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의 여지가 없을 만큼 중요한 이 책의 출간 덕택에 이제 옛날의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은 끝날 것이다.”
기 드보르, 『스펙터클의 사회』의 지은이
“『일상생활의 혁명』은 1968년 5월 봉기의 진정한 바이블이었다.”
뱅상 카우프만, 『기 드보르 : 시에 봉사하는 혁명』의 지은이
기 드보르와 함께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의 핵심 이론가였던 라울 바네겜의 주저. 상황주의자들은 현대 자본주의를 스펙터클의 시대로, 즉 축적된 이미지가 지배하는 시대로 진단했다. 상황주의자들에게 상황이란 스펙터클 자본주의의 물질적, 사회적, 정치적 조건들이 모인 상태를 깨뜨리면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삶의 순간이다. 기 드보르가 『스펙타클의 사회』에서 거대 미디어에 의해 노동자들이 구경꾼으로 전락한 사회에서 혁명적 상황을 창조할 방법을 모색했다면, 바네겜은 『일상생활의 혁명』에서 현대 복지국가가 제시하는 권태로운 생존(subsistance)에서 벗어나 열정적 삶(vie)의 상황을 창조할 방법을 탐구한다.
이 책은 1967년에 출간되어 1968년 5월 혁명을 이끄는 이론적 동력이 되었다. 프랑스에서 초판이 출간된 지 50년 만에 새로운 한국어판이 출간된 셈이다. 2017년은 러시아혁명 100주년이며, 또 68혁명 50주년(2018년)을 목전에 두고 있는 역사적인 시기다. 1968년의 투사들이 거부했던 권태와 생존의 상태로부터 우리는 지금 자유로운가? 이 책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생존이 아니라 무엇보다 우선 삶을!” 요구하고 발명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Contents
2판 서문 : 삶의 일상적 영원성 8
서론 18
1부 권력의 관점
1장 의미 있는 무의미함 23
불가능한 참여, 또는 구속의 총합으로서의 권력 32
2장 모욕 33
3장 고립 48
4장 고통 57
5장 노동의 실추 70
6장 감압과 제3의 힘 77
불가능한 커뮤니케이션, 또는 보편적 매개로서의 권력 87
7장 행복의 시대 88
8장 교환과 증여 100
9장 기술, 그리고 기술의 매개된 사용 111
10장 양적인 것의 지배 119
11장 매개된 추상화와 추상적 매개 128
불가능한 실현, 또는 유혹의 총합으로서의 권력 145
12장 희생 146
13장 분리 161
14장 겉모습의 조직 169
15장 역할 180
16장 시간의 유혹 210
생존, 그리고 생존에 대한 거짓된 항의 216
17장 생존의 고통 217
18장 불안정한 거부 224
2부 관점의 전복
19장 관점의 전복 252
20장 창조성, 자발성 그리고 시 259
21장 노예 없는 주인들 279
22장 체험의 시공간과 과거의 교정 302
23장 통일된 삼위 326
24장 중간세계와 새로운 순수 372
25장 당신들은 그리 오래 우리를 우습게 여기지 못할 거요 378
혁명적 노동자들에게 축배를 383
옮긴이 후기 390
후주 396
라울 바네겜 저작 목록 415
인명 찾아보기 424
용어 찾아보기 429
Author
라울 바네겜,주형일
벨기에 에노주(州)의 레신느에서 태어난 바네겜은 프랑스 영화감독이자 작가인 기 드보르와 함께 “20세기 최후의 아방가르드”로 불리는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을 이끈 핵심 이론가이다. 1952~56년 브뤼셀자유대학에서 로망스어 문헌학을 공부한 뒤 1961년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한다. 1970년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을 탈퇴하기까지 10여 년간, 바네겜은 수많은 논문과 팸플릿을 통해 정치체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변혁하는 것이 진정한 혁명이라는 상황주의자들의 구호를 체계화하는 데 공헌했다. 특히 드보르의 『스펙터클의 사회』와 같은 해(1967년)에 출간된 『일상생활의 혁명』은 68혁명의 숨은 원동력이었는데, 『스펙터클의 사회』가 현대 사회를 지배하는 스펙터클에 관한 정치적, 이론적 분석이라면, 『일상생활의 혁명』은 이런 스펙터클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급진적 주체성에 관한 철학적, 실천적 사색이었다. 당시 프랑스의 학생들은 이 책의 몇몇 구절들을 점거된 학교 담벼락에 쓰는 것으로 자신들의 지침서가 된 『일상생활의 혁명』과 그 지은이 바네겜에게 경의를 표했다. 1970년 자신의 무능함을 고백하며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을 탈퇴한 바네겜은 『인류의 권리선언문: 인권의 지양으로서의 삶의 주권』(2001), 『시장사회의 철폐를 위하여, 살아 있는 사회를 위하여』(2002) 등을 발표하며 시장과 임금체계의 논리를 거부하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욕망을 해방시킬 수 있는 정치학, 자유롭고도 자기규율적인 사회질서 등을 구상하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
벨기에 에노주(州)의 레신느에서 태어난 바네겜은 프랑스 영화감독이자 작가인 기 드보르와 함께 “20세기 최후의 아방가르드”로 불리는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을 이끈 핵심 이론가이다. 1952~56년 브뤼셀자유대학에서 로망스어 문헌학을 공부한 뒤 1961년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한다. 1970년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을 탈퇴하기까지 10여 년간, 바네겜은 수많은 논문과 팸플릿을 통해 정치체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변혁하는 것이 진정한 혁명이라는 상황주의자들의 구호를 체계화하는 데 공헌했다. 특히 드보르의 『스펙터클의 사회』와 같은 해(1967년)에 출간된 『일상생활의 혁명』은 68혁명의 숨은 원동력이었는데, 『스펙터클의 사회』가 현대 사회를 지배하는 스펙터클에 관한 정치적, 이론적 분석이라면, 『일상생활의 혁명』은 이런 스펙터클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급진적 주체성에 관한 철학적, 실천적 사색이었다. 당시 프랑스의 학생들은 이 책의 몇몇 구절들을 점거된 학교 담벼락에 쓰는 것으로 자신들의 지침서가 된 『일상생활의 혁명』과 그 지은이 바네겜에게 경의를 표했다. 1970년 자신의 무능함을 고백하며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을 탈퇴한 바네겜은 『인류의 권리선언문: 인권의 지양으로서의 삶의 주권』(2001), 『시장사회의 철폐를 위하여, 살아 있는 사회를 위하여』(2002) 등을 발표하며 시장과 임금체계의 논리를 거부하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욕망을 해방시킬 수 있는 정치학, 자유롭고도 자기규율적인 사회질서 등을 구상하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