨터게임의 변화에 대한 해석
임포스터, 컴퓨터게임 변화의 귀결
Author
강신규,나보라,박근서,박상우,윤태진,이동연,이설희,조은하,주재원,허준석
한국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학과 교수다. 중앙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간 ≪문화/과학≫ 편집인 및 ‘문화연대’ 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플랫폼창동61’ 총괄 예술 감독이자 ‘예술세상 마을프로젝트’ 예술 감독을 겸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 위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새문화정책준비단’ 단장을 맡고 있다. 문화 이론을 연구하고 문화 운동 현장에서 대안적인 문화 기획을 하며 공연 제작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한다. 대표 저서로서는 『문화연구의 종말과 생성』(2017), 『게임 이펙트: 행복한 뇌를 만드는 게임의 문화심리학』(2014), 『문화자본의 시대: 한국 문화자본의 형성 원리』(2010), 『대안문화의 형성』(2010), 『문화부족의 사회: 히피에서 폐인까지』 (2005), 『대중문화연구와 문화비평』(2002) 등이 있다.
한국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학과 교수다. 중앙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간 ≪문화/과학≫ 편집인 및 ‘문화연대’ 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플랫폼창동61’ 총괄 예술 감독이자 ‘예술세상 마을프로젝트’ 예술 감독을 겸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 위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새문화정책준비단’ 단장을 맡고 있다. 문화 이론을 연구하고 문화 운동 현장에서 대안적인 문화 기획을 하며 공연 제작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한다. 대표 저서로서는 『문화연구의 종말과 생성』(2017), 『게임 이펙트: 행복한 뇌를 만드는 게임의 문화심리학』(2014), 『문화자본의 시대: 한국 문화자본의 형성 원리』(2010), 『대안문화의 형성』(2010), 『문화부족의 사회: 히피에서 폐인까지』 (2005), 『대중문화연구와 문화비평』(200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