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 37년(1761년)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영조가 회충을 토한 뒤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회충은 사람과 함께하는 인룡人龍이다. 천하게 여길 것이 없다.” 조선시대 왕의 몸은 나라를 대표하는 가장 존귀한 존재였지만, 그런 몸에도 회충은 존재했다. 회충 감염에는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없었던 것이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칠 무렵 인구의 90% 이상, 한 종류 이상의 기생충에 감염된 사례들까지 고려하면 100% 이상의 사람들이 기생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반도에서 살던 사람이라면 누구든 기생충 한 마리쯤은 가지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나 오늘날 기생충 감염은 회충 0.03%, 구충 0%, 편충 0.41%로 거의 사라졌다. 한때 한국에서 가장 번성한 공생체였던 기생충이 불과 사반세기 만에 사라진 것은 생태학적으로도 놀라운 변화이자 한국 보건 의료사의 빛나는 한 장면이다. 이런 일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정준호 기생충 박사가 들려주는, 기생충과 인간의 쫓고 쫓기는 달리기.
Contents
들어가며 그 많던 기생충은 어디로 갔을까? 7
1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기생충 13
2 인룡에서 수치로: 기생충을 보다 25
3 “대변을 마치 황금처럼 생각하며”: 아시아적 기생충 관리 사업의 형성 63
4 기생충 길들이기: 제주도 사상충 한일 공동 연구 사업, 1970~72년 161
5 구충 기술의 국산화: 프라지콴텔과 간흡충 207
6 기생충에게는 국경이 없다 237
나가며 모든 것은 기생충에서 시작되었다 261
연표 267
주요 인물 269
참고 자료 273
미주 276
찾아보기 301
Author
정준호
런던위생열대의학대학원 기생충학 석사. 기생충의 단백질과 유전자 관련 연구를 했다. 아프리카 스와질란드와 탄자니아에 서 의료 활동을 하며 인간과 기생충의 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한국 근현대 의학의 역사에 대해 공부하는 중이다.
첫 책 『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 이후 『기생』(공저)『독한 것들』(공저)을 썼고,『말라리아의 씨앗』,『바이러스 사냥꾼』(공역)『화재 감시원』(공역)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런던위생열대의학대학원 기생충학 석사. 기생충의 단백질과 유전자 관련 연구를 했다. 아프리카 스와질란드와 탄자니아에 서 의료 활동을 하며 인간과 기생충의 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한국 근현대 의학의 역사에 대해 공부하는 중이다.
첫 책 『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 이후 『기생』(공저)『독한 것들』(공저)을 썼고,『말라리아의 씨앗』,『바이러스 사냥꾼』(공역)『화재 감시원』(공역)등을 우리말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