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학교 공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학교 공간에 대한 관심은 학교 문화를 바꾸는 혁신의 토대가 된다.
새로운 학교 문화를 위한 학교 공간 개선의 안내서!
최근 학교에서는 공간 재구성이 화두이다. 학교 공간 개선 사업이 교육부의 주요 정책 과제가 된 이래 많은 예산이 이 사업에 지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선 학교에서는 공간 개선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었다. 학교 공간 개선 사업은 단지 시설이나 설비와 같은 물리적인 환경을 새롭게 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학교 공간 개선은 미래 교육을 대비하기 위해 새로운 학교 문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따라서 학교 공간을 개선하는 사업에서 학교 공간의 사용자인 교사와 학생이 주체가 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최근의 학교 공간 개선 사업 역시, 학교 구성원들이 공간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며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학교 공간 개선의 중요성과 그 교육적 의미에서부터 학교 공간에 대한 심미안적 접근을 다루는 교사들의 수업 사례, 다양한 학교에서 진행한 공간 개선 프로젝트까지, 학교 공간 개선과 관련된 내용을 폭넓게 담고 있다. 특히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접하게 되는 교문에서부터 현관, 도서관, 휴게 공간, 문화 공간, 화장실 등 학교의 세부 공간별로 개선 작업 과정을 꼼꼼하게 정리하여 학교 공간 개선을 진행하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모든 사례들은 교사와 학생 등 사용자 참여 관점에서 새롭게 꾸미거나 개선한 것들이다. 학교 공간 개선 사업의 최종적인 의미는 학교 공간을 학생의 삶에 기여하는 학습 경험 공간으로 되돌려 놓는 것이다. 학교 교육 혁신이 학교 교육의 본질을 날마다 새롭게 하는 것이라고 전제한다면, 공간을 새롭게 하는 일은 그동안 소홀했던 학교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프롤로그
1부 학교 공간 다시 보기
· 학교 공간 개선, 어떻게 시작할까
· 사용자가 참여하는 학교 공간 개선의 모형
2부 우리 손으로 바꿔 보는 학교 공간
· 따뜻한 새울학교 만들기 공간 프로젝트
· 공간 감수성 키움 프로젝트
● 동아리 활동으로 새로워지는 학교 공간
3부 학교 공간 재구성의 실제
· 교문ㆍ현관
· 도서관
· 학생 휴게 공간
· 학생자치ㆍ문화 공간
· 도색ㆍ증축
● 학교 화장실 개선 프로젝트, ‘함께 꿈’
4부 마을로 나간 학교, 학교로 들어온 마을
· 지역과 학교를 잇는 마을 교육 공동체, 동탄중앙이음터
· 예술로 소통하는 공간, 경기학교예술창작소
Author
서예식,이승곤,이진희,김혜경,홍숙경,하지영,김효희
매탄고등학교 교장, 한국미술교육학회, 한국미술교육연구회 회장. 미래 시대의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학교 예술 교육이 중심이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현장 수업 개선 노력과 연구를 병행하며 창의 교육 저변화에 힘쓰고 있다.
매탄고등학교 교장, 한국미술교육학회, 한국미술교육연구회 회장. 미래 시대의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학교 예술 교육이 중심이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현장 수업 개선 노력과 연구를 병행하며 창의 교육 저변화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