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보살, 정토를 설하다
『이행품易行品』 강의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5/18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57466544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대승불교 역사에서 정토에 관한 최초의 논서로 유명한 용수보살의 『이행품』에 대해 그 구성과 내용, 그 속에 담긴 핵심 사상을 상세히 설하고 있다.
Contents
역자 서문·7
제1편 『이행품』 개설·21
1. 머리말 23
1) 『입능가경』 현기(예언)의 글 23
2) 『이행품』의 별책 간행 24
3) 『이행품』 과판科判 25
4) 『이행품』의 종취宗趣 26
5) 『이행품』의 최초 27
6) 초지初地의 중요성 27
7) 이행도의 중요성 29
8) 이행도의 내용 31
9) 정토종의 초석과 지주 33
2. 어려움을 들어 쉬운 것을 청함 35
3. 질문을 꾸짖고 설하기를 허락함 37
4. 두 길로 판석함 40
1) 총체적으로 두 길로 판석하여, 고락苦樂을 들어 쉬운 길을 권장하고 어려운 길을 버림 41
2) 세 번의 상대 ― ‘제諸·구久·타墮’와 ‘일一·속速·필必’ 45
3) 난행도의 모습 46
4) 이행도의 모습 49
5. 이행품의 귀취 55
1) 이중의 상대 56
2) 용수보살의 본의 57
6. 『이행품』 행이行易의 공통점과 국한점 ― 수평적 관찰 58
1) 총체적인 찬탄과 별도 찬탄의 차이(總讚別讚之異) 59
2) 상세한 찬탄과 간략한 찬탄의 차이(詳讚略讚之異) 59
3) 찬탄의 주체와 찬탄 대상의 차이(能讚所讚之異) 59
4) 등等의 주체와 등의 대상 차이(能等所等之異) 61
5) 본원의 유무 차이(本願有無之異) 61
6) ‘항상 부름’의 유무 차이(常念有無之異) 63
7) 왕생의 유무 차이(往生有無之異) 65
8) 원생의 유무 차이(願牲有無之異) 66
9) 믿음과 의심의 유무 차이(信疑有無之異) 66
10) 승선의 유무 차이(乘船有無之異) 67
11) 회향의 유무 차이(回向有無之異) 68
12) 예언의 유무 차이(懸記有無之異) 69
7. 『이행품』의 구성차례 ― 수직적 관찰 70
1) 「시방시불장」 72
2) 「시방제불장」 72
3) 「서방일불장」(미타장) 72
4) 「과미팔불장」 72
8. 『이행품』의 핵심 ― 「미타장」의 간략한 해석 73
1) ‘칭명의 쉬운 행으로 빠르게 이름’의 게송 74
2) 「미타장」의 본원취의문 77
3) ‘현생불퇴’에 관한 게송 94
9. 정토종에 대한 『이행품』의 공적 97
1) 난이이도판 97
2) 본원칭명론 101
3) 현생불퇴론 103
10. 『이행품』 난이이도 도표 111
제2편 『이행품』 난이이도판·119
1. 난이이도판 121
2. 용수보살 122
3. ‘환희지’는 곧 ‘아비발치’ 124
4. 『십주비바사론·이행품』 126
5. ‘난행도’와 ‘이행도’ 129
6. ‘난행도’의 조건과 위험성 131
7. 사리불이 보살도를 닦다가 퇴전하고 타락한 이야기 133
8. ‘이행도’가 있어 빠르게 아유월치의 지위에 도달할 수 있다 136
9. 원을 세워 불도를 구하는 것은 삼천대천세계를 들어 올리는 것보다 더 무겁다 138
10. 믿음을 방편으로 하는 쉬운 행으로 빠르게 아유월치에 이른다 143
11. ‘이행도’가 곧 아미타불의 제18원이다 145
12. 칭명을 믿고 받아들이면 즉시 필정에 든다 147
13. 의심하지 않고 간단하지 않고 뒤섞이지 않게 부처님 명호를 칭념해야 한다 150
14. 마땅히 공경심으로 명호를 집지하여 불러야 한다 152
15. ‘믿기 어려운 법’과 ‘설하기 어려운 법’ 157
16. ‘평생업성’으로 자연스레 육도만행을 실천한다 159
17. 아미타불의 자비구제를 체득한다면 저절로 겸손하고 유연해진다 164
18. 염불하는 중생을 섭취불사한다 167
19. 신심이 청정한 이라야 꽃이 펴서 부처님을 뵐 수 있다 169
20. 아미타불의 본원선을 타고 자신도 제도하고 남도 제도한다 172
21. 겸손하고 공경하며 듣고 받들어 행하다 174
22. ‘성도문’과 ‘정토문’ 178
23. ‘성도문’은 자력수행의 가르침이다 182
24. ‘정토문’은 타력신심의 가르침이다 183
25. 앵무새도 왕생하거늘 하물며 인간이겠는가 186
26. 태자가 태어나자마자 그 귀함이 뭇 대신을 압도한다 188
27. 왕생을 원하며 오로지 부처님의 명호를 부르면 정토의 연꽃이 나타난다 191
제3편 『이행품』의 본원석에 대한 간략한 해석·195
강의 제목 197
1. 용수보살 및 『이행품』 197
2. 용수보살의 제18원에 대한 해석 200
1) 본원취의문 200
2) “약인” ― 본래 범부를 위한 것이고, 아울러 성인을 위한 것이다 204
3) “염아” “칭명” ― “내지 십념”의 “칭명염불” 209
4) “자귀” ― 일심으로 귀명하며 남의 눈치를 보지 않음 215
5) “즉입필정” ― 즉시 반드시 성불하는 불퇴전의 지위에 들어감 223
6)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음” ― 열반에 들어감 228
3. 아미타불의 본원구제 231
1) 법맥의 결택 231
2) 본원의 구제원리 233
3) 본원의 대상·방법·이익 244
4) 본원의 부름 248
5) 본원취의문은 밝은 등불과 같다 250
6) 제일 방편·요의·원돈 265
4. 용수보살 본원석 도해 272
1) “약인” 274
2) “염아” 280
3) “칭명” 293
4) “자귀” 299
5) “즉입필정” 301
6)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된다” 302
7) “그런 까닭에 항상 억념해야 한다” 302
8) 칭명하여 이 몸으로 빠르게 불퇴전에 이름 302
9) 나무아미타불을 전념함 310
제4편 『이행품』의 종취·315
1. ‘난이이도판’의 글 319
2. ‘칭명이행질지稱名易行疾至’의 게송 323
1) ‘욕질지’이지 ‘질욕지’가 아니다 324
2) 이 땅에서 이번 생에 불퇴전에 이름 325
3) 마땅히 공경하는 마음으로 명호를 집지해 칭념해야 한다 330
4) 시방제불을 염한다는 것은 역으로 아미타불 한 부처님을 염함을 나타낸 것 335
5) 아미타불은 제불의 왕이다 336
3. ‘즉입필정’의 게송 338
4. ‘귀종歸宗’의 글 338
1) “본원” ― 제18원 340
2) “여시” ― 염아·칭명·자귀·필정 344
3) “약인” ― 시방중생 346
4) “염아” ― 아미타불을 염함 348
5) “칭명” ― 오로지 아미타불의 명호를 부름 380
6) “자귀” ― 나의 나라에 태어나고자 408
7) “즉입필정” ― 만약 왕생할 수 없다면 정각을 취하지 않겠다 413
8) 평범함이 진짜이요, 염불이 최고의 즐거움이다 417
〈부록〉
『이행품』 과판·422
『이행품』 「서방일불장」 도표·424
『이행품』 원문과 번역·427
Author
혜정법사 법문,정전스님
1950년 대만에서 출생, 1977년 불광산의 성운대사에게 출가하였다. 산에서 3년간 염불수행을 하면서 정토서적을 연구함으로써 정토법문은 선도대사의 가르침이 가장 순수하고 바르며 이 시대에 적합하다고 판단, 이후로 대만과 각처에서 선도대사의 순수정토법문을 널리 펴오고 있다. 저서에 『선도대사전집』, 『법연상인전집』, 『염불감응록』 등 30여 권이 있다.
1950년 대만에서 출생, 1977년 불광산의 성운대사에게 출가하였다. 산에서 3년간 염불수행을 하면서 정토서적을 연구함으로써 정토법문은 선도대사의 가르침이 가장 순수하고 바르며 이 시대에 적합하다고 판단, 이후로 대만과 각처에서 선도대사의 순수정토법문을 널리 펴오고 있다. 저서에 『선도대사전집』, 『법연상인전집』, 『염불감응록』 등 30여 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