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계몽기 학술 담론은 1880년대 이후 1910년 애국계몽시대에 이르기까지 급격한 변화를 보여 왔다. 개항 직후 출현한 문명?진보론은 애국계몽시대 충군애국론으로 변화해 갔으며, ‘국민’, ‘민족’, ‘국가’ 개념이 확립되면서 충군의 개념보다 ‘애국(愛國)’이 강조되는 방향을 전개되었다. 그 과정에서 국리민복(國利民福)의 학술사상이 형성되었고, 지식 체계로서 학문사상, 곧 과학주의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에서 ‘문명?진보론’, ‘사회구조론과 생존경쟁론’, ‘충군애국론’, ‘국가주의’, ‘민족주의’ 등의 근대사상이 형성되었으며, 시대 환경에 따라 이러한 이데올로기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일제 강점기의 국권 상실은 ‘문명과 진화’, ‘국가 개념’, ‘민족의 의미’ 등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제국주의의 침탈 속에 학술사상의 위축, 계몽의 주체와 운동 방식에 큰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2장에서는 문명?진보론과 진화론의 수용 과정을 좀 더 면밀히 고찰하고 있다. 문명?진보사상은 개화사상의 핵심을 이룬다. 이 사상은 점차 사회진화론과 접맥하며, ‘적자생존’, ‘우승열패’의 논리 아래 국가의 위기에 대응하는 이데올로기의 하나가 되었지만,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서는 제국주의의 침탈을 긍정하는 이데올로기로 변화되기도 하였다.
제3장에서는 근대 계몽기의 애국계몽 담론을 분석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애국사상’은 근대 계몽기 이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근대 이전의 애국사상은 ‘국가=군주’의 등식 아래 ‘충군(忠君)’의 개념이 지배적이었다. 이 경향은 갑오개혁 이전까지도 유효한 사유체계로 작용되었는데, 민권의식이 성장하면서 ‘애국’의 개념 속에 ‘입헌’이나 ‘국민’이 포함되기 시작했다. 이 점에서 근대 계몽기의 애국사상은 ‘국가, 국민, 민족’ 담론과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되며, 일제 강점기에는 이러한 개념어들이 달리 해석되는 경향도 나타난다.
제4장에서는 식민 시대의 민족 담론의 실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강점기의 민족 담론이 활성화된 시점은 1920년대 이른바 ‘문화정치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 민족 담론은 국권 상실 직후의 ‘동양주의’, ‘동아주의’ 등과 같은 일제화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제한적으로 전통과 역사, 국어를 보존하려는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 점에서 일제 강점기의 ‘민족’, ‘문화’ 개념이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식민 시대 민족 담론을 통해 전통과 민족 문화에 대한 재해석, 국토 의식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민족의 의미’를 재정립해 가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전통에 대한 인식과 국학 연구, 고전 재해석, 국토사상 등이 갖는 의미를 규명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한국 근현대 계몽사상의 특징 [허재영]
1. 근현대 시대 상황과 계몽사상
2. 한국 근대의 계몽 담론
3. 학술 계몽 담론의 변화
제2장 문명 진보론의 탄생과 진화론 [허재영]
1. 문명 진보론의 탄생
2. 문명과 개화를 바라보는 관점
3. 진화론의 수용과 영향
4. 문명?진화론에 대한 대응 방식
제3장 충군애국과 국가?민족론 [고경민]
1. 전통적 국가 개념과 근대 국가
2. 충군애국과 민족 개념의 형성
3. 근대 계몽기 ‘국가’와 ‘민족’ 담론의 한계
제4장 식민 시대의 민족 담론 [김슬옹]
1. 식민 정책과 민족 개념의 변화
2. 일제 식민정책 하의 민족 담론
3. 1920년대 사상의 조류
4. 국학(國學)과 계몽운동
제5장 식민 시대 민족의 재발견 [김경남]
1. ‘자기’와 계몽주의
2. 전통과 민족 문화
3. 민족 문화의 귀착점으로서의 ‘고전 부흥’
4. 일제 강점기 민족 재발견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