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는 21세기 아시아의 문화 콘텐츠에 등장하는 생령, 요괴, 강시, 좀비 등 여러 사후적·영적 존재들을 ‘계류자들’이라 명명하며 동시대 귀신 서사를 탐구한다. 웹툰 〈조명가게〉, 만화 『백귀야행』, 소설 『눈에 보이는 귀신』,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 드라마 〈킹덤〉을 비롯해 사후적·영적 존재를 다루는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홍콩 등 아시아의 콘텐츠를 두루 아우르며 귀신을 둘러싼 우리 시대의 문화적 상상력을 이해해보려 한다. 이 책은 오늘날 귀신이 국적, 인종, 종교, 지역, 성별 등 경계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차별과 혐오에 저항하는 아이콘으로 거듭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과학기술 시대의 귀신이 인간 이후, 즉 포스트휴먼적 상상력을 통해 인간됨의 의미를 되묻는다는 점에서 귀신 콘텐츠를 새로운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역설한다.
Contents
프롤로그: 귀신은 무엇으로 사는가
1장 왜 다시 귀신인가
21세기 아시아 귀신이란?
귀신의 신체, 형상과 재현
감각체로서의 귀신과 젠더
사유체로서의 귀신과 포스트휴먼
아시아 귀신의 행동 미학
2장 관리되는 귀신, 퇴치되는 공포
사망배달부, 저승사자, 호스피스: 〈아파트〉
귀신과 인간의 공조 진화: 〈바리공주〉
신출귀몰 천문의 해석가: 『음양사』
인·귀·요괴의 공존과 경계 분리: 『백귀야행』
글로벌 악령: 〈검은 사제들〉
3장 귀신과 교섭하기, 로맨스와 공생
귀신과 로맨스: 〈주군의 태양〉, 〈오 나의 귀신님〉
귀신과의 공생·동거: 요시모토 바나나와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4장 생동하는 귀신, 회생하는 전통
금지된 전통, 살아 있는 영과 귀: 가오싱젠의 소설과 희곡
여자 귀신의 자기계발과 역사 쓰기: 『눈에 보이는 귀신』
한국 고전의 신선과 귀신: 『어우야담』
중국 고전의 원혼과 귀신: 『원혼지』, 『요재지이』
일본 근대의 귀신담과 그로테스크: 『야창귀담』, 「벚꽃 만발한 벚나무 숲 아래」
7장 귀신의 증식과 포스트휴먼
강시, 부식된 죽음의 유희 은유로서의 좀비: 〈부산행〉, 〈창궐〉, 〈킹덤〉
뱀파이어, 안티-비체와의 조우: 『렛미인』
AI와 안드로이드의 딜레마: 〈그녀〉, 필립 K. 딕의 소설들
귀신의 기시감과 시간여행: 〈말할 수 없는 비밀〉, 〈지금, 만나러 갑니다〉
에필로그: 아시아 귀신의 미학과 문화 동력
주
Author
최기숙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전문학과 한국학, 젠더와 감성 연구를 한다. 영역을 횡단하며 글을 쓰는 창의활동가를 지향한다. 저서로 『처녀귀신』(2011), Classic Korean Tales with Commentaries (2018)가 있고, 『제국신문과 근대』(2014), Bonjour Pansori! (2017), 『集體情感的譜系』(2018), 『韓國, 朝鮮の美を讀む』(2021), Impagination (2021) 등의 공저를 서울, 파리, 타이페이, 도쿄, 베를린에서 출간했다. 「조선시대(17세기-20세기 초) 壽序의 문예적 전통과 壽宴 문화」(2012), 「신자유주의와 마음의 고고학」(2014), ?여종과 유모」(2017), 「말한다는 것, 이른바 ‘왈(曰)’을 둘러싼 한글 소설 향유층의 의사소통 이해와 실천」(2021) 외 다수의 논문을 썼다.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전문학과 한국학, 젠더와 감성 연구를 한다. 영역을 횡단하며 글을 쓰는 창의활동가를 지향한다. 저서로 『처녀귀신』(2011), Classic Korean Tales with Commentaries (2018)가 있고, 『제국신문과 근대』(2014), Bonjour Pansori! (2017), 『集體情感的譜系』(2018), 『韓國, 朝鮮の美を讀む』(2021), Impagination (2021) 등의 공저를 서울, 파리, 타이페이, 도쿄, 베를린에서 출간했다. 「조선시대(17세기-20세기 초) 壽序의 문예적 전통과 壽宴 문화」(2012), 「신자유주의와 마음의 고고학」(2014), ?여종과 유모」(2017), 「말한다는 것, 이른바 ‘왈(曰)’을 둘러싼 한글 소설 향유층의 의사소통 이해와 실천」(2021) 외 다수의 논문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