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다양성과 교육

$13.80
SKU
978895996821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6/30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88959968213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문화다양성 교육의 중요성과 지향점을 제시하다

‘세계화 시대’라는 말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이 단어는 시대적 상황을 대변하는 대표적인 단어다. 전 세계는 급격히 세계화되어 교류하고 있으며, 세계화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함께 공존한다. 긍정적 측면은 경제·문화·사회적 수준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반해 다양한 문화를 접하는 과정에서 문화정체성의 상실이나 언어의 다양성, 문화적 표현이 쇠퇴하는 등의 부정적 측면도 있다. 그러므로 세계화 시대에서 나타나는 여러 특징들을 살펴볼 때 문화다양성은 아주 중요한 요소일 수밖에 없다.

문화다양성은 이 시대에서 보존되어야 할 요소이며, 인류 발전을 지속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원이다. 문화는 인간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의미나 가치는 변화한다. 또한 세계화는 현 시대에 급속도로 발전되어 왔으며 그 이전에도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자 하는 노력은 과거로부터 쭉 이어져 온 것이다. 문화다양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방향성과 중요성도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대에 올바른 문화다양성의 지향점에 관해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문화다양성, 문화다양성 교육과 글로벌 시민교육, 다문화 동화 등을 살펴봄으로써 이 시대에 알맞은 문화다양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ontents
책머리에

문화다양성과 현대사회의 지향점
__(최성환)
1. 들어가는 말: 시대정신으로서의 문화다양성
2. 문화다양성 개념의 내포와 외연: 현상으로서의 문화다양성과 이념으로서의 문화다양성
3. 공동체적 삶의 의미와 문화다양성의 공간
4. 인간세계의 문화다양성과 생물세계의 종의 다양성
5. 문화다양성과 공동체의 ‘접속 지점’
6. 관용의 사회에서 인정의 사회로
7. 나가는 말: 현대사회의 공동의 생활 양식으로서의 문화다양성

문화다양성 교육의 나아갈 방향: 상호문화교육을 향하여
__(서영지)
1. 세계화와 문화다양성
2. 문화다양성과 교육
3.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상호문화교육과 상호문화 역량
4.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한국 교육의 나아갈 방향

문화다양성 교육과 글로벌 시민교육과의 관계성
__(조영미)
1. 서론
2. 문화다양성 교육과 글로벌 시민교육의 의의와 발전
3. 문화다양성 교육과 글로벌 시민교육의 관계와 시사점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동화 스토리텔링의 방향: ‘다문화 인물 시리즈’를 중심으로
__(강명주)
1. 다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문화다양성 교육의 필요성
2. 다문화 동화의 교육적 가치와 효과
3. ‘다문화 인물 시리즈’의 스토리텔링 양상
4. 다문화 동화집 스토리텔링 방향에 대한 제언

지은이 소개
Author
최성환,서영지,조영미,강명주,중앙대학교 다문화콘텐츠연구소
중앙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다. 독일 본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한국해석학회와 한국현대유럽철학회 회장을 지냈다. 주로 낭만주의 해석학, 철학적 해석학 그리고 다문화주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철학오디세이 2000』(공저), 『오늘 우리는 왜 니체를 읽는가』(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유고(1880년 초∼1881년 봄)』(니체 전집), 『오늘날 연대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해석학과 마음의 문제」, 「인공 지능의 해석학」 등이 있다.
중앙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다. 독일 본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한국해석학회와 한국현대유럽철학회 회장을 지냈다. 주로 낭만주의 해석학, 철학적 해석학 그리고 다문화주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철학오디세이 2000』(공저), 『오늘 우리는 왜 니체를 읽는가』(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유고(1880년 초∼1881년 봄)』(니체 전집), 『오늘날 연대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해석학과 마음의 문제」, 「인공 지능의 해석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