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상사의 대표적 철학 논쟁 중 하나이며, 한국 지성사를 한 단계 끌어올린 대론으로 평가받는, 여말선초 유교와 불교 간의 논쟁을 체계적으로 다룬 책이다. 유불 논쟁은 어떻게 시작되고, 어떤 전개 과정을 거쳤는지, 그 핵심 주제는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그리고 한국 사회에 끼친 사상적·정치적·사회적 의미는 무엇인지 등을 입체적으로 조망하였다. 조선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정치세력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사상의 교체기에, 유교와 불교가 주도권을 놓고 벌이는 한판 승부는 흥미롭기까지 하다.
Contents
책머리에·5
I. 들어가는 글 13
Ⅱ. 중국의 불교 수용-유·불 간의 교섭과 대립 23
1. 중국의 불교 수용과 중화사상·23
2. 불교의 토착화 과정에서의 유·불 논쟁·39
1) 사상적 논쟁·40
2) 사회·문화적 논쟁·45
3. 당·송대의 불교 비판과 유·불 조화론·61
1) 이단론異端論·도통론道統論 형성·63
2) 배불론의 전개·85
3) 불교 측 대응으로서의 유·불 조화론·103
Ⅲ. 고려 말 유·불 대립의 배경과 추이 127
1. 고려의 진호국가 불교와 불사佛事의 설행設行·127
1) 진호국가 사상과 호국삼부경·129
2) 고려 태조의 ‘훈요訓要’로 본 진호국가 사상·144
3) 불사와 의례의 진호국가적 성격·152
4) 「발원문」 등에 나타난 진호국가설·157
2. 고려 말 유·불 대립의 대두·165
1) 불교 비판의 시대적·사상적 배경·165
2) 사대부 계층의 불교 인식과 비판·174
3. 유교와 불교의 조화 모색·189
1) 불교 비판에 대한 고승들의 대응·189
2) 유학자들의 조화론적 불교관·202
3) 친불·배불의 이중적 불교관·210
Ⅳ. 조선 초기 배불 사상과 불교의 대응 236
1. 조선 건국과 유교 이념·236
1) 개국 주역들의 이념적 성향·236
2) 유교 국가 건설과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242
2. 조선 초기 배불 사상과 국왕들의 불교관·247
1) 유교의 기본 입장과 진호국가설의 부정·248
2) 도통론의 계승과 불교 비판·257
3) 조선 초 국왕들의 불교관·265
3. 배불 사상의 체계화와 확립·294
1) 정도전의 저술과 배불 사상·294
2) 권근의 배불·친불의 이중적 성향·318
3) 조선 초 여러 배불 사상과 후대에 끼친 영향·330
4. 배불론에 대한 불교의 대응·348
1) 원천석의 유·불 귀일론歸一論·349
2) 기화의 유·불 조화론적 대응·357
3) 조선 초 유·불 조화론의 후대 계승·382
Ⅴ. 여말선초 유·불 철학 논쟁의 특징과 의의 399
1. 정도전 배불 사상의 핵심요소·400
2. 여말선초 유·불 조화론의 특징 및 한계·420
3. 여말선초 유·불 교체의 의의·437
Ⅵ. 나가는 글 442
참고문헌·451
찾아보기·461
Author
도웅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에서 출가하였다.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논문으로 「불교 효사상의 전개?유교의 효사상과 관련하여」(석사, 2007), 「여말선초 불교와 유교의 상호대응에 관한 연구?진호국가설과 이단의 논란을 중심으로」(박사, 2017)가 있고, 저서로 『효사상과 불교』(2017), 역서로 『인도불교의 역사』(2018)가 있다.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에서 출가하였다.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논문으로 「불교 효사상의 전개?유교의 효사상과 관련하여」(석사, 2007), 「여말선초 불교와 유교의 상호대응에 관한 연구?진호국가설과 이단의 논란을 중심으로」(박사, 2017)가 있고, 저서로 『효사상과 불교』(2017), 역서로 『인도불교의 역사』(2018)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