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사에서 근대는 ‘과학사상’을 기반으로 한다. 이 과학사상은 ‘수기치인’을 목표로 하는 전통적인 학문 이념과는 달리 ‘지식 탐구’를 목표로 하는 ‘학자’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이 시기 ‘학자’는 ‘신사’와 마찬가지로 ‘일반인’과 대립하는 개념이었으며, 그들에게 부여된 천직(天職)은 일반인을 교화하는 역할, 즉 계몽성을 띠고 있었다.
근대 학문이 도입되는 과정에서 ‘지식’과 ‘학문’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형성되어 갔다. 특히 ‘지식’이라는 용어는 단순한 ‘앎’ 대신 ‘학문’, ‘문견’과 합쳐져 ‘이치를 궁구하고 격치하는 행위의 결과’를 의미하는 용어로 변화해 갔다. 이 지식 개념의 성립과 확장에서 근대식 학제의 도입과 교육학의 영향 관계를 주목할 수 있는데, 교육에서 ‘지육(智育)’을 위한 ‘지식 개념’의 정립은 학과 개념의 도입과 함께 근대 학문을 이끌어 가는 동력이 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문명개화와 국가 진보를 위해 지식과 문견이 필요하다는 논리가 강화되면서 유학생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과 학문 지식이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서유견문]이나 [친목회회보]는 이러한 시대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충분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등장한다. 이러한 지식 확장은 국내의 신문과 학회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근현대 학문론과 계몽운동 연구의 대상과 방법 [허재영]
1. 서론
2. 연구 방법과 대상
3. 선행 연구
4. 연구의 지향점
제2장 한국 근대 학문 형성과 발달 방향 [허재영]
1. 학문사에서의 근대
2. 학문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자각
3. 근대의 학문 형성과 발달
4. 결론
제3장 근현대 한국의 지식 유통 상황 [김경남]
1. 개항 이전의 지식 유통
2. 개항에서 갑오개혁까지(1880~1894)
3. 근대식 학제 도입과 교과서, 신문 매체, 서적 유통(1895~1904)
4. 통감시대의 매체와 서적 유통
5. 일제 강점기의 지식 유통
제4장 한국 근현대 한국 학문의 장 1: 신문 [김경남]
1. 근현대 신문의 기능
2. 순보와 주보에 소개된 학문 사상
3. 순국문 신문의 출현과 학술 담론
4. 근대 계몽기 국한문 신문
5. 일제 강점기 신문과 학술 담론
제5장 한국 근현대 학문의 장 2: 학회보 [고경민]
1. 근대의 학회보(잡지)의 학술 담론
2. 갑오개혁과 학회보의 학술 담론
3. 애국계몽시대 학회보(잡지)의 학술 담론
4. 일제 강점기의 잡지와 학술 담론
참고문헌
Author
허재영,김경남,고경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부교수. 일본연구소장. HK+ 사업 책임자.≪일제 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우리말 연구와 문법교육의 역사≫ 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부교수. 일본연구소장. HK+ 사업 책임자.≪일제 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우리말 연구와 문법교육의 역사≫ 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