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근대 일본의 영토인식

$11.88
SKU
978896187281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2/10/30
Pages/Weight/Size 128*188*20mm
ISBN 9788961872812
Categories 역사
Contents
책머리에

야마토 왕권의 영역 확장을 통해 본 고대 일본의 경계인식|홍성화
Ⅰ. 머리말
Ⅱ. 중국 사서에 나타난 일본의 경계인식
Ⅲ. 일본 사료로 본 야마토 왕권의 경계인식
1.『일본서기』의 영역 확장에 대한 인식
2. 경계 지역의 인식
3. 영역 확장의 실태
Ⅳ. 고고학 자료를 통한 경계인식
Ⅴ. 고대 이즈모의 지역성과 경계인식
Ⅵ. 맺음말

동아시아와 일본율령국가의 경계인식|송완범
Ⅰ. 서
Ⅱ. '율령국가'의 변경
Ⅲ. '율령국가'의 경계인식 - 사천왕신앙
1. 사이카이도
2. 산이도
3. 호쿠리쿠도
4. 데와국
Ⅳ. '율령국가'의 경계인식의 변화
Ⅴ. 결

국내외의 고지도로 본 중세 일본의 영토인식|김보한
- 쓰시마와 오키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한·일 고지도에서 본 쓰시마와 오키
1. 중세 일본의 관념적 영토인식
2. 행기식일본도의 도로선(道路線)과 영토인식
3.「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의 대마도와 영토인식
4. 한·일 고지도에서 본 영토인식의 혼돈
Ⅲ. 조선의 대마도와 중세 일본의 쓰시마
1. 조선의 대마도 영토인식
2. 막부 지배의 쓰시마와 오키
Ⅳ. 맺음말

일본의 사찬지도로 본 전근대 '삼도영토관'에 대한 고찰|신동규
- 일본 고지도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중세 행기도와 '삼도영토관'의 출현
Ⅲ. 근세 전기 행기식일본도와 '삼도영토관'의 계승과 정착
Ⅳ. 근세 후기「적수도」와 '삼도영토관'의 잔영
Ⅴ. 맺음말

Abstract
찾아보기
Author
홍성화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나 배재고, 연세대를 졸업하고 고려대 사학과에서 고대한일관계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역사연구소 및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 MBC 특집 다큐 "페이퍼 로드" 자문위원을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교양교육원 역사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충청북도 문화재 전문위원, 충주박물관 운영위원, (재)중원문화체육진흥재단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고대사에 관한 한국과 일본 역사학계 양쪽의 분석틀을 비판하고 새로운 고대사상(像)을 제시하고자 관련 연구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하사인가 헌상인가의 논쟁이 있었던 칠지도(七支刀)와 관련해서는 적외선 사진에 나타난 새로운 글자를 통해 독창적인 해석과 분석을 도출하여 고대한일관계사상이 전면적으로 수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역설하기도 했다. 역사가 몇몇 학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과 호흡하는 학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교류에 작은 몫이라도 기여하는 연구자 겸 실천가가 되기를 희망하면서, 틈나는 대로 우리 땅을 비롯해 동아시아 곳곳을 톺아보며 열심히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한일고대사유적답사기』,『동아시아 속의 한일관계사 상(上)』(공저), 「이소노카미(石上)신궁 칠지도에 대한 일고찰」, 「4~6세기 백제와 왜의 관계」 외 다수의 논저가 있다.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나 배재고, 연세대를 졸업하고 고려대 사학과에서 고대한일관계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역사연구소 및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 MBC 특집 다큐 "페이퍼 로드" 자문위원을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교양교육원 역사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충청북도 문화재 전문위원, 충주박물관 운영위원, (재)중원문화체육진흥재단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고대사에 관한 한국과 일본 역사학계 양쪽의 분석틀을 비판하고 새로운 고대사상(像)을 제시하고자 관련 연구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하사인가 헌상인가의 논쟁이 있었던 칠지도(七支刀)와 관련해서는 적외선 사진에 나타난 새로운 글자를 통해 독창적인 해석과 분석을 도출하여 고대한일관계사상이 전면적으로 수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역설하기도 했다. 역사가 몇몇 학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과 호흡하는 학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교류에 작은 몫이라도 기여하는 연구자 겸 실천가가 되기를 희망하면서, 틈나는 대로 우리 땅을 비롯해 동아시아 곳곳을 톺아보며 열심히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한일고대사유적답사기』,『동아시아 속의 한일관계사 상(上)』(공저), 「이소노카미(石上)신궁 칠지도에 대한 일고찰」, 「4~6세기 백제와 왜의 관계」 외 다수의 논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