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미술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권력과 미술
$24.95
SKU
978895733159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hu 05/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Thu 05/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5/3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57331590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대한민국 제1공화국인 이승만 정권하 권력과 미술의 관계를 심도있게 분석한 연구서이다. 대한민국 제1공화국에서 권력에 대한 미술의 위치는 통제의 대상이자 권위를 세우기 위한 주체의 동반자로서의 위치에 겹쳐 있었다. 이 책은 미술이 권력에 의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났는지 자세히 살펴보는 연구서이다.
미군정 시기와 한국전쟁, 그리고 전후 시기까지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의 미술은 국가의 운명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전쟁 시기에는 종군 화가단과 유격대 미술인 등 선전미술적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고, 전후에는 독재 체제 유지의 한 방편으로 이승만 대통령 우상화 작업을 위해 전국 각지에 이승만 대통령의 동상이 세워지기도 했다. 미술이 국가적인 제도에 의해 운영되고 평가받은 시기에 나타난 권력과 미술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국가의 정치적 형태가 밈술에 과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증명하는 한 사례가 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도판·표 목록

제1장 서론

제2장 미술 단체와 전람회
1. 미술단체
2. 국가 미술 전람회
3. (현대미술작가초대전)
4. (현대작가초대미전)

제3장 한국전쟁기 동원 미술
1. 부역 미술인
2. 종군 화가단
3. 유격대 미술인
4. 작품

제4장 기념물로서의 동상과 영정
1. 위인
2. 미군 장군
3. 영도자

제5장 맺음말

부록
참고문헌
Author
조은정
196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구상조각평론상을 수상하였으며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총무이사와 감사를 역임하였고, 국제미술평론가협회,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원, 한국미술사학회 정회원이며, 인물미술사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원사 기획실장, 한남대학교 대학원 겸임교수,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문화산업경영학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경원대, 고려대, 국민대, 성신여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종합예술학교 등에 출강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조각미의 발견』, 『조각감상법』, 『권진규』, 『비평으로 본 한국미슬』(공저), 『한국의 미를 말하다』(공저), 『김복진의 예술세계』(공저), 『김세중』(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한국전쟁기 북한미술인의 전쟁 수행역할에 대한 연구」, 「채용신의 유림 초상화를 통한 개화기 지식인의 실천이념」, 「한국 근대미술의 일하는 여성 이미지에 대한 연구」, 「1950년대 전반 한국미술에서 타자 읽기」 등이 있다.
196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구상조각평론상을 수상하였으며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총무이사와 감사를 역임하였고, 국제미술평론가협회,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원, 한국미술사학회 정회원이며, 인물미술사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원사 기획실장, 한남대학교 대학원 겸임교수,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문화산업경영학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경원대, 고려대, 국민대, 성신여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종합예술학교 등에 출강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조각미의 발견』, 『조각감상법』, 『권진규』, 『비평으로 본 한국미슬』(공저), 『한국의 미를 말하다』(공저), 『김복진의 예술세계』(공저), 『김세중』(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한국전쟁기 북한미술인의 전쟁 수행역할에 대한 연구」, 「채용신의 유림 초상화를 통한 개화기 지식인의 실천이념」, 「한국 근대미술의 일하는 여성 이미지에 대한 연구」, 「1950년대 전반 한국미술에서 타자 읽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