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오한 중도의 새로운 문을 여는 지혜의 등불

중관철학, 귀류논증학파를 중심으로
$27.60
SKU
978895746421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04/1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57464212
Categories 종교 > 종교 일반
Description
대승불교의 핵심사상 중 하나인 중관철학에 대해, 티벳 교학의 권위자이면서 한국에서 티벳불교를 가르치고 있는 티벳 스님이 직접 한국어로 저술한 책으로, 중관학에 대한 개설서이자 교과서의 역할을 한다.

Contents
반야심경9
연기 찬탄문12
방장 스님 추천사27
추천사_ 지혜의 등불28

서문39

I. 귀경게53

II. 대승학파의 성립에 대하여57

III. 『입중론』의 석명釋名71

IV. 공성을 이해해야 하는 필요성74

V.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구별함84
1. 부처님 말씀을 요의경과 불요의경으로 구분해야 하는 이유84
2.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구분함86
1) 소승학파의 주장86
2)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실제로 구분함86
(1) 『해심밀경』에 의지하여 요의경과 불요의경으로 구분하는 방식87
가. 유식학 논서들의 유래87
나. 유식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분류하는 근거88
다. 유식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 각각의 정의93
라. 유식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구분하는 방법93
마. 결론103
(2) 『무진혜경』에 의지하여 요의경과 불요의경으로 구분하는 방식104
가. 중관학 논서들의 유래104
나. 중관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분류하는 근거106
다. 중관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 각각의 정의106
라. 중관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구분하는 방법108

VI. 귀류논증학파의 여덟 가지 특징111
첫째, 여덟 가지 특징을 요약해서 소개함111
둘째, 각각의 의미를 광대하게 설함113
1. 유식학파와 공통되지 않는 특징 다섯 가지114
1) 외경外境을 인정함114
(1) 유식학파의 주장114
가. 유식의 의미114
나. 유식학의 두 가지 법무아115
다. 두 가지 법무아를 설한 경의 근거117
라. 두 가지 법무아를 설한 논서의 근거120
마. 두 가지 법무아를 확립하는 논리121
①의타기성이 변계소집성으로 공한 법공(법무아)을 확립하는 논리122
ㄱ. 첫째 귀류124
ㄴ. 둘째 귀류125
ㄷ. 셋째 귀류126
②능취와 소취가 다른 실체로서 공한 법무아를 확립하는 논리127
ㄱ. 유부와 경량부가 주장한 외경127
ㄴ. 유식학파의 외경을 부정하는 논리129
(2) 귀류논증학파의 주장144
가. 귀류논증학파의 외경의 의미145
나. 외경이 없으면 과실이 있다145
다. 무경의 예시가 타당하지 않음148
라. 외경을 확립하는 논리149
마. 무경을 설한 경전의 의도153
2) 자증自證을 인정하지 않음169
(1) 유식학파의 주장169
가. 자증의 의미169
나. 자증을 확립하는 논리170
(2) 귀류논증학파의 주장173
가. 자증을 부정함173
나. 자증이 없어도 기억이 생기는 방식177
3) 아뢰야식을 인정하지 않음183
(1) 유식학파의 주장183
가. 아뢰야식의 정의183
나. 아뢰야식이 인과의 토대임185
다. 아뢰야식이 있다는 경전의 근거187
라. 아뢰야식이 있다는 논리의 여덟 가지 근거189
(2) 귀류논증학파의 주장196
가. 경론에서 아뢰야식을 설하고 설하지 않는 두 가지 방식196
나. 아뢰야식을 부정하는 논리197
다. 아뢰야식을 설한 경전의 의도200
4) 괴멸壞滅을 사물로 인정함203
(1) 괴멸을 사물로 인정하지 않는 학파의 주장203
(2) 귀류논증학파가 주장하는 괴멸의 의미204
5) 삼세三世에 대한 특별한 주장209
2. 자립논증학파와 공통되지 않는 특징 세 가지213
6) 삼승의 성자이면 법무아를 깨닫는 것으로 충족됨213
(1) 공성의 부정대상을 파악함213
가. 부정대상을 파악하는 이유213
나. 부정대상을 파악하지 못하는 허물214
다. 자립논증학파의 부정대상을 파악함217
①자립논증학파의 부정대상을 파악하는 경전의 근거217
②이 학파의 부정대상은 무엇인가220
③부정대상의 승의와 승의의 구분220
④이 학파의 부정대상의 예222
⑤이 학파가 제법을 환과 같이 확립하는 방식227
라. 귀류논증학파의 부정대상을 파악함229
①이 학파의 궁극적 부정대상은 무엇인가229
②이 학파의 부정대상을 설한 근거231
③부정대상인 ‘아我’의 두 가지 분류239
④부정대상의 예243
⑤찾아서 발견되지 않는 방식244
⑥부정대상인 ‘아’와 ‘아’의 구분247
(2) 공성의 의미249
가. 일반적으로 설함249
나. 잘못된 주장251
다. 그것을 부정함258
①성불하기 위해 두 가지 자량이 필요함258
②보리심은 성불의 주된 원인임262
③대승학파에서 자성을 유와 무로 말한 두 가지268
④실유론자와 중관학자의 자성에 대한 유무 논쟁269
⑤상견과 단견을 파악함270
⑥중관학은 없음(단견)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274
⑦유무 둘 다에 머물지 말아야 한다고 설한 경의 의미278
⑧성자의 등인지等引智가 공성을 보는 방식280
⑨무엇이든 파악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부정함283
⑩네 가지 신뢰285
⑪공성과 연기가 모순임을 보면 해탈이 불가능함289
⑫찾는 식과 찾는 방식292
⑬자성을 두 가지로 구분함296
⑭모순(상위相違)298
ㄱ. 모순의 자성과 분류298
ㄴ. 모순의 예시와 의미300
ㄷ. 모순의 체계를 알아야 하는 이유300
ㄹ. 두 가지 모순이 없다면 과실이 있음302
ⅰ. 경험과 모순되는 문제302
ⅱ. 멸제와 해탈을 성취할 수 없는 문제303
ⅲ. 무아를 결택할 수 없는 문제304
ⅳ. 도를 수행하는 주장과도 모순인 문제307
ⅴ. 경론과 모순됨309
⑮부정과 성립312
ㄱ. 부정과 성립을 일반적으로 설함313
ㄴ. 공성이 무차임을 별도로 능립함314
ⅰ. 공성이 무차임을 예시로 설함314
ⅱ. 공성이 무차라는 경의 근거316
ⅲ. 공성이 무차라는 논리의 근거320
?결론322
(3) 공성의 의미를 잘못 파악하면 과실이 큼324
(4) 공성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면 공덕이 큼330
(5) 공성은 연기와 같은 의미335
(6) 일체법은 마음으로 가립된 것일 뿐임340
(7) 두 가지 무아는 부정대상의 측면에서 거칠고 미세한 차이가 없음351
(8) 두 가지 무아를 확립하는 논리357
가. 인무아를 확립하는 논리357
나. 법무아를 확립하는 논리363
(9) 성자이면 법무아를 깨닫는 것으로 충족된다는 경전의 근거368
(10) 성자이면 법무아를 깨닫는 것으로 충족된다는 논리의 근거373
(11) 소승경전에서 공성을 설함385
7) 실집實執은 번뇌煩惱임을 인정함390
(1) 번뇌장과 소지장의 파악390
가. 두 가지 장애의 정의와 분류390
나. 이 학파의 특별한 번뇌의 파악392
다. 아비달마에서 설한 멸제는 원만한 멸제가 아님394
라. 이 학파의 특별한 소지장의 파악396
마. 이 학파의 유루, 무루의 의미399
바. 두 가지 장애를 멸하는 범위400
사. 하지下地에서 상지上地로 가는 방식402
(2) 실집은 윤회의 뿌리404
(3) 사대학파의 종성種姓에 대한 주장411
(4) 구경삼승과 일승417
가. 구경삼승을 주장하는 방식417
①구경삼승임을 경으로 확립함417
②구경삼승임을 논리로 확립함422
③반론을 논파함426
나. 구경일승을 주장하는 방식429
①구경일승임을 경으로 확립함429
②구경일승을 논리로 확립함432
ㄱ. 일체중생이 불성을 가짐.432
ㄴ. 중생 마음의 장애는 일시적임435
ㄷ. 마음의 본성은 밝음438
ㄹ. 자성주불성自性住佛性은 법성임을 확립함440
ㅁ. 구경삼승을 설한 경의 의도.445
ㅂ. 결론446
(5) 번뇌를 멸하려면 공성을 깨달아야 함449
8) 자립인自立因을 인정하지 않음461
(1) 자립인 논증의 유래462
(2) 자립인의 의미463
(3) 청변靑辨 논사가 자립인을 어떻게 인정하는가464
(4) 월칭月稱 논사가 자립인을 부정하는 방식465
가. 유법有法이 성립하지 않는 측면의 허물을 가리키는 것466
①승의勝義라는 특성을 적용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것466
②보편적 유법에 적용한다는 응답에 대해 반박함467
ㄱ. 답변을 말함468
ㄴ. 그것을 부정함469
나. 허물로 인해 자립인도 성립되지 않음을 가리키는 것473
(5) 결론473

VII. 마무리 글475

회향문477
감사의 글480
참고문헌481
Author
게쎼 텐진 남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