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은 사도 바울을 연구할 때 종종 중요한 출발점, 즉 깊이 있으며 섬세한 신학의 토대를 생략하곤 한다. 반면 일부 사도행전 연구는 바울 서신의 주요 주제를 모두 다루려고 시도하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거나 중요한 뉘앙스를 놓치기 쉽다. 바울의 신학을 철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경적, 신학적, 주해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체계가 필요하다.
리처드 개핀이 독자에게 사도행전과 바울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입문서를 썼다. 평생에 걸친 연구를 바탕으로 오순절의 구속사적 중요성, 종말론,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한 구속사적 성취 등의 주제에 대해 가르친다. 『사도행전과 바울 성경신학 입문』은 개혁주의와 복음주의 관점에서 사도행전과 바울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자 하는 목회자, 학생, 평신도 지도자를 위한 구속사적 교과서다.
Contents
서문
저자 서문
서론
해석과 선포
해석을 위한 도움
본해석
성경신학
신약신학
1부 사도행전의 신학
1. 오순절과 구속사
사도행전의 목적과 구조: 초기 고찰 사항
2. 예수의 가르침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개관
종말론과 신약 성경
종말론과 예수의 가르침: 하나님 나라 도래
하나님 나라 도래의 단계: 하나님의 영역과 통치
요약
3. 누가-행전에 나타난 성령과 하나님 나라
누가복음에 나타난 성령과 하나님 나라: 초기 개관
누가복음 24장과 사도행전 1장
누가복음 3장 15-18절
누가복음 3장 21-22절
누가복음 12장 49-51절
4. 오순절(1부): 다양한 측면을 가진 오순절의 기본적 의미
오순절의 구속사적 의미
오순절의 교회론적 의미
오순절의 삼위일체적 의미
요한의 신학에 대한 간략한 보충 설명
오순절의 법정적 의미
5. 오순절(2부): 두 가지 관련 문제
사도행전 2장과 요한복음 20장 22절
사도행전의 역사적 신빙성
2부 바울의 신학
6. 예비적 언급
근본적 고찰 사항
사도행전 관련 내용
바울 가르침의 의미
어려운 바울 해석사
7. 바울과 바울 해석자들
종교개혁 이전
종교개혁
종교개혁 이후
역사비평적 해석
새 관점
역사비평적 해석: 마지막 두 가지 지적
개혁파와 복음주의 진영의 최근 해석
8. 목사-신학자 바울
최초의 기독교 신학자
바울 신학을 해석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
결론
9. 바울 신학의 입구와 중심에 대한 문제
바울 신학의 중심
예수, 바울, 하나님 나라
결론
10. 종말론적 구조
바울의 두 시대 구분 사용: 배경
몇 개의 핵심 본문
바울의 두 시대 구분의 수정: 두 시대의 겹침
바울의 두 시대 구분의 수정된 사용: 요약과 결론
11. 부활(1부):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
초기 지적 사항
그리스도의 부활과 그리스도인의 부활의 통일성
결론
13. 부활과 그리스도인의 삶(1부): 직설법과 명령법
골로새서 3장 1-4절
직설법과 명령법의 관계
빌립보서 2장 12-13절
로마서 6장 1절-7장 6절: 몇 가지 지적
조직신학적 반성과 교회사적 반성
14. 부활과 그리스도인의 삶(2부): 그리스도인의 고난
고린도후서 4장 7-12절
빌립보서 3장 10-11절
그리스도인의 고난과 그리스도의 죽음
그리스도인의 고난과 그리스도의 부활
그리스도인의 고난, 그리스도의 부활, 성령
부활, 고난, 오늘날의 교회
결론
Author
리처드 개핀,김귀탁
칼빈주의 신학자이자 장로교(OPC) 목회자로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찰스 크라헤 석좌 교수로 섬기고 지금은 명예 교수로 있다. 중국에서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대만 개혁파 장로교단의 설립자였다. 칼빈 대학과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공부하고 반세기 넘게 모교의 교수로 후학을 가르치며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저서로는 『구속사와 오순절 성령 강림』(부흥과개혁사) 등이 있다.
칼빈주의 신학자이자 장로교(OPC) 목회자로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찰스 크라헤 석좌 교수로 섬기고 지금은 명예 교수로 있다. 중국에서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대만 개혁파 장로교단의 설립자였다. 칼빈 대학과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공부하고 반세기 넘게 모교의 교수로 후학을 가르치며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저서로는 『구속사와 오순절 성령 강림』(부흥과개혁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