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원경제사연구

$51.75
SKU
978896071349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12/23
Pages/Weight/Size 153*224*0mm
ISBN 9788960713499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50년간의 한ㆍ당 사원경제의 연구를 결산한 책으로, 모두 17편의 논저 30여만자를 정선했다. 교교단과 봉건국가, 세속지주와의 관계, 교단 내부의 계급구조와 경제구조, 사원경제의 각 역사적 단계에서 성쇠 변화 등 일련의 문제들을 언급했다.
Contents
내용 개요
서문

I. 중고시대의 중국 불교사원; 하자전(何玆全)
1. 머리말

2. 불교 유입과 사원의 흥기
1) 불교 유입의 시기
2) 초왕 영과 착융(?融)의 불교신앙과 사원건립
3) 사원 사회 기초의 전립(殿立)

3. 사원의 발전과 흥성
1) 승니의 증대
2) 불사의 증가
3) 재산의 증가 및 대토지의 점유

4. 사원의 조직
1) 승관제도
2) 사원의 재산제도
3) 사원 중의 계급구성

5. 국가와 사회에 대한 사원의 역할
1) 사람들에 대한 교화
2) 사람들에 대한 보호와 교육
3) 가난의 구제

6. 사원생활의 타락과 세속화
1) 술·고기와 여인
2) 고리대금
3) 교화 기능의 소실

7. 사원과 군주의 세 차례 대충돌
1) 북위 태무제 때의 충돌
2) 북주 무제 때의 충돌
3) 당 무종과 사원의 충돌

8. 사원의 쇠락
1) 장원제도의 붕괴
2) 도승권을 국유로 귀속
3) 백장 회해의 사원제도 개혁
4) 사원 특권의 상실
5) 쇠락 후의 사원 실황

II. 중고 불교사원의 자선사업; 전한승(全漢昇)
1. 가난의 구제와 재앙의 진휼
1) 정부의 사여
2) 불교도가 일을 하여 획득
3) 승기속

2. 병의 치료
1) 눈병
2) 각질(脚疾)
3) 증세(症勢)
4) 두풍(頭風)
5) 상한(傷寒: 장티푸스)
6) 난산

3. 잔인하게 죽이는 것을 금지
4. 자선사업의 선전
1) 현세에서 재앙의 소실과 복의 획득
2) 내생에는 좋은 곳으로 왕생

III. 중고 대족?사원의 영호(領戶) 연구; 하자전(何玆全)
1. 머리말
2. 대족·사원의 호구 영유의 방식
1) 의부(依附)
2) 유혹과 침탈
3) 사여
4) 비음제(庇蔭制)
5) 도승

3. 대족·사원의 호구 영유의 발전
4. 대족·사원과 영호간의 관계
1) 대족·사원영호의 국가호구에 대한 분할
2) 영호의 대족·사원에 대한 의무
3) 영호의 대족·사원에 대한 예속관계
5. 대족·사원과 국가간 영호의 쟁탈
6. 맺음말

IV. 남조의 사원과 승려; 금가서(金家瑞)

V. 『당 소성사 승랑곡 과원장지무당』이 표현하는 만당의 사원경제 상황; 형삼림(荊三林)

1. 서설
2. 원문의 단구(斷句)와 주석
3. 『소성사 지무당』에 표현된 토지병합 과정과 특징
4. 소성사의 정치임무와 경제활동
5. 승랑곡 과원장의 사회경제적 의의
6. 승랑곡 과원장의 황폐 문제

VI. 돈황 사원문서 중에서 ‘양호’의 성질; 강백근(姜伯勤)
1. 연구사 개설
2. ‘양호’의 출현―사호간량(寺戶看梁)에서 출조유량(出租油梁)으로의 변화
3. ‘양과’―사원 유량 소유권이 실현되는 경제형식
4. 양호의 분화에서 본 양호의 성질

VII. 불교경률에서 사원재산에 관한 규정; 하자전(何玆全)
1. 삼보 재물(三寶財物) ― 불물(佛物)·법물(法物)과 승물(僧物)
2. 삼보 재물을 도용(盜用)하는 것은 유죄
3. 삼보 재물은 서로 이용해서는 안 되고, 서로 이용하면 유죄
4. 삼보 재물의 대출
5. 승려 식사의 제공
6. 도속을 구휼하고 대접하는 법
7. 시주가 재물을 베푼 것에 대한 권리

VIII. 불교경률에서 승니의 사유재산에 관한 규정; 하자전(何玆全)
1. 승니의 사유재산 축적 금지에서 허락하기까지
2. 승니 사유재산 중의 경물(輕物)과 중물(重物)
3. 사망한 승려 재산의 처리
1) 사망한 승려의 사재 처리권은 사원에 귀속
2) 함께 생활하는 공동재산의 처리
3) 촉수권(囑授權)과 그 효력
4) 채무의 상환
5) 죽은 승려의 질병을 간호한 자에 대한 포상
6) 죽은 승려의 재물을 처리하는 절차와 의식

IX. 돈황 사원의 “상주백성”에 대한 논고
1. “상주백성”의 유래
2. “상주백성”의 사원에 대한 의부
3. “상주백성”의 수전(受田)·납초(納草)·상역(上役)과 단(團)으로의 편제
4. “상주백성”의 분화와 변질
5. 후론

X. 당 서주 사원 가인?노비의 방량(放良); 강백근(姜伯勤)
1. “사인(使人)”과 “가인(家人)”
1) “가인”은 사원 농업경영에서 부역을 담당
2) 가인은 사원으로부터 토지를 나누어 경작
3) 가인은 관부에 대해서 모종의 봉건의무를 부담
4) “가인”은 사원으로부터 봄옷[春衣]을 수취
2. “가인”과 노비
3. “가인”과 노비의 방량(放良)과 “서주사호”의 새로운 출현
4. 후론

XI. 돈황 사원에서 연애(??) 경영의 두 가지 형식; 강백근(姜伯勤)
1. 사원 연애(??) 소유권과 봉건 특권
2.사원 자영의 “사가애(寺家?)”―“애두승(?頭僧)”,“사가애작인(寺家?人)”과 사원이 고용한 “역박사(曆博士)”
3. 사원의 연애(??) 대부―“애호(?戶)”와 “애과(?課)”
4. 후론

XII. 당대 사원?승니의 면세 특권의 점차적인 상실에 대한 약론(略論); 사중광(謝重光)
1. 양세법(兩稅法) 이전의 사원에 대한 세금 징수 현상
2. 양세법 하에서 사원·승려들의 정세(正稅) 납부

XIII. 당 전기의 사원경제에 대한 시론; 백문고(白文固)
1. 당대 사원 대토지 점유제의 확정
1) 국가 정권의 사전(賜田)
2) 귀척·호부(貴戚豪富)의 헌납전(獻納田)
3) 소농민의 희사
4) 균전제 아래에서 승려들의 수전

2. 사원경제 점유방식의 연구와 토론
1) 종교적 공상(空想) 공산주의 사상의 재산관계에 대한 침투
2) 공동소비의 습관이 사원 재산관계에 주었던 영향
3. 사원경제의 집체 점유방식의 몇 가지 특징
1) 대형 생산자료의 “공유성”
2) 승도들의 회의 권력제
3) 사원 토지의 양도성 불가와 분할성 불가
4) 비동종간(非同宗間)의 배타성과 동종간의 비배타성(非排他性)

XIV. 남북조 수·당 승관제도의 탐구; 백문고(白文固)
1. 중앙과 지방의 승관제도
2. 기층의 승관제도

XV. 남북조시기의 사원 지주경제의 초보적인 탐구; 간수위(簡修?)·하의휘(夏毅輝)
1. 사원 지주경제와 사원지주의 형성
1) 사원의 토지재산 ― “사장(寺莊)”
2) 사원의 원(園)·림(林)·산(山)·지(池)
2. 사원경제의 착취관계
3. 사원의 고리대 자본
1) 사원 고리대 자본의 형성
2) 사원 고리대 자본의 대차(貸借) 형식
3) 사원 고리대 자본의 이자와 이자율
4. 폐불과 사원 지주경제 발전의 방향 문제

XVI.남북조 수·당 사관호(寺觀戶) 계층의 약술―천구(賤口) 의부제의 변천과 아울러 논함; 장궁(張弓)
1. 당 이전의 조기 사관호
2. 당 전기의 관사(觀寺)부곡과 관이 내려준 관호(觀戶)
3. 당조 후기의 사관 “지부(枝附)” 인호(人戶)
4. 만당 오대의 돈황 사호와 “상주백성”

XVII. 진?당(晋唐) 승관제도를 고찰하여 약술; 사중광(謝重光)
1. 사주·상좌·유나 칭호의 출현과 사원 “삼강”제의 확립
1) 사주(寺主)
2) 상좌
3) 유나
4) “삼강”제도의 확립
2. 동진·남조의 중앙·지방 승관과 승무(僧務) 기구
3. 북주 삼장(三藏), 수 오중주(五衆主), 당초 십대덕(十大德)
4. 중·만당시기 지방승관제도와 기층승관제도의 발전과 변화
1) 지방승관과 도승통사(都僧統司)
2) 기층승관과 “사아(寺衙)”
5. 진-당 승관제도 발전 변화의 추세와 그 원인

옮긴이 뒷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하자전,안순형,임대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