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동아시아 3국은 칸트철학을 어떻게 수용, 발전시켰나
-칸트철학 용어 해설 및 한국 철학계의 칸트 연구문헌 110년사 정리-
2013년 대만에서 열린 한국과 중국 학자들의 학술대회를 계기로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칸트 연구가들이 협력하여 동아시아에서 칸트철학의 수용과 활용을 다룬 논고들을 각국의 언어로 번역하여 펴내기로 했다.
가장 먼저 출간된 『동아시아의 칸트철학』은 한국어판의 책임편집을 맡은 백종현 교수(서울대, 철학)가 한국과 중국, 일본 연구가들의 7편의 논고에 한국의 관련 자료를 덧붙여 엮은 것이다. 특히 칸트의 이론철학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의 하나인 ‘초월적[성](transzendental)’의 개념을 둘러싼 논의 등 칸트철학 문헌을 한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들, 칸트철학이 유입된 이래 한국에서의 상세한 연구 상황(1905년~2014년)과 한국철학계의 칸트 연구사를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는 ‘칸트 연구문헌사 110년’은 칸트철학의 연구를 꾀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Contents
차례
책을 펴내면서 | 5
제1부 한국의 칸트철학 연구와 숙성
한국에서 칸트철학 연구의 연유와 전개(백종현) | 17
1. 한국에서 칸트철학 연구의 연유 | 17
2. 한국에서 칸트철학 수용과 연구 과정 | 21
3. 한국에서 칸트철학의 재생산적 활용 가능성 | 31
한국에서 칸트와 동양철학의 비교 연구(한자경) | 39
1. 들어가는 말 | 39
2. 칸트와 동양 사상 비교의 지평 | 42
3. 칸트와 불교 | 47
1) 칸트와 불교 일반
2) 칸트와 중관불교
3) 칸트와 유식불교
4. 칸트와 유교 | 51
1) 칸트와 공맹·순자
2) 칸트와 중국 성리학
3) 칸트와 조선 성리학
5. 마치는 말 : 격의서양철학을 꿈꾸며 | 57
제2부 중국의 칸트철학 연구와 확산
1949년 이전 중국의 칸트 연구(이명휘) | 63
1. 칸트철학이 중국에 처음 전래된 과정 | 63
2. 왕국유의 칸트 연구 | 76
3. 칸트 연구의 심화 | 90
4. 결론 | 103
1949년 이후 중국의 칸트 연구(이추영) | 105
1. 1949년부터 1978년까지의 칸트 연구 | 106
2. 1978년 이후의 칸트 연구 | 112
전후대만의 칸트 연구(이명휘) | 133
1. 대만 칸트 연구의 추동자 모종삼 | 133
2. 모종삼 영향하의 칸트 연구 | 139
3. 황진화의 칸트 연구 | 144
4. 칸트철학의 연구와 번역 | 146
5. 대만에서의 칸트철학의 발전 | 154
제3부 일본의 칸트철학 수용과 연구
일본 칸트 연구의 역사와 오늘날의 과제 1862~1945(마키노 에이지) | 163
1. 글을 시작하며 : 이 글의 목적과 고찰 범위 | 163
2. 메이지 시기 전반(1863~1886)까지의 칸트 수용사 | 167
3. 메이지 후반기(1888~1912) 칸트 연구의 주요 동향 | 173
4. 다이쇼 시대(1912~1926) 칸트 연구의 융성 | 179
5. 쇼와 전반기(1926~1945)의 번역어 논쟁으로 보는 칸트 해석사의 한 단면 | 190
6. 결론 : 이후의 전개 개관 | 196
일본 칸트 연구의 의의와 과제 1946~2013(마키노 에이지) | 201
1. 글을 시작하며 : 이 글의 목적 | 201
2.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 민주주의 시대까지 | 210
3. 일본칸트협회의 설립과 《일본칸트연구》 창간 이후 | 235
4. 포스트모더니즘 및 영미 철학의 영향 | 253
5. 칸트 사후 200년 이후의 전개 | 264
6. 결론 : 이후의 전개 개관 | 273
부록_백종현
[부록 1] 칸트철학 주요 용어의 해설 및 한국어 번역어 문제 | 283
1. 번역어와 소통의 문제 | 285
2. ‘윤리’와 관련어들 | 287
2.1 ‘윤리’
2.2 ‘명령’
3. ‘감성적/미감적’과 관련어들 | 289
3.1 ‘감성적/미감적’
3.2 ‘흡족’
3.3 ‘기예’
4. ‘지성’과 관련어들 | 293
4.1 ‘지성’
4.2 ‘포착’
4.3 ‘예취’와 ‘통각’
5. ‘선험적’과 ‘초월적’ | 297
5.1 ‘선험적[성]’의 개념
5.2 ‘초월적[성]’의 개념
6. 주요 용어 번역어 정리 | 321
6.1 칸트 주요 논저 제목[약호]
6.2 칸트철학 중요 용어 한국어 번역어(유사어 및 상관어) 표
[부록 2] 한국 철학계의 칸트 연구문헌 110년(1905~2014) | 351
[목록 I] 한국 철학계 칸트 연구
국내외 대학 석사·박사 학위 취득자 및 논문 목록 | 353
국내 대학 석사학위 취득자 및 논문 목록(총 429명) | 355
국내 대학 박사학위 취득자 및 논문 목록(총 89명) | 378
국외 대학 박사학위 취득자 및 논문 목록(총 58명) | 384
※국내 대학별 석사·박사 학위 수여자 명단(석사 429명/박사 89명) | 391
[목록 II] 한국 철학계 칸트 연구 관련 출판물 | 421
칸트의 원저(연대순) 번역서 | 423
국외 칸트 연구저술 번역서 | 430
국내 칸트 연구서 | 436
[저자별] | 436
[내용별](발췌) | 442
1. 생애와 사상 및 개괄서 | 442
2. 이론철학 분야 | 443
3. 도덕철학 분야 | 445
4. 미학 분야 | 445
5. 법철학·정치철학·사회철학 분야 | 446
6. 인간학 분야 | 446
7. 교육철학 분야 | 446
8. 종교철학 분야 | 446
9. 비교 연구 분야 |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