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꽃이 아니라 불꽃이었다

프란시스코 고야부터 나오미 클라인까지, 세상과 맞서 싸운 이단아들
$8.28
SKU
978895906632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5/20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59066322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그 누구도 모범으로 삼지 마라
“평생을 오롯이 자기 자신으로 살았던 57인의 삶과 투쟁”


이단아(異端兒)는 ‘전통이나 권위에 맞서 혁신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을 아웃사이더, 소수자, 반항인, 저항인, 예외자 등으로 부를 수 있고, 아방가르드(전위), 선구자, 선각자, 예지자, 예언자, 지성인, 사상가 등으로도 부를 수 있다. 그러니 주류와 대척점에 있을 수밖에 없다. 의사들의 기득권과 싸운 의사인 마이클 샤디드는 의대 입학을 제한함으로써 의사협회가 의사의 공급을 줄이고 의사의 수입을 올리는 독점 관계를 형성한다고 보고, 의사들의 의료 행위를 약탈적이라고 비판했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의사협회에 반기를 들고 의사들의 ‘의료 이기주의’를 비판했던 것이다. 결국 의사협회는 그의 의사 면허증을 박탈하고 의사협회에서 퇴출시켰다.

누구보다 사회적이면서도 반사회적인 반항아였던 헤르만 헤세는 자기 존재를 통해 개인적이고 정신적인 삶의 불멸성을 보여주었다. 즉, 그는 스스로 왕따를 자처하며, 개성은 개인이 찾는 것이지 누구도 그 개성을 대신할 수 없다고 했다. 그 누구도 누구의 모델이 될 수 없으며, 그 누구도 모범으로 살지 말라고 경고했다. 제인 애덤스와 장 지오노는 어떤 이데올로기에도 가담하지 않은 자유인이었고, 이시도르 파인스타인 스톤은 권력과 거리를 둔 영원한 아웃사이더였다. 토리 모리슨은 성차별과 인종차별에 저항했으며, 현계옥은 만주 벌판에서 여성해방과 민족해방을 위해 싸웠고, 호세 무히카는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이자, 인생을 낭비하지 않고 간소하게 살았다. 도로시 데이는 홈리스를 위해 ‘환대의 집’을 열었고, 에드윈 캐머런은 게이와 레즈비언의 평등을 위해 싸우며 차별금지 헌법을 만들어냈다.

박홍규의 『우리는 꽃이 아니라 불꽃이었다』는 루이즈 미셸부터 나오미 클라인까지, 사상과 행동의 이단아들과 프란시스코 고야부터 히치카스까지, 문학과 예술의 이단아들을 다룬다. 이들은 모두 시대와 세상 또는 나라의 주류가 아니라 비주류, 즉 대세에 따르지 않고 자기만의 길을 간 사람들이다. 이들은 자본주의와 국가와 기득권과 싸우고, 엘리트주의를 거부하고, 자유를 위해 투쟁하고, 반전운동을 벌이고, 여성해방을 부르짖고, 평화주의를 외치고, 자발적 가난을 선택하고, 환경운동의 선봉을 섰다. 이들은 그 누구보다도 평생을 오롯이 자기 자신으로 살았다.
Contents
머리말 · 4

제1부 사상과 행동의 이단아들

마스트맨에 저항한 아나코 페미니즘 | 루이즈 미셸 · 13
권력 없는 자유를 추구하다 | 표트르 크로폿킨 · 18
나는 꽃이 아니라 불꽃이었다 | 소피야 코발렙스카야 · 24
자본주의의 억압에 맞서다 | 루시 파슨스 · 29
시카고에서 대동사회를 꽃피우다 | 제인 애덤스 · 35
과학은 가장 급진적인 사회참여의 방식이다 | 마리 퀴리 · 40
의사들의 기득권과 싸운 의사 | 마이클 샤디드 · 45
폭력이 있을수록 혁명은 사라진다 | 바르트 더리흐트 · 51
어떻게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았을까? | 에른스트 블로흐 · 57
신청년의 애인이 아닌 독립운동 동지로 살다 | 현계옥 · 63
조금씩 더 가난해집시다 | 도로시 데이 · 68
폭력에 맞서 인간성을 옹호하다 | 제르맨 틸리옹 · 74
나 자신이 진실한 언론의 대변자다 | 이시도르 파인스타인 스톤 · 80
모든 불행은 거대함에서 온다 | 레오폴트 코어 · 86
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라 | 자크 엘륄 · 92
미국의 민중사를 몸으로 다시 쓰다 | 하워드 진 · 98
진영을 뛰어넘어 평화주의를 외치다 | 에드워드 파머 톰슨 · 104
전문가 시대는 인간을 불구로 만든다 | 이반 일리치 · 110
골방의 조현병을 태양 아래로 끌어내다 | 로널드 데이비드 랭 · 116
민중이 길을 만들고 길이 민중을 만든다 | A. 튜더 아리야라트네 · 121
미국의 침략적 속성을 까발리다 | H. 브루스 프랭클린 · 127
대가 없이 일하고 가난해져라 | 웬들 베리 · 132
자발적 가난을 선택하다 | 호세 무히카 · 138
‘서구 정신’의 위선을 폭로하다 | 에드워드 사이드 · 144
국가의 길들이기를 거부하라 | 제임스 스콧 · 150
평화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다 | 존 모호크 · 156
무력을 버리고 민주연합을 꿈꾸다 | 압둘라 오잘란 · 161
차별금지 헌법을 만들다 | 에드윈 캐머런 · 167
인류학을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바꾸다 | 데이비드 그레이버 · 173
명품족에서 환경운동가로 | 나오미 클라인 · 179

제2부 문학과 예술의 이단아들

세상을 모방하지 않고 시대의 진실을 그리다 | 프란시스코 고야 · 187
삶이 예술처럼 바뀌는 세상을 꿈꾸다 | 에드워드 카펜터 · 192
진실 앞에서 만인은 평등하다 | 로맹 롤랑 · 197
인류의 고통과 아픔을 끌어안다 | 케테 콜비츠 · 203
그 누구도 모범으로 삼지 마라 | 헤르만 헤세 · 209
나를 애도하지 말고 조직하라 | 조 힐 · 215
인류에게 ‘거리두기’를 권하다 | 존 로빈슨 제퍼스 · 222
어떤 이데올로기에도 가담하지 않는다 | 장 지오노 · 228
삶과 글이 완벽하게 일치하다 | 조지 오웰 · 233
내 책에 자유를 주십시오 | 바실리 그로스만 · 239
음악은 사회적인 문제다 | 존 케이지 · 245
토착의 힘으로 꽃피운 생태건축 | 로런스 베이커 · 250
20세기의 절망을 연주하다 | 헤르베르트 케겔 · 256
나쁜 평판을 당당히 노래하다 | 조르주 브라상 · 262
예수를 농민 혁명가로 그리다 |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 269
눈먼 혹은 눈뜬 시대를 투시하다 | 조제 사라마구 · 275
픽션에 진실을 담다 | 호르헤 셈프룬 · 281
나의 유일한 조국은 말이다 | 존 버거 · 287
나의 묘비명은 노코멘트 | 에드워드 애비 · 293
함께 머물고 꽃을 배우며 가벼이 떠나라 | 게리 스나이더 · 299
예술은 아름다우면서도 정치적이어야 한다 | 토니 모리슨 · 306
허약한 의지와 상처를 드러내는 것도 괜찮다 | 메리 올리버 · 312
민중의 삶을 그대로 보여주다 | 켄 로치 · 318
우리가 아닌 다른 존재도 사랑하다 | 루이스 세풀베다 · 324
착취당한 자들이여, 눈을 뜨라 | 아룬다티 로이 · 330
길거리 미술로 변혁을 꿈꾸다 | 뱅크시 · 335
힙합으로 이란의 신정정치를 흔들다 | 히치카스 · 341
Author
박홍규
1952년 경북 구미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 법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오사카시립대학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 법대·영국 노팅엄대학 법대·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연구하고, 일본 오사카대학·고베대학·리쓰메이칸대학에서 강의했다. 현재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노동법을 전공한 진보적인 법학자로 전공뿐만 아니라 정보사회에서 절실히 필요한 인문·예술학의 부활을 꿈꾸며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민주주의 법학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전공인 노동법 외에 헌법과 사법 개혁에 관한 책을 썼고, 1997년 『법은 무죄인가』로 백상출판문화상을 받았다.

그동안 『존 스튜어트 밀』, 『아돌프 히틀러』, 『누가 헤밍웨이를 죽였나』, 『카프카, 권력과 싸우다』, 『복지국가의 탄생』, 『헤세, 반항을 노래하다』, 『제우스는 죽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조지 오웰』, 『니체는 틀렸다』, 『인문학의 거짓말』, 『왜 다시 마키아벨리인가』, 『내 친구 톨스토이』, 『함석헌과 간디』, 『독학자 반 고흐가 사랑한 책』, 『독서독인』, 『마르틴 부버』, 『이반 일리히』, 『디오게네스와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다시 보기』, 『반민주적인, 너무나 반민주적인』, 『누가 아렌트와 토크빌을 읽었다 하는가』, 『윌리엄 모리스 평전』, 『삶을 사랑하고 죽음을 생각하라』, 『자유인 루쉰』 등을 집필했으며,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유한계급론』, 『군주론』, 『산업 민주주의』, 『간디가 말하는 자치의 정신』, 『간디, 비폭력 저항운동』, 『유토피아』, 『이반 일리히의 유언』, 『학교 없는 사회』, 『자유론』, 『간디 자서전』, 『오리엔탈리즘』, 『사상의 자유의 역사』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1952년 경북 구미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 법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오사카시립대학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 법대·영국 노팅엄대학 법대·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연구하고, 일본 오사카대학·고베대학·리쓰메이칸대학에서 강의했다. 현재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노동법을 전공한 진보적인 법학자로 전공뿐만 아니라 정보사회에서 절실히 필요한 인문·예술학의 부활을 꿈꾸며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민주주의 법학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전공인 노동법 외에 헌법과 사법 개혁에 관한 책을 썼고, 1997년 『법은 무죄인가』로 백상출판문화상을 받았다.

그동안 『존 스튜어트 밀』, 『아돌프 히틀러』, 『누가 헤밍웨이를 죽였나』, 『카프카, 권력과 싸우다』, 『복지국가의 탄생』, 『헤세, 반항을 노래하다』, 『제우스는 죽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조지 오웰』, 『니체는 틀렸다』, 『인문학의 거짓말』, 『왜 다시 마키아벨리인가』, 『내 친구 톨스토이』, 『함석헌과 간디』, 『독학자 반 고흐가 사랑한 책』, 『독서독인』, 『마르틴 부버』, 『이반 일리히』, 『디오게네스와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다시 보기』, 『반민주적인, 너무나 반민주적인』, 『누가 아렌트와 토크빌을 읽었다 하는가』, 『윌리엄 모리스 평전』, 『삶을 사랑하고 죽음을 생각하라』, 『자유인 루쉰』 등을 집필했으며,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유한계급론』, 『군주론』, 『산업 민주주의』, 『간디가 말하는 자치의 정신』, 『간디, 비폭력 저항운동』, 『유토피아』, 『이반 일리히의 유언』, 『학교 없는 사회』, 『자유론』, 『간디 자서전』, 『오리엔탈리즘』, 『사상의 자유의 역사』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