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오늘날 언론에 내재한 선정성의 문제를 ‘이야기’라는 인간 본연의 화두를 가지고 접근하여, 궁극적으로 미래에 우리가 소통·공감할 ‘이야기’는 과연 어떤 형태를 띠어야 하는지 모색한다. 그래서 책은 오늘날 소통매체 발달과 더불어 직면한 선정의 문제를 과거 신화에서부터 한국보다 대중매체가 먼저 발달한 외국의 선정성 역사를 짚어보고, 한국 언론의 선정성이 어떤 모습과 형태로 유통되고 변천했는지를 살펴본다. 그러면서 선정성이 어떻게 상업주의와 관계를 맺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지도 심도 있게 분석한다. 나아가 책은 과거와 현재 신화와 언론에 드러나는 선정성을 살피는 것뿐 아니라 21세기는 만물과 소통·공감하는 ‘이야기’여야 함을 역설하고, 이 중심에는 교육을 두어 초개체화를 통한 교육복지의 선정화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Contents
서문
제1장 단군 신화의 원시형에 내재(內在)한 신화적 선정성과 모성적 소통ㆍ공감 복지
1. 단군신화에 내재한 야성적 선정성: 이야기(Story)로서의 ‘신화적 선정’과 자연 중심의 ‘모성적 소통’
(1) ‘단군왕검’의 심층적 문장구조에 내재한 이야기로서의 신화적 선정이 지닌 야성적 소통/(2) 개체의식(魂)으로서의 ‘웅녀(熊女)’에 내포된 모성적ㆍ선정적 소통ㆍ공감 에너지원(源)
2. 단군신화의 원시형을 통해 본 모성적 선정(煽情)사상
(1) 고대 야성적 원시시대의 소통과 관련된 단군신화 속 주요 조어들이 지닌 선정적 의미바탕(意味相)/(2) 단군 신화의 원시형에 내재한 신화적 선정과 모성적 소통ㆍ공감 복지
제2장 ‘말’ 관련 조어(祖語) 속의 이미지 판(板)에 나타난 우리나라 고대 구어적 선정
1. 신화적 선정의 실체에 다가가는 길
2. 조어연구가 중요시된 동기 및 연구경향의 변천, 그리고 선사시대 이미지적 선정연구에 있어 조어가 지니는 자료적 의미
(1) 초기 단계/(2) 확립단계/(3) 젊은이 문법학자시대
3. ‘말’ 관련 조어들에 내재한 신화적 선정 이미지
4. ‘말’ 관련 조어(祖語) 속에 내재한 고대인들의 소통 중심 과정(S-M-C-R-E)상의 선정관(觀)과 이미지적 선정판(煽情板)
(1) ‘말’ 관련 조어 속에 나타난 소통 중심 과정(S-M-C-R-E)상의 선정관(煽情觀)/
(2) ‘말’ 관련 조어 속에 내재한 이미지적 선정판(板)
5. ‘놀이’하는 인간인 호모 루덴스(Homo Ludens)로서의 우리나라 고대인이 지닌 ‘묻다’를 중심으로 한 선정성
제3장 언론의 선정성: 인문적 시원(始源)과 담론적 전개
1. 선정주의의 시원적(始源的) 인문성(人文性)
2. 도덕성을 일탈한 선정의 역사적 첫걸음
3. 상업주의적 선정을 둘러싼 부정적 사유 지평(地平)과 도덕논쟁
(1) 부정적 사유지평(思惟地平)/(2) 도덕논쟁/(3) 1930년대 이후 선정주의에 대한 도덕논쟁의 변화
제4장 선정주의 발생에 관한 제이론
1. 언론을 선정주의로 이끄는 제 영역
(1) 제1영역: 언론자본영역/(2) 제2영역: 도시문화영역/(3) 제3영역: 심리학적 영역
2. 선정주의에 관한 제(諸)이론
(1) 상업주의이론/(2) 도시문화이론/(3) 산업사회가 구조적으로 개인에게 부과한 심리적 좌절이론 /(4) 탈도덕적 경제이데올로기이론/(5) 익명적 소통이론
제5장 한국 언론의 선정주의
1. 시기별 선정주의의 특성
(1) 비상업적인 정치적 선정주의기(1896년~1953년)/(2) 정치적 선정주의+도덕적인 흥미본위 선정주의기(1954년~1967년)― 명목적(名目的) 상업주의기/(3) 순수 상업주의적인 도덕적+비도덕적 흥미본위 선정주의기(1968~현재까지)
2. 한국 언론의 선정주의 생성(生成)의 사회문화적 특성
제6장 한국언론의 선정주의와 사회생태체계
1. 사회생태체계론적 한국언론의 선정주의
2. 1970년대 전후 후진국형 근대화와 언론의 선정주의
(1) 후진국형 근대화와 1970년대 전후 사회체계의 선정주의 지향성/(2) 언론사의 내적 선정주의 지향성
3. 선정주의 벡터(Vector)의 사회생태체계적 통합과정
제7장 1970년대 전후 신문의 상업주의적 선정주의: 자성적 거대담론
1. 1970년대 전후 한국언론의 상업주의적 선정성
2. 상업주의적 선정주의에 대한 언론사 내적 자기 성찰의 대두
제8장 1980년대 한국언론의 친(親)정부적ㆍ정치적 선정주의와 그에 대한 민중적 제1차 저항운동
1. 시청료거부운동의 배경
(1) 정치적 문제산맥/(2) 경제적 문제산맥/(3) 반문화적 문제산맥
2. 시청료거부운동의 발단
(1) 1980년대 시청료거부운동의 발단/(2) 최초 TV 시청료거부운동의 시기와 이를 조직화한 단체
3. 시청료거부 범국민운동 주도세력들의 특성
(1) 종교권/(2) 신민당을 중심으로 한 제도정치권과 민추협을 중심으로 한 재야/
(3) 대학가
제9장 한국의 1980년대 TV 시청료거부운동의 확산과 시민 참여
1. 시청료거부운동의 전개― 대중적 관념지(觀念知) 형성을 위한 노력
(1) 성명서 및 전단제작ㆍ배포/(2) 스티커 제작ㆍ배포/(3) 대언론(對言論) 홍보/(4) 교육 세미나ㆍ강연회 및 기타 홍보
2. 시청료거부운동에 대한 정부의 대응
(1) KBS를 통한 정부 당국의 간접대응/(2) 보도통제를 통한 정부 당국의 직접대응
3. 시청료거부운동에 대한 국민의 참여도―대중적 실천지(實踐知)의 형성
찾아보기
Author
박허식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계사회학회 회원응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한국언론의 선정주의 변천에 관한 사적 연구: 신문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초개체화 현상에 관한 연구」,「조선조 말· 일제하 시기 가족윤리 변천에 관련된 주요 사회변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유교 가족윤리의 해체 전기(전기: 1980년대 초부터 1919년 3· 1운동 이전까지)에 있어서의 가족윤리에 대한 사회적 담론」, 「유교 가족윤리 해체 후기(1919년 3· 1운동 이후부터 1950년 6· 25 동란 이전까지)에 있어서의 가족윤리에 대한 사회적 담론」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근대가족윤리』,『동양의 고대 커뮤니케이션 사상』 『제3천년 신인류의 정체성 분열과 신화적 모성 중심 소통·공감 복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계사회학회 회원응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한국언론의 선정주의 변천에 관한 사적 연구: 신문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초개체화 현상에 관한 연구」,「조선조 말· 일제하 시기 가족윤리 변천에 관련된 주요 사회변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유교 가족윤리의 해체 전기(전기: 1980년대 초부터 1919년 3· 1운동 이전까지)에 있어서의 가족윤리에 대한 사회적 담론」, 「유교 가족윤리 해체 후기(1919년 3· 1운동 이후부터 1950년 6· 25 동란 이전까지)에 있어서의 가족윤리에 대한 사회적 담론」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근대가족윤리』,『동양의 고대 커뮤니케이션 사상』 『제3천년 신인류의 정체성 분열과 신화적 모성 중심 소통·공감 복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