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의식의 성장 과정에서 출현한 ‘국문 사상’은 국문의 필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고 국문을 바르게 사용해야 한다는 논리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 근대 계몽기의 국문론은 현실 언어와 일치하는 국문 통일,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는 국문자 사용, 지식 보급과 문명 발전을 위한 국문 사용의 필요성 등을 주제로 삼고 있다.
Contents
제1장 언어와 근대 [허재영]
1. 언어와 근대의식
2. 계몽시대의 언어·문자
3. 근대의식과 어문 정리
4. 국문 보급과 외국어 학습
제2장 계몽운동과 언어 [김경남]
1. 지식 계몽과 언어 문제
2. 근대 지식의 형성과 국어국문
3. 지식 계몽과 역술 문헌
4. 결론
제3장 국가어와 민족어: 국어와 조선어 [정대현]
1. 국가와 민족
2. 국어와 민족어
3. 어문민족주의와 조선어
4. 결론
제4장 언문일치와 문체의 진화 [김슬옹]
1. 문체와 언문일치
2. 언문일치와 문체의 진화
3. 계몽의 언어와 개성적 문체
4. 문체 진화의 의미
제5장 민족어문 교육의 발전과 한계 [강미정]
1. 민족주의와 민족어문 교육
2. 민족어문 교육의 내재적 발전
3. 민족 담론과 민족어문 교육의 한계
4. 민족어와 국어, 그리고 한국어
Author
허재영,김경남,정대현,김슬옹,김정애
연세대 교육대학원 강사.≪한글의 탄생과 역사≫, ≪조선시대 훈민정음 발달사≫ 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연세대 교육대학원 강사.≪한글의 탄생과 역사≫, ≪조선시대 훈민정음 발달사≫ 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