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이 료이의 작품은 그 시야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으로 확대해 보면, 중국이나 조선문학과 종으로 또는 횡으로 연결되어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본서에선 『삼강행실도』와 『오토기보코』를 중심으로 하여 시점을 일본 국내로 한정하여 일본의 역사, 문화, 문학사적 배경 속에서 료이의 문학이 가지는 의의에 대하여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비교의 대상을 조선문학과 중국문학, 때로는 베트남의 문학까지 넓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속에 나타난 료이의 문학을 고찰해 나가고자 한다.
Contents
서장
1. 연구의 배경
2. 본서의 구성
제1장 일본에서의 『삼강행실도』의 수용과 아사이 료이의 번역
제1절 조선과 일본의 『삼강행실도』의 출판
1. 머리말
2. 초간본 『삼강행실도』
3. 언해초간본 『삼강행실도』
4. 선조개역본 『삼강행실도』
5. 영조개역본 『삼강행실도』
6. 기타 『삼강행실도』의 속편들
7. 맺음말
제2절 화각본의 시훈자(施訓者)와 저본(底本)
1. 머리말
2. 화각본의 시훈자(施訓者) 문제에 대한 재검토
3. 화각본의 저본을 둘러싼 문제
4. 삽화의 비교
5. 이체자(異體字)의 비교
6. 맺음말
제2장 동아시아 비교문학적인 관점에서 본 『오토기보코』의 특질
제1절 『전등신화』의 수용과 동아시아 괴이소설의 성립
1. 머리말
2. 선행연구
3. 중국문학 속에서의 『전등신화』
4. 『전등신화』의 번안과 『오토기보코』에 나타난 금기의 극복
5. 『전등신화』의 번안과 『금오신화』
6. 『전등신화』의 번안과 『전기만록』
7. 맺음말
제2절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의 「모란등기」의 인식과 「보탄토로」의 성격
1. 머리말
2. 「보탄토로」의 번안양상
3. 『전등신화』에서의 「모란등기」의 성격
4. 조선과 베트남에서의 「모란등기」에 대한 인식
5. 아사이 료이의 「모란등기」의 번안과 특질
6. 맺음말
제3절 「기생 미야기노」에 나타난 현실인식·여성관·사생관·주제
1. 머리말
2. 「기생 미야기노」의 번안 양상
3. 「기생 미야기노」에 나타난 현실인식
4. 기생과 정절
5. 「애경전」과 「기생 미야기노」의 전생(轉生)과 구원
6. 정절의 의미 및 주제의 전환
7. 맺음말
제4절 「유령이 편지를 부모에게 전하다」의 성격과 주제
1. 머리말
2. 「유령이 편지를 부모에게 전하다」의 번안 양상
3. 『금오신화』「이생규장전」-‘사랑의 성취’와 ‘정절’의 대립-
4. 『전기만록』「취소전」과 「여랑전」-정절과 가문의 존속-
5. 「유령이 편지를 부모에게 전하다」의 주제와 성격
6. 맺음말
제5절 「지옥을 보고 다시 살아나다」에 나타난 현실비판의 양상 및 지옥경험의 의미
1. 머리말
2. 선행연구
3. 「지옥을 보고 다시 살아나다」의 번안 양상
4. 인물설정의 일관성
5. 가나조시(가名草子)로서의 서술방법
6. 지옥구경과 현실비판
7. 결말구조로부터 본 지옥경험의 의미
8. 맺음말
종장
·참고문헌
·초출일람베트남의 문학까지 넓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속에 나타난 료이의 문학을 고찰해 나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