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와 영성

$18.36
SKU
978896447740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1/26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88964477403
Categories 종교 > 기독교(개신교)
Description
오늘의 대중문화 속에 녹아있는 영성을 읽는다

한 세기 전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근대 사회의 특징을 ‘탈주술화’라는 개념으로 설명한 바 있다. 탈주술화로 인간은 자유를 실현하였고 자연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었지만, 도덕성은 물질주의와 긴밀하게 연결되었고, 모든 행동의 판단은 비용과 편익으로 환원되는 세상이 되어 기계주의적이고 물질주의적인 특성을 강화시켰다. 나아가 인간 삶의 의미를 빈약하게 만들었고, 초월적 가치를 추구하는 영혼의 목마름을 적셔줄 수 없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 세상을 넘어서는 영원에 대한 갈망, 인간을 넘어서는 존재에 대한 열망, 지금 이곳 너머에 존재하는 궁극적 존재에 대한 염원 등은 인간의 마음속 깊은 곳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이러한 열망과 염원은 인간의 영성의 출발점이다.

영성은 인간이 자기의 삶을 신이나 어떤 초월적 존재에 관련시키는 믿음이나 모든 활동으로 구성된다. 탈주술화된 관점을 가지고 이러한 영성을 이해하기는 어렵다. 신의 영역이나 초월의 영역은 결코 탈주술화될 수 없는 영역이고 상태이고 또 관계이다. 영성은 제도화된 종교와 불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종교성은 초월과 맞닿는 내적 경험인데, 종교가 제도화되면 이러한 영성이 제도 안에서 제대로 표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제도화된 종교의 메마른 영성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종교운동, 신앙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또 제도 종교를 떠나거나 비판적으로 거리를 두는 사람들 중에 적지 않은 이들이 새로운 영성을 찾는다. 많은 경우에 이러한 영성은 대중문화 속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근대 이전에 새로운 영성을 찾던 방식과 다른 현대적 영성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 책에 담긴 글들은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야기된 ‘뉴노멀’이 아니어도 이미 빠른 속도로 변해가고 있는 오늘의 한국과 아시아 사회에서 대중문화의 흐름에 주목하여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비판적 성찰을 통해 기독교 공동체가 어떤 대응과 어떤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가를 모색하는 연구문들이다. 오늘의 대중문화가 지니는 특성 가운데 하나는 ‘재주술화’라는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세상이 과학적 이성만으로 설명이 되지는 않고 신비와 기묘함, 예언자적 상상이 넘쳐나는 곳이라고 보는 것으로, 이러한 재주술화가 가장 잘 표현되는 곳 중의 하나가 바로 대중문화이다. 대중문화를 이러한 시야로 바라보는 이 책의 글들은 최근의 한국 대중문화를 이해하려는 독자, 기독교적 비평과 대안에 관심있는 독자 그리고 기독교의 문화 선교에 관심을 가진 모든 독자와 현대 대중문화를 다면적으로 이해하려는 독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발간에 즈음하여

1부 상황과 문화

1. 세속 시대의 대중문화와 영성 _ 이병성
2. 휴머니즘의 빛과 그림자
포스트휴머니즘의 문화적 양상 _ 전철
3. 뉴트로 문화로 드러난 이미지 지배의 사회 _ 이민형
4. 뉴미디어 사회 속 ‘인플루언서’ 현상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 _ 김상덕
5. 가상세계와 증강현실에 상주하는 디지털 세대에 대한 전도 가능성 _ 남성혁
6. 한국 혼령 판타지 드라마의 종교적 조명 _ 김구

2부 텍스트와 삶

7. 팬데믹 시대의 가족 서사 고레에다의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2013)를 읽는 두 개의 관점 _ 강응섭,백승희
8. 가족의 탄생 한국 영화/드라마 속 가족 풍경을 통해 재고하는 기독교 가족의 의미 _ 윤영훈
9. 다문화 영화들 속에 비춰진 한국의 기독교 _ 송용섭
10. 한국 여성 영화에 대한 기독교 공동체의 응답 가능성 _ 박종현
11. 방탄소년단을 철학하다 -메시지가 미디어다 _ 박일준
12. 트로트와 개신교 찬송가에 나타난 ‘한국화’ _ 김명희
Author
한국문화신학회,강응섭,김구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3대학교 정신분석학과를 거쳐, 몽펠리에신학대학교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체화(Identification) 개념으로 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의지 논쟁을 분석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예명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정신분석상담학 전공을 개설하여 프로이트와 라캉을 잇는 흐름의 석박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이트-라캉주의 분석가로부터 분석을 받으면서 정신분석 이론을 임상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리더십학 전공 주임교수로서 정신분석을 도입한 리더십학 분야를 이끌면서 디지털 시대의 심리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저서로는 『동일시와 노예의지』, 『프로이트』,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자크 라캉의 ?세미나? 읽기』, 『한국에 온 라캉과 4차 산업혁명』 등이 있다. 역서로는 『정신분석대사전』,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 1』, 『프로이트, 페렌치, 그로데크, 클라인, 위니코트, 돌토, 라깡 정신분석 작품과 사상』(공역) 등이 있고, 그 외에 신학 정신분석학 리더십학을 잇는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3대학교 정신분석학과를 거쳐, 몽펠리에신학대학교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체화(Identification) 개념으로 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의지 논쟁을 분석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예명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정신분석상담학 전공을 개설하여 프로이트와 라캉을 잇는 흐름의 석박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이트-라캉주의 분석가로부터 분석을 받으면서 정신분석 이론을 임상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리더십학 전공 주임교수로서 정신분석을 도입한 리더십학 분야를 이끌면서 디지털 시대의 심리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저서로는 『동일시와 노예의지』, 『프로이트』,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자크 라캉의 ?세미나? 읽기』, 『한국에 온 라캉과 4차 산업혁명』 등이 있다. 역서로는 『정신분석대사전』,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 1』, 『프로이트, 페렌치, 그로데크, 클라인, 위니코트, 돌토, 라깡 정신분석 작품과 사상』(공역) 등이 있고, 그 외에 신학 정신분석학 리더십학을 잇는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