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 목간

$21.60
SKU
978896246423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hu 05/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Thu 05/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8/12
Pages/Weight/Size 155*220*15mm
ISBN 9788962464238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최근 조사된 한국 고대 목간을 정리하다

목간은 금석문과 함께 대표적인 1차 사료이다. 금석문은 국왕과 고급관료가 출현하는데 대해 목간에는 인명을 가진 관등이 없는 일반 백성이 등장한다. 한국 고대의 목간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그 출토량이 적어서 연구 성과가 활발하지 못하다. 고구려 목간은 알려진 바가 없고, 백제 목간은 웅진성 시대에는 없고, 사비성 시대의 왕경 목간과 지방 관아 목간들이 알려져 있다. 고신라 시대에는 왕경 목간과 지방 관아 목간이 알려져 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왕경 목간과 지방 목간이 알려져 있다. 후삼국 시대 목간은 알려진 바가 없다. 아직까지 부족한 연구 자료와 더 채워져야 할 연구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평생 고대사와 목간연구에 매진한 필자가 꾸준히 연구한 결과를 이 책을 비롯한 몇 권의 책으로 남겨 힘을 보태고자 한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장 왕경의 목간
제1절 월성해자 목간 新1호의 제작 시기
제2절 경주 월성해자 출토 목간 몇 예

제2장 지방 관아 목간의 기초적 검토
제1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신고찰
제2절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1)
제3절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2)
제4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성촌명

제3장 지방 관아 목간의 성격
제1절 함안 성산산성의 城下麥 목간
제2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성격
제3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으로 본 신라의 지방 통치 체제
제4절 이성산성 출토 목간의 작성 연대
제5절 성산산성 목간의 本波·阿那·末那 등에 대하여

제4장 백제 목간, 통일 신라 목간
제1절 부여 궁남지 출토 315호 목간
제2절 월지 출토 목간 몇 예
제3절 월지 출토 185호 목간의 해석
제4절 경주 황남동 376번지 출토 목간의 재검토

보론 : 신라 둔전문서의 작성 연대와 그 성격

책을 마치며
Author
김창호
1950년 구미 출생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수료 문학박사이며 경주대학교 문화재학부교수,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울산광역시 문화재위원, 경상북도 문화재전문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고신라 금석문의 연구』, 『고신라 금석문과 목간』, 『한국 고대 불교고고학의 연구』, 『삼국시대 금석문의 연구』, 『한국고대 목간』 등이 있다.

논문
「경주 황남동100호분(검총)의 재검토」〈한국상고사학보〉8, 1991
「동래 복천동22호분 성시구의 복원 문제」〈영남고고학〉17 ,1995
「고령 지산동44·45호분의 순장제설에 대하여」〈가야문화〉9, 1996
「고고 자료로 본 신라사의 시기 구분」〈인하사학〉10, 2003」
「신라 적석목곽묘 출토 山자형 관의 계보」〈부산사학〉23, 2004
「횡혈식석실분의 등장과 소멸」〈신라사학보〉8, 2006
「한국 신석기시대 토착신앙 문제」〈한국신석기학보〉12, 2006
「신라관에 부착된 曲玉의 기원 문제」〈문화사학〉27, 2007
1950년 구미 출생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수료 문학박사이며 경주대학교 문화재학부교수,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울산광역시 문화재위원, 경상북도 문화재전문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고신라 금석문의 연구』, 『고신라 금석문과 목간』, 『한국 고대 불교고고학의 연구』, 『삼국시대 금석문의 연구』, 『한국고대 목간』 등이 있다.

논문
「경주 황남동100호분(검총)의 재검토」〈한국상고사학보〉8, 1991
「동래 복천동22호분 성시구의 복원 문제」〈영남고고학〉17 ,1995
「고령 지산동44·45호분의 순장제설에 대하여」〈가야문화〉9, 1996
「고고 자료로 본 신라사의 시기 구분」〈인하사학〉10, 2003」
「신라 적석목곽묘 출토 山자형 관의 계보」〈부산사학〉23, 2004
「횡혈식석실분의 등장과 소멸」〈신라사학보〉8, 2006
「한국 신석기시대 토착신앙 문제」〈한국신석기학보〉12, 2006
「신라관에 부착된 曲玉의 기원 문제」〈문화사학〉27,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