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과 그를 넘어서는 증오의 양상을 보여 주는 우리 사회
공감 부재 대한민국의 현실을 학술적으로 들여다보다
세대 갈등, 젠더 갈등, 계층 갈등, 이념 갈등이 점점 증폭되고 있는 것이 현재 우리 사회의 정확한 단면이다. 그 결과 우리 사회 구성원의 분노와 울분 지수는 다른 나라의 두 배를 넘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그 원인으로 한국 사회의 공감 부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왜 우리 사회에서 공감이 부족한지, 어떻게 하면 공감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공감, 대한민국을 바꾼다』는 우리 사회의 공감 부족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그동안 진행되어 온 연구 결과와 수차례에 걸쳐 개최된 공감을 주제로 한 국제회의, 해외(일본, 중국, 대만, 프랑스, 미국 등)의 여러 공감 관련 학자들과 함께 논의한 내용을 묶어 위에서 제시한 질문, 즉 왜 우리 사회에서 공감이 부족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하면 공감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을 주고 있다.
제1부에서는 공감이 무엇인지 학술적으로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공감과 동정의 차이, 공감의 중요 요소, 공감 능력에 대한 생물학적,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설명을 살펴본다. 제2부에서는 다양한 학술 연구 자료 및 언론 기사를 바탕으로 공감 부재 대한민국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살펴보면서 원인과 배경을 알아본다. 제3부에서는 어떻게 공감이 가능한지를 미학적, 종교적, 일상성 등 여러 주제별로 다루었다. 제4부에서는 공감의 시민을 어떻게 탄생시킬 수 있는지, 공감의 사회가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개인적인 영역과 사회구조적인 영역에서 다루고 있다. 갈등과 분노를 해소할 핵심적인 키워드가 공감이라는 것에 다른 의견은 없을 것이다. 이 책은 우리 사회를 위해 꼭 필요한 공감에 관한 심층적 연구의 첫걸음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공감이란?
제1장 공감의 다층적 맥락
1. 공감의 개념 /2. 누가 공감하는가 /3. 사회적 공감
제2부 공감 부재의 대한민국
제2장 불공평한 세상
제3장 계층 갈등
1. 한국사회의 불평등 현황 /2. 소득불평등 /3. 자산격차
제4장 사회 갈등
1. 이념 갈등 /2. 지역 갈등 /3. 젠더 갈등 /4. 세대 갈등 /5. 한국사회에서 갈등은 왜 발생하는가
제5장 공감 부재의 원인
1. 대한민국의 역사적인 배경 /2. 압축적 근대화 /3. 공감 부재의 요인
제8장 공감의 시민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1. 자기의 객관화(성찰)의 연습 /2. 의사소통합리성과 숙의민주주의 연습
제9장 공감사회를 위한 조건들
1. 교육 제도의 개선 /2. 언론 구조의 개선 /3. 세컨드 찬스의 보장을 위한 제도 마련 /4. 공감적 도시 공간 창출 - 도시 씬(Urban Scene) /5. 갈등 해결 시스템의 모색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장원호,김동윤,서문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재 도시과학대학장, 도시과학대학원장, 도시과학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또한 한국연구재단의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ocial Science Korea, SSK)의 대형연구센터 글로컬문화·공감사회연구센터의 책임자로서 글로컬문화를 통하여 공감사회 실현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류와 아시아 팝문화의 변동』(공저), 『레드퀸 레이스와 한국 교육』 등이 있고, 공감(empathy)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국제저명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재 도시과학대학장, 도시과학대학원장, 도시과학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또한 한국연구재단의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ocial Science Korea, SSK)의 대형연구센터 글로컬문화·공감사회연구센터의 책임자로서 글로컬문화를 통하여 공감사회 실현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류와 아시아 팝문화의 변동』(공저), 『레드퀸 레이스와 한국 교육』 등이 있고, 공감(empathy)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국제저명학술지에 게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