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금동관 비교연구

$15.12
SKU
978896347478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7 - Fri 05/3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2 - Fri 05/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9/14
Pages/Weight/Size 189*257*10mm
ISBN 9788963474786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국립김해박물관이 2020년 7월 11일부터 11월 20일까지 5회에 걸쳐 실시한 학술대회 ‘2020 가야학술제전’의 자료집인 『2020년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가 5권 전집으로 간행되었습니다. 국립김해박물관은 2019년에도 6월부터 10월에 걸쳐 오프라인 학술대회 ‘2019 가야학술 제전’을 개최하여 가야의 문자 문화, 삼한의 신앙과 의례, 삼국시대 마구, 가야의 편두 문화, 가야의 직물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토론하였으며, 그 결과를 『2019년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로 발간한 바 있습니다. 가야학술제전 학술행사는 올해에도 4월부터 시작되어 11월 성료를 앞두고 있으며, 그 결과물은 내년에 정리되어 간행될 예정입니다.

올해 발간된 『2020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는 1권 『가야의 기록, 『가락국기』를 이야기하다』, 2권『영남의 지석묘 사회-가야 선주민의 무덤』, 3권 『삼국시대 금동관 비교연구』, 4권 『가야의 비늘갑옷』, 5권 『가야의 주거문화』 등 총 5권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권 별로 4~8명의 전문연구자가 작성한 발표문 총 26편이 수록되었고, 전체 분량은 1,000쪽에 이릅니다.

3권 『삼국시대 금동관 비교연구』는 가야지역의 금관을 중심으로 하여 신라, 백제의 금(동)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복천동 고분군 출토 금동관에 대한 사례연구와, 위세품을 기준으로 구분해본 신라지역과 김해, 부산지역의 문화적 차이를 연구한 4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019년부터 2021년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가야학술제전 학술행사는 한반도 철기 문화 및 고대국가 형성과정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라, 백제에 비해 연구 실적이 부족한 가야 역사 및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넓히고 한층 심화하는데 기여하여, 향후 가야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Contents
1 가야와 신라 冠의 비교 김재열

I. 머리말·11
II. 가야 冠·11
1. 김해 대성동 고분군 29호 도굴갱 수습 금동관·12
2. 고령 지산동과 합천 옥전 고분군 출토품·14
3. 대가야 이후의 가야계 관·18
Ⅲ. 신라의 冠·20
1. 대관, 관식과 모관·20
2. 금관과 금동·은관, 그리고 철관·26
Ⅳ. 비교 관점에서 본 신라와 가야의 冠·29
1. 고유 양식의 발현과 변동·29
2. 冠의 생산 체계·35
Ⅴ. 맺음말·38

2 부산 복천동 고분군 출토 금동관의 구조와 특성 홍성율

I. 머리말·51
II. 복천동 출토 금동관 검토·52
1. 복천동 10·11호분 출토 금동관·52
2. 복천동(동아대) 1호분 출토 금동관·54
Ⅲ. 복천동 고분군 출토 금동관의 특징과 의미·56
1. 특징·56
2. 의미·62
Ⅳ. 맺음말·68

3 백제 금동관의 금공기술 연구-주변국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현상

I. 서론·79
II. 문양표현기술·80
1. 투조기법·80
2. 조금기법·86
III. 외형제작기술·95
1. 성형기법·95
2. 도금기법·97
3. 조립기법·100
IV. 결론·103

4 금동관을 넘어서: 위세품과 철기의 부장 정형 비교를 통해 본 신라권과 김해·부산지역 하대룡

I. 서론·115
II. 연구 방법과 대상·119
III. 신라지역의 위세품 체계와 부장품의 구성 정형·121
1. 위세품의 착장 정형·122
2. 복식군에 따른 부장품 구성·125
3. 소결 : 신라의 위세품 체계와 부장 정형·131
IV. 복천동, 대성동 고분군의 위세품 체계와 철기 부장 양상·134
1. 착장형 위세품과 무구, 마구·135
2. 철기의 구성·138
V. 복천동·대성동 고분군의 독자적 부장 양상과 그 의미·140
VI. 결론·143

편집 후기·155
Author
국립김해박물관,김재열,홍성율,이현상,하대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