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 조작한 ‘재일 교포 간첩’으로 살아야 했던 세월,
자신이 누구인지 잊지 않고자 거듭 기억해 남긴
한 인간의 기록
“그는 초라하리만치 참 자그마한 체구였다. 어눌한 한국말이었지만, 차분하고 담담하게 과거를 밝히는 무척 꼼꼼한 ‘간첩’이었다. 그렇게 나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만났다.”
― 조영선(전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
“우리 태홍이는 언제 돌아오나요? 내가 살아 있을 때 돌아올 수 있을까요?”
― 고 심복수(김태홍의 어머니)
청년은 납치되었다. 대문 안쪽 하숙집 사람도, 5분 거리 학교 강의실에서 막 수업을 시작했을 교수와 동료 학생도, 저 멀리 일본에 있는 가족도, 아무도 청년이 납치된 사실을 몰랐다. 청년 자신도 납치인 줄 몰랐다. 친구 일로 잠시 물어볼 게 있다는 말에 ‘잠깐이면 되겠지’ 하고 따라나선 길이었다. 한 달여 뒤부터 모든 신문이 청년을 간첩으로 대서특필하기까지 청년은 현실에서 증발했다. 그날 낮 3시를 채우던 공기가, 하숙집 대문과 담벼락이, 차가 있는 곳까지 걸어 나왔던 골목길이 청년을 목격했을까. 죄 없이 15년을 교도소에 갇힐 스물다섯 살 청년 김태홍의 운명을 예감했을까.
나는 김태홍입니다 : 내가 선택하지 않은 삶이 나를 흔들어 댈 때, 어떻게 자신을 지킬 수 있을까?
“일본 학교에 다닌 교포 학생들은 대부분 우리말을 할 줄 몰랐다. 나도 고등학생이 될 때까지는 우리말을 몰랐다. 하지만 내가 누구인지는 분명히 알았다.”
“납치와 고문, 불법 구금, 사형 구형에 무기형 선고와 확정, 무기형에서 20년 형으로 감형, 그리고 15년 만에 가석방. 보안사 갈월동 분실과 서빙고 분실, 서울구치소, 광주교도소, 대구교도소, 대전교도소. 저 시간과 저 공간을 거쳐 오는 동안, 스물다섯 청년은 어느덧 마흔 중년이 되었다. 스물의 몇 해와 서른의 전부를 꼬박 갇혔다가 세상으로 다시 돌아왔다.”
일본 고베에서 태어나 자랐고, 민족의식이 강한 부모의 영향으로 일본식 성명인 통명 대신 본명으로 살아온 ‘재일 교포 2세’. 스스럼없이 어울리던 급우가 어느 날 아무렇지 않게 멸시하듯 부른 ‘조센진’. 대학을 나오고 성실함을 인정받아도 정작 변변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워하던 형들과 누나를 보며 일본이 아닌 곳에서 새로운 삶을 펼치길 꿈꾼 ‘한국인’. 불법 체포된 1981년 9월 9일부터 가석방된 1996년 8월 15일까지 약 15년, 5455일 동안 조국의 교도소에 갇혀 지낸 ‘간첩’. 2017년 11월 23일, 영장 없이 체포된 지 36년 2개월 만에 대법원에서 재심 최종 무죄가 확정된, 재일 교포 유학생 간첩단 조작 사건의 ‘무고한 피해자’. 스스로 선택한 적 없는 여러 이름들로 불리며 살아야 했던 사람이, 자신이 누구인지를 잊지 않기 위해 오래 기억하고 기록한 책으로 고국의 독자에게 처음 건네는 말. “나는 김태홍입니다.”
Contents
추천사 6
작가의 말 15
프롤로그. 모국으로 19
1장. 국군 보안사령부에서(1981년 9월 9일~10월 25일) 37
2장. 서울구치소에서(1981년 10월 26일~1983년 5월 24일) 45
3장. 광주교도소에서(1983년 5월 25일~1989년 5월 15일) 69
4장. 대구교도소에서(1989년 5월 16일~1992년 7월 9일) 193
5장. 대전교도소에서(1992년 7월 10일~1996년 8월 14일) 247
에필로그. 집으로 275
후기. 나는 기다림에 지지 않는다 281
부록. 조국이 만든 간첩, 김태홍 339
Author
김태홍,박수정
1957년 일본 고베에서 7남매의 막내로 태어났다. 민족의식이 강한 부모님의 영향을 받아, 일본식 이름인 통명을 쓰지 않고 본명으로 살아왔다. 모국어를 본격적으로 배우고 싶어 한국의 대학에 가기로 마음먹었고, 1977년 문교부의 장학생 선발 과정에 뽑혀 유학길에 올라 이듬해 연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했다. 대학 4학년 졸업반이던 1981년 9월 9일 보안사 요원들에게 납치되어 35일간 불법 구금 및 고문을 당했다. 이른바 재일 교포 유학생 간첩단 조작 사건이었다. 이후 무기징역형을 받고 15년간 수감되었고, 1996년 8월 15일 광복절 특사로 가석방되었다. 직장 생활을 마흔이 되어서야 시작했다. 뒤늦게 생활 기반을 마련하려고 분주히 노력한 한편, 스스로 한 번도 인정하지 않은 자신의 죄가 무죄임을 밝히려고 재심을 신청했다. 2017년 11월 23일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가 확정되었다. 영장 없이 체포된 지 36년 2개월 만이었다. 이 책은 15년 동안 기억한 갇힌 시간의 기록이자, 그 시간에 갇히지 않고 새롭게 일군 삶의 이야기이다.
1957년 일본 고베에서 7남매의 막내로 태어났다. 민족의식이 강한 부모님의 영향을 받아, 일본식 이름인 통명을 쓰지 않고 본명으로 살아왔다. 모국어를 본격적으로 배우고 싶어 한국의 대학에 가기로 마음먹었고, 1977년 문교부의 장학생 선발 과정에 뽑혀 유학길에 올라 이듬해 연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했다. 대학 4학년 졸업반이던 1981년 9월 9일 보안사 요원들에게 납치되어 35일간 불법 구금 및 고문을 당했다. 이른바 재일 교포 유학생 간첩단 조작 사건이었다. 이후 무기징역형을 받고 15년간 수감되었고, 1996년 8월 15일 광복절 특사로 가석방되었다. 직장 생활을 마흔이 되어서야 시작했다. 뒤늦게 생활 기반을 마련하려고 분주히 노력한 한편, 스스로 한 번도 인정하지 않은 자신의 죄가 무죄임을 밝히려고 재심을 신청했다. 2017년 11월 23일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가 확정되었다. 영장 없이 체포된 지 36년 2개월 만이었다. 이 책은 15년 동안 기억한 갇힌 시간의 기록이자, 그 시간에 갇히지 않고 새롭게 일군 삶의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