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가 우리 사회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기획한 첫 번째 결과물이다. ‘논문 게재, 세미나 개최, 단행본 발간’이라는 3단계 과정을 거쳐,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다중 미디어 이용에 관한 최신 연구 성과를 묶었다. 질적ㆍ계보학적 접근과 양적·메타분석적 접근을 통해 다중 미디어 이용의 개념과 이론, 방법론을 종합적으로 연구했다.
Contents
발간사 | 우리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서론 | 컨버전스 시대, 다중 미디어 이용 연구의 향후 과제ㆍ이재현
다중 미디어 이용을 보는 기존의 관점들
기존 관점들의 한계
새로운 연구의 방향과 과제
이 책의 구성과 내용
1부 질적ㆍ계보학적 접근
1. 컨버전스의 현실화: 다중 미디어 실천에 관한 인간, 문화, 사회적 관점ㆍ정준희ㆍ김예란
모든 것에 대해 말함으로써 아무 것도 말하지 않는 컨버전스
컨버전스 담론의 기존 양상과 미디어 컨버전스 연구 지형
‘현실화’로서의 컨버전스
다중 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방법론
다중 미디어 이용을 통한 컨버전스의 현실화
컨버전스, 그 숨거나 드러난 끝없는 이야기
2. 제3의 구술성: ‘뉴 뉴미디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양식ㆍ이동후
‘뉴 뉴미디어’ 시대의 도래
구술성, 문자성, 제2의 구술성
‘뉴 뉴미디어’와 제3의 구술성
제3의 구술성과 미디어 이용 양식
커뮤니케이션의 가치에 대한 물음
3. 수용자의 탄생과 경험: 독자, 청취자, 시청자-다중 미디어 시대의 개막에 관한 시론적 연구ㆍ임종수
근대와 수용자의 탄생
수용자에 대한 논의: 서구적 일반론
독자의 탄생: 텍스트 미디어의 경험
청취자의 탄생: 라디오의 경험
시청자의 탄생: 텔레비전의 경험
수용자의 탄생과 다중 미디어 경험
4. 1920∼1930년대 경성의 미디어 공간과 인텔리겐치아: 최승일(崔承一)의 경우ㆍ이상길
‘최승일’이라는 이름
‘신경향파’ 청년 문사
‘변절자’ 혹은 ‘월경자’
경성방송국 문서계원
모데루노로지스트
‘좌파’ 연극인에서 ‘친일파’ 영화인으로
‘그는 거기 없(었)다’
2부 양적ㆍ메타분석적 접근
1. 다중 미디어 이용의 측정과 개념화: 오디언스를 향한 새로운 시선ㆍ강남준ㆍ김은미
다중 미디어 이용은 과연 새로운 현상인가?
구성된 개념으로서의 ‘이용자’
제도화된 오디언스 측정에 따른 개념 구성
다중 미디어 이용자의 개념화
다중 미디어 이용 측정의 방법론적 접근들
오디언스 개념을 찾아서
2. 융합 미디어 환경과 다중 미디어 이용ㆍ심미선
왜 다중 미디어 이용인가?
미디어 이용과 미디어 레퍼토리
미디어 레퍼토리에 대한 이론적 논의
미디어 레퍼토리 측정 방법에 대한 논의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 결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
스마트 미디어 시대, 레퍼토리 개념은 여전히 유용한가?
3. 다중 미디어 시대의 지상파 콘텐츠 이용 행태ㆍ임정수
아직도 지상파 콘텐츠인가
TV를 떠난 지상파 콘텐츠
이동성과 비선형성의 획득
지상파 콘텐츠 위력의 전이
텔레비전 밖에서의 지상파 콘텐츠 선택과 이용
신구 미디어의 경쟁관계
지상파 콘텐츠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