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저자 공로명(孔魯明)은 외무부 장관을 역임한 원로 외교관이자 대한민국 외교의 ‘산 증인’이다. 그는 1958년 4월 외무부에 발을 들여놓은 이래 1996년 11월 외무부 장관을 사임할 때까지 38여 년간 우리 외교의 현장을 보고 듣고, 몸소 겪어왔다. 퇴임한 후로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동국대와 한림대, 동서대에서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그 후의 우리 외교의 발자취’에 관하여 강의를 했다.
그는 외교관이 된 지 2년 뒤 자신의 눈으로 직접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의 하야를 지켜보았다. 1979년 10월 26일 청와대 옆의 궁정동에서 일어난 박정희(朴正熙) 대통령 시해 사건은 서울보다 8시간 늦게 이집트 카이로에서 알게 되었다. 카이로의 한국 총영사로 부임한지 불과 2개월, 서울을 떠나기 전 청와대에서 박 대통령으로부터 격려의 말과 격려금까지 받은 그로서는 믿기 어려운 일이었다고 한다. 그는 이렇게 적었다.
“대통령 유고라는 얘기에 나는 1962년 11월 워싱턴에서 점심 먹고 대사관에 들어서자 듣게 된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 당시 상황이 머리에 떠올랐다. 문명천지 미국에서 대통령 암살이라니! 라고 느꼈던 것이다. 세상에는 믿기 어려운 일들이 일어나는 법이다. 박정희 대통령도 신임하던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에 쓰러졌다. 이렇게 한국의 큰 별은 진 것이다.”
책의 부제(副題)가 ‘안에서 듣고 보고 겪은 한국외교 50년’인 것처럼 그는 「이승만에서 박정희까지」의 한국 외교사를 자신의 눈으로 담담하게 기록했다.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말이 있다. 우리는 지난 1970년대의 민주화를 위한 격동기를 겪는 가운데 수정주의적 입장에서 우리의 과거를 돌아보는 사조의 도전을 받았고, 지금도 그러한 갈등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점에서 대한민국의 체제 속에서 보고 겪은 우리의 외교를 기록으로 남긴다는 심정으로 글을 정리했다.”는 것이 조용한 성품의 저자다운 ‘집필의 변(辯)’이다.
Contents
제1부; 해방, 혼란, 그리고 분단
조선의 개국과 독립주권 문제
임시정부 수립과 승인 문제
38도선 획정과 한반도의 분단
모스크바 3상 회의와 미·소 공동위원회
이승만 박사의 단독정부 수립 제의
한국 문제의 유엔 상정
제2부; 이승만, 대한민국을 세우다
유엔 감시 하 총선거와 정부 수립정부 수립 초기의 외교활동6?25전쟁 발발과 유엔의 참전소련 측의 초기 대응38도선 돌파와 중공군의 개입휴전협정 교섭휴전 성립제네바 정치회담참전국과의 유대관계한일회담 개최제1차 회담에서 제3차 회담까지제4차 한일회담과 재일동포 북송 문제
제3부; 4?19혁명과 민주당 정권
과도 정부 등장민주당 정부의 대외정책의 기조제5차 한일회담 개막통일 논의와 북한의 연방제 공세
제4부; 박정희, 부국(富國) 건설의 빛과 그림자
군사혁명정부의 출현한일 국교 정상화제3공화국의 적극적 대외관계 전개한국의 베트남 참전과 그 의의박 대통령의 서독 방문과 경제외교 전개국제경제기구 진출
한미행정협정(SOFA)의 체결과 추이뤼브케 서독 대통령의 방한과 동백림 사건의 전말1.21 사태와 푸에블로호 납치 사건
유엔에서의 한국 문제 토의 경과비동맹 가입 시도와 실패괌 독트린과 미 7사단의 철수키신저의 베이징 방문과 핑퐁 외교
7.4 남북공동성명과 6.23 선언
제5부 요동치는 한미관계와 박 대통령 시해
박동선 사건과 적신호가 켜진 한미관계
김대중 납치사건문세광에 의한 육영수 여사 피격 사건
이대용 공사 석방을 위한 3자 비밀 협상카터 대통령과 한국관계박정희 대통령, 최측근의 흉탄에 쓰러지다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