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시아 현생인류의 확산과 교류

$37.80
SKU
978896347497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hu 05/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Thu 05/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3/31
Pages/Weight/Size 187*255*35mm
ISBN 9788963474977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4만 년 전 한반도에 출현한 현생인류의 기원과 문화를 교류와 확산의 맥락에서 살펴본 연구서 [동북아시아 현생인류의 확산과 교류]가 발간되었습니다. 저자인 장용준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은 후기구석기시대를 주전공으로 하는 중견연구자로서, 2007년 저술한 『한국 후기 구석기의 제작기법과 편년연구』와 2015년 작 『구석기시대의 석기 생산』이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는 성과를 이룬 바 있습니다. 이전의 저작들이 구석기 제작 기술과 생산을 중심으로 한 연구인 반면에 이번에 기획된 『동북아시아 현생인류의 확산과 교류』는 한반도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의 주인공인 ‘현생인류‘와 그 문화에 초점을 맞추었고, 한반도 후기구석기 문화가 일본열도로 진출한 경로 및 환동해문화권을 형성하는 양상으로 관심의 영역을 확장한 효과가 있습니다.

『동북아시아 현생인류의 확산과 교류』는 1부 한반도 현생인류의 확산과 시기에서 3편의 논문을 통해 한반도 후기구석기의 기원을 소개하고, 밀양 고례리와 진주 집현 유적의 사례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자료를 검토하며, 방사성탄소연대를 이용한 편년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2부는 한반도 현생인류의 일본열도 확산을 다루는 5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는데, 종래의 일본 나이프형 석기론에 대한 전반적인 비판 의견을 개진하고, 3편의 사례 연구를 통해 일본 동북지방과 구주지역의 석기 유형을 소개한 뒤 한반도 현생인류 확산론의 의의를 개진합니다. 3부에서는 관심의 영역을 동북아 환동해안지역으로 확산하여 동북아시아지역에서 진행된 지역 문화의 발달과 결합 양상을 소개합니다.

『동북아시아 현생인류의 확산과 교류』는 저자가 한반도 ‘최초‘의 구석기문화에 관심이 집중되는 세태와 거리를 두면서, 중기 구석기 문화와 후기 구석기 문화의 ‘단절’을 중심으로 연구작업을 진행해 온 중간 결산서로서, 2004년에서 2018년까지 주요 학술지에 발표한 13편의 논문들을 단일 저작으로 재구성해서 엮은 성과입니다. 우리나라 후기구석기 고고학 연구의 주된 성과가 집약되어 있는 연구서로서, 각각의 논문들이 발표된 시기에 따라 후기구석기 연구의 동향을 추적할 수 있기도 합니다. 『동북아시아 현생인류의 확산과 교류』의 발간이 우리나라 구석기 고고학 발전의 새로운 발판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Contents
책을 열면서 21

Part 1 한반도 현생인류의 확산과 시기 25

1. 한국 후기구석기의 기원 26
2. 밀양 고례리와 진주 집현유적의 구석기 연구 72
3. 방사성탄소연대를 이용한 후기구석기시대 편년 106

Part 2 한반도 현생인류의 일본열도로의 확산 157

1. 일본 나이프형 석기의 비판적 검토 158
2. 일본 도호쿠(東北)지역의 석인석기군 연구 186
3. 일본 구주(九州)출토 각추상석기의 기술적 기원 224
4. 일본 구주(九州)지역 각추상석기의 연구 250
5. 한반도 현생인류의 일본열도로의 확산과 의의 290

Part 3 환동해안지역 현생인류의 교류와 형성과정 337

1. 한국과 일본출토 석인과 세석인의 비교 연구 338
2. 동북아시아의 구석기시대와 슴베찌르개 380
3. 일본 북해도지역의 세석인기법 396
4. 한반도·구주의 구석기시대석기군과 문화의 교차 436
5. 동북아시아 환동해지역 후기구석기문화의 형성과정 462

책을 닫으며 495
Author
장용준
1972년 부산 출생
부산대학교 고고학과 박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석사과정 수학)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사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관, 국립김해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學) 연구원
현)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주요저서
韓國 後期 舊石器의 製作技法과 編年硏究, 200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구석기시대의 석기 생산, 201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영남의 고고학(공저)
고고 유물의 관찰과 유구 조사방법(공저)

‘사람과 돌’ 도록(2005년) 등 특별전 도록 다수

주요논문
Human Activity and Lithic Technology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MIS 3 to MIS 2 in the Late Paleolithic Period, Evidence of human movements and exchange seen from curated obsidian artifacts o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방사성탄소연대를 이용한 후기구석기시대 편년, 후기구석기시대의 광역네트워크 구조, 西日本地 域における湧別技法の系統(일문), 삼한시대 영남지역의 칠기, 白樺樹皮製 障泥의 天馬文, 삼국시대 용문양의 수용과 발전 등 논문80여 편
1972년 부산 출생
부산대학교 고고학과 박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석사과정 수학)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사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관, 국립김해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學) 연구원
현)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주요저서
韓國 後期 舊石器의 製作技法과 編年硏究, 200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구석기시대의 석기 생산, 201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영남의 고고학(공저)
고고 유물의 관찰과 유구 조사방법(공저)

‘사람과 돌’ 도록(2005년) 등 특별전 도록 다수

주요논문
Human Activity and Lithic Technology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MIS 3 to MIS 2 in the Late Paleolithic Period, Evidence of human movements and exchange seen from curated obsidian artifacts o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방사성탄소연대를 이용한 후기구석기시대 편년, 후기구석기시대의 광역네트워크 구조, 西日本地 域における湧別技法の系統(일문), 삼한시대 영남지역의 칠기, 白樺樹皮製 障泥의 天馬文, 삼국시대 용문양의 수용과 발전 등 논문80여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