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사상은 세계관과 인생관 등을 달리하는 다양한 문화권만큼이나 다양하다. 이 책에서는 중국 미학을 중심으로 동양 미학의 세계관을 일목요연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면서 서양 미학에서는 느낄 수 없는 동양 미학 특유의 아름다움과 다양성을 전하고 있다.
중국이나 한국 같은 동양의 전통 예술에서는 예술작품의 목적을 눈앞에 보이는 객관적 대상이나 세계의 미를 정확하고 아름답게 그려내는 데 두지 않았다. 그보다는 일정한 형상을 매개로 해서 어떤 대상이 품고 있는 기운이나 정신을 그려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동양 예술의 성패는 작가가 형상을 넘어서 있는 깊은 뜻을 얼마나 훌륭하게 표현하였으며, 감상자가 그 뜻을 얼마나 잘 읽어냈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경생상외’라는 개념을 통해 이런 동양 미학의 핵심을 매우 함축적으로 담아내면서 그와 연관된 동양 미학의 특징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이 책에서 다루는 예술 분야는 실로 방대하다. 이 책에서는 그림, 글씨, 음악, 무용, 악무, 희곡, 연극, 경극 등 무한한 동양 예술 세계 속에 담긴 사상과 세계관이 일목요연하게 펼쳐진다. 많은 실례와 인용문을 제시하면서 우리에게 동양 예술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것 또한 이 책의 또 다른 덕목이다. 이 책에 담긴 방대한 예술작품 목록과 인용문들은 동양 예술과 미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Contents
서문
제1장 전통 중국 미학의 주요 범주, 명제 그리고 논설
1절 뜻을 말한다는 설과 정감에서 비롯된다는 설
1. 시는 뜻을 말한다는 설
2. 시는 정감에서 비롯된다는 설
3. 뜻을 말한다는 설과 정감에서 비롯된다는 설의 연결
2절 비흥설
1. 비흥의 수법을 운용하여 창작한 시는 필연적으로 칭찬과 풍자라는 풍유의 특징을 가짐
2. 비흥은 정의와 물상을 하나로 융합하여 예술 의상을 창조하는 예술 구상 방식임
3. 비흥은 이런 수법을 운용하여 시가를 창작함으로써 뒷맛이 무궁한 심미 효과를 가짐
3절 언의론(상의론)
4절 정리론
1. 정리론의 발전 맥락
2. 정리론의 기본 특징
5절 형신론
1. 회화 미학 영역의 형신론
2. 시문 미학 영역의 형신론
6절 허실론
1. 예술 창작 활동에서의 허실 전화 문제
2. 예술 창작 활동의 허실상생 문제
3. 심미와 예술 활동에서 주체의 심리 상태의 허정 문제
7절 기운생동론
1. 기운 개념의 배태와 생산
2. 사혁의 “기운생동” 명제가 미학사에서 갖는 가치
3. 사혁 이후 기운 개념의 운용과 발전
8절 의상설
9절 의경론
1. 의경론과 중국 고대 도가, 현학, 불교 철학 사상
2. 당에서 명청 시기에 이르기까지 시와 그림 등 여러 예술 영역에서 뜻과 경계, 생각과 경계, 정감과 경치 관계와 관련된 토론
3. 명청 시기 의경 범주의 출현과 운용
10절 경계론
11절 밖으로는 조화를 본받고, 안으로는 마음의 근원을 터득한다는 설[외사조화 중득심원설]
12절 일, 신, 묘, 능 사품설
1. 묘
2. 신
3. 일
제2장 중국 미학의 특징
1절 미와 선의 통일을 강조함
2절 정감과 ‘이’의 통일을 강조함
3절 사람과 자연의 통일을 강조함
4절 무한과 유한의 통일을 강조하나 무한에 치우침
5절 인지와 직각의 통일을 긍정하나 직각에 치우침
6절 위로 쳐다보고 아래로 굽어보며, 멀리 바라보고 가까이 살펴보는 “유관” 관조 방식을 숭상함
제3장 중국 미학의 전당을 지탱하는 사상사의 세 주춧돌
1절 『주역』과 중국 미학
1. 『역』리와 중국 미학
2. 『역』상과 중국 미학
3. 『역』수와 중국 미학
2절 원기론과 중국 미학
1. 기론(원기론) 대요
2. 원기론의 초석 위에 세워진 중국 미학
3절 음양오행설과 중국 미학
1. 음양오행설의 형성 및 그 이론의 특색
2. 음양오행설은 중국 미학이 새로운 국면을 여는 것을 촉진함
제4장 중국 미학의 틀을 구축한 3대 학술 유파
1절 유가 인학과 미학
1. 예술 영역에서 심미와 예술이 갖고 있는 개인과 사회관계를 조화시키는 가치를 충분히 긍정함
2. 인격미 영역에서 개별 인격의 독립성을 긍정하고, 인간의 전면적인 발전의 사회적 의의를 강조함
3. 자연미 영역에서 “비덕”설을 위주로 함
2절 도가 도론과 미학
1. 도론은 철학에서 미학으로 통함
2. 절대적인 정신의 자유에 대한 추구와 심미 심경의 확립
3. 도론의 기초 위에 세운 자연-인생-예술관
3절 선종 심학과 미학
1. 선종은 인도불교 철학과 중국 전통 사상(유가와 도가)이 서로 융합하고 합일하여 창신한 것
2. 선종 미학
4절 유가 도가 불가(선) 삼가의 대략적인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