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저자가 문학 교육학을 강조한 것은 문학 교육학이라는 것이 무엇을 하는 학문인지를 확실히 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문학 교육이 문학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교육 과정과 결과를 말하는 것이라면, 문학 교육학은 그러한 현상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고, 또 그렇게 된 것을 말한다.
이 책의 대부분이 문학 작품을 읽는 것뿐 아니라 표현(창작)까지 다루면서 그 방법적인 논의를 아우르고 있는 것은 문학 교육학의 학문적 작업의 일환이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문학 읽기가 단순히 의미를 파악하는 행위가 아니라 맥락적 의미 구성의 과정이며 체험과 의식(삶)의 변화까지도 아우르는 일이라는 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문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가 특정한 양식에 한정되어 있다는 오해를 불식시키고, 그것이 시적 언어와 논증 언어 사이를 넘나들면서 다양하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환기시킨 것을 강조하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소설 교육의 문화적 의미망
제1장 다문화 시대의 소설(문학) 교육
1. 머리말
2. 다문화주의, 다문화 교육, 다문화 문학
3. 다문화 소설의 형상화: 소수 이주민의 경우
4. 다문화 시대 소설(문학) 교육의 주체 이념태와 원리
5. 맺음말
제2장 리얼리즘 소설 교육과 방향 탐색
1. 머리말
2. 리얼리즘의 개념과 리얼리즘 소설의 전개
3. 리얼리즘 소설 교육의 탐색
4. 공유경험의 확장과 공감의 가능성
5. 공감의 방법적 원리와 연대성
6. 맺음말
제3장 이광수 자전소설의 특징과 문화적 의미
1. 머리말
2. 자전소설로서의 『나-소년편』, 『나-스무 살 고개』
3. 창작 동기와 형상화의 방법
4. 자전소설의 문화적 의미
5. 맺음말
제4장 고통을 넘어 연대성 모색하기
1. 머리말
2. ‘중국 조선족’과 분단 현실을 넘어서기 위한 고통의 삶
3. 한국전쟁과 분단 현실 인식의 한계와 가능성
4. 분단 현실을 넘는 연대성 모색의 방향
5. 맺음말
제2부 문학의 존재와 문학 교육의 방법
제1장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문학 텍스트 읽기
1. 머리말
2. 구성주의 관점과 맥락적 의미 구성 인식
3. 맥락적 의미 구성으로서의 문학 텍스트 읽기
4. 맺음말
제2장 김사량 문학에 나타난 중국 체험과 의식
1. 머리말
2. 북경 체험과 대비적 비판의식의 한계
3. 조선 동포들에 대한 관심과 고통 탈출의 허구성
4. 탈출의 여로 체험과 반제투쟁의 낙관성
5. 맺음말
제3장 문학 표현 교육의 기반 탐색
1. 머리말
2. 문학 표현의 의미와 논리
3. 문학 표현의 이유
4. 문학 표현의 내용과 방법
5. 맺음말
제4장 표현 대상에 대한 명명과 화자의 관념 특성
1. 머리말
2. 대상에 대한 시점 표지로서의 명명
3. 주인공에 대한 명명과 작가-화자의 관념
4. 맺음말
제5장 문학 수업에서 글쓰기 교육의 유형과 방법
1. 머리말
2. 문학 수업에서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3. 문학 교실에서의 글쓰기 유형과 방법
4. 맺음말
제6장 문학 논술 교육의 이념과 실천 방안
1. 머리말
2. 문학 논술과 문학 논술 교육의 개념
3. 문학 논술 교육의 이념
4. 문학 논술의 유형과 문학 논술 교육의 실천 방향
5. 문학 논술 교육의 실천 전략과 방법
6. 맺음말
제3부 여행의 시대와 기행문학 교육
제1장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1. 머리말
2. 교육과정의 기행문학 교육 현황과 문제점
3. 금강산 기행문의 유형과 여행의 의미
4.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5. 맺음말
제2장 한국 근대 해외 기행문학의 양상과 의미
1. 머리말
2. ‘여행의 시대’와 근대 초기 해외 기행문학
3. 『삼천리』 소재 허헌의 구미 기행문의 양상과 의미
4. 맺음말
제4부 비평의 논리와 비평 교육
제1장 해방 후 민족문학론과 비평 교육의 과제
1. 민족문학론의 비평 교육적 인식
2. 해방 후 남한에서의 민족문학론 전개 과정
제2장 비평 행위와 현실 인식의 상관성
1. 머리말
2. 리얼리즘론의 전개 과정
3. 사실주의의 재인식과 방향 모색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