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 연구의 주요 내용
2. 연구의 범위
제3절 연구방법 및 추진체계
1. 문헌연구
2. 실태조사
3. 전문가 자문 및 회의
4. 워크숍 또는 전문가 세미나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제1절 주요 용어의 개념과 의의
1. 인증제
2. 글로벌 인력교류와 해외취업
3. 고등전문교육
제2절 글로벌 인력교류의 추세와 현황
제3절 글로벌 인력교류에서 해외취업의 논리적 배경
1. 최근 고용동향
2. 해외취업의 경제적 논리
3. 해외취업의 효과
제3장 고등전문교육 인증제의 실태
제1절 인증제 운영 실태와 특성 비교
1. 공학(한국공학교육인증원)
2. 간호학(한국간호평가원)
3. 건축학(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4. 경영학(한국경영교육인증원)
5. 무역학(한국무역교육인증원)
6. 한의학(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7. 치의학(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
8. 의학(한국의학교육평가원)
9. 인증제의 분야별 특징 비교
제2절 성과 사례 분석
1. 조사 방법
2. 조사 결과
3. 논의 및 시사점
제3절 문제점
1. 공급자 측면의 문제점
2. 수요자 측면의 문제점
제4장 인증제 실태 조사 분석
제1절 글로벌 취업인력교류의 추세
제2절 글로벌 인력교류에서 인증제의 위상
제3절 글로벌 인력교류에서 본 인증제의 애로사항
제4절 글로벌 인력교류확대에 대비한 인증제의 발전 과제
제5절 실태 조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국제 및 외국 사례와 시사점
제1절 공학교육의 실질적 등가성에 대한 국제적 상호인정
1. 공학교육의 다자간 국제협약
2. 4년제 공학교육 수준의 다자간 국제협약: WA
3. 졸업생 역량 개념에 의한 등가성의 상호인정
4. 시사점
제2절 유럽의 사례
1. 볼로냐 프로세스(Bologna Process)
2. 에라스뮈스와 에라스뮈스 문두스 프로그램(Erasmus & Erasmus Mundus Progran)
제3절 시사점
제6장 고등전문교육 인증제의 과제
제1절 기본 방향과 추진 전략 수립
1. 글로벌 인력교류 확대 대비 고등전문교육 인증제의 기본 방향 설정
2. 글로벌 인력교류 확대 대비 전문고등교육 인증제의 활성화 기본 전략 수립
제2절 고드전문교육 기반 및 질 제고 과제
1. 학생의 질 평가 체제 강화
2. 글로벌 인력 육성을 위한 고등전문교육 혁신
3. 고등전문교육의 국제화
제3절 인증제의 실질적 활용 및 확산을 위한 과제
1. 피인증기관 측면
2. 평가위원 및 인증기관 측면
3. 수요자 측면
4. 몇 가지 제언
제4절 글로벌 인력교류에서 고등전문교육 인증제의 연계 과제
1. 국제지역전문가 인증제 도입과 분야별 인증제의 연계
2. 대학의 글로벌화 인증제의 연계
3. 인증제와 해외취업의 연계
4. 인증제와 자격제도와의 연계
5. 고등전문교육 인력의 국가 간 상호인정 추진 또는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