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에 소통은 가능할까?
아사히신문 「논좌」 한국인 칼럼니스트 서정민 교수가 전하는 한국과 일본 이야기
일본 메이지가쿠인대학(明治?院大?)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서정민 교수가 지난 수년간 아사히신문에 연재한 칼럼을 한 권의 책으로 엮어냈다. 한국과 일본 두 나라를 40여 년간 오가며 경계인으로, 지식인으로 그리고 생활인으로서 늘 민감하게 한일 관계의 온도를 체감하며 지내는 저자이지만 이 책 『일본이라는 이웃』에서 한국과 일본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그의 목소리는 의외로 담담하다.
그것은 저자가 오랫동안 한일 두 나라에서 보낸 촘촘한 시간과 경험을 거름망 삼아 정치와 이해관계에 따라 수시로 바뀌는 여론과 감정은 거둬내고 오롯이 한일 관계의 바탕이 되는 역사, 문화, 종교를 중심으로 톺아보았기 때문이다. 저자는 먼저 일본과 한국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것들을 있는 그대로 돌아보면서 한일 관계를 풀어낸다. 요즈음 일본에서 화제가 된 ‘통일교’에 관해서도 저자는 일찌감치 수많은 신흥종교가 활개 칠 수 있는 일본의 종교성을 간파해 칼럼으로 게재한 바 있다. 그러한 이유로 비교적 진보 매체에 속하는 아사히신문이지만 연재 당시에는 일본 독자와 한국 독자들의 저항도 간혹 있었다(저자의 칼럼은 아사히신문 역사상 처음으로 일본어와 한국어 동시 게재되었다). 그럼에도 저자는 자신의 원칙대로 아픈 역사는 아픈 대로, 아쉬운 것은 아쉬운 그대로를 논했다. 물론 한일 관계의 역사적 질곡과 어두운 그림자 틈에 자리 잡은 희망 한 톨 역시 고스란히 전한다. 저자가 틈틈이 화폭에 담아낸 한일 풍경 그림과 함께 말이다.
Contents
1부 일본에서 본 한국
남북 화해와 한국인의 정서
영화 〈택시 운전사〉에 서린 한국인의 회한
한국사를 움직이는 ‘우민愚民’
한국의 ‘코비드19’ 대책에는 ‘세월호 참사’의 교훈이 있다
일본어로 읽은 『82년생 김지영』
초등학교 3학년 때 그렸던 반공 포스터
정교분리론의 참 의미
대통령의 종교
2부 일본에서 본 일본
도담삼봉의 ‘정자’는 일본에 없다
신의 나라 일본과 무종교의 일본
“도쿄는 아시아의 파리와 같았다”
정치와 종교적 카리스마
3부 새로운 한일 관계를 위하여
유신시대 한국 대학가 풍경
한일의 대중문화에서 보는 희망
때로 한마디 말이 한일 관계를 꼬이게 한다
마츠시로 대본영 유적지 갱도에 새긴 한글 낙서
친일파의 후예는 친미, 친중파가 된다
김일성주의와 근대 천황제
일본을 탓하지 않았던 3.1 운동
한국인이 잊을 수 없는 일본인 ― 노리마츠 마사야스, 소다 가이치
한·중·일 대립과 갈등의 역사를 초월하여
4부 일본에서의 나의 삶
‘소박한’ 학자와 교수의 삶을 기뻐하며
장애인과 함께 살아가는 일
인문학을 위하여1
― 인문학적 사고 연습의 필요성
인문학을 위하여2
― 효율에 몰두하다가 잃어버리고 마는 것들
인문학을 위하여3
― 역사에서 1+1=2가 실재한 적은 없다
인문학을 위하여4
― 타인의 인생을 이해하는 학문
Author
서정민
종교와 역사 연구자이다. 한국의 연세대학교와 일본 도시샤대학에서 수학하고, 모교인 연세대학교 교수로 오랫동안 재직했다. 2010년 이후 현재 일본 도쿄 메이지가쿠인대학 교수이며 대학의 유니버시티 직할 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로 간행된 많은 저서가 있고, 다수의 학술논문과 국제학회 발표 경력이 있다. 젊은 시절부터 문학과 미술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일본 아사히신문사 칼럼 전문저널인 아사히 논좌의 칼럼니스트, 에세이스트로도 활동 중이다.
종교와 역사 연구자이다. 한국의 연세대학교와 일본 도시샤대학에서 수학하고, 모교인 연세대학교 교수로 오랫동안 재직했다. 2010년 이후 현재 일본 도쿄 메이지가쿠인대학 교수이며 대학의 유니버시티 직할 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로 간행된 많은 저서가 있고, 다수의 학술논문과 국제학회 발표 경력이 있다. 젊은 시절부터 문학과 미술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일본 아사히신문사 칼럼 전문저널인 아사히 논좌의 칼럼니스트, 에세이스트로도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