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심의 시학, 도심의 미학

$33.35
SKU
978895640809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03/29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56408095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저자는 시를 포함한 예술과 문학연구를 포함한 학문과 일상을 포함한 우리의 삶이 '수행'의 한 과정이자 양식이기를 희망하며 이 책을 출간하였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논문과 현장비평이 중심을 이루는데 이들은 한결같이 근대적 사유와 시쓰기 방식을 넘어서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Contents
책을 출간하며

제1부

일심(一心) 혹은 공심(空心)의 시적 기능에 관한 시론(試論)
─ 공감의 구조와 양상을 중심으로

1. 서론
2. 본론─공감의 구조와 그 양상
3. 결론

송욱 시에 나타난 자연과 생명― 도(道)의 의미와 작용을 중심으로
1. 서론
2. 도리(道理)에 대한 관심과 탐구
3. 도체(道體)의 환유인 자연과 생명
4. 결어

김지하 시의 음양론과 ‘치유’의 문제
1. 서론
2. 치유의 원리와 세계관
3. 결론

김지하의 시와 ‘흰 그늘의 미학’
1. ‘흰 그늘의 미학’과 김지하 시의 문제성
2. 김지하의 시에 구현된 ‘흰 그늘의 미학’
3. 결어―‘흰 그늘의 미학’이 지닌 의미와 의의

한용운의 『님의 침묵(沈默)』과
최승호의 『달마의 침묵』에 나타난 선(禪)의 세계

1. 서론
2. 선심(禪心), 선어(禪語) 그리고 시 텍스트
3. ‘님’, ‘달마’ 그리고 ‘침묵’
4. 주제와 선적(禪的) 수사학의 문제
5. 결어

제2부

일색(一色)의 상상력 혹은 무위행(無爲行)의 꿈
─ 생가(生家)에서 석가헌(夕佳軒)에 이르기까지-정진규론

1. 서론
2. 생가(生家)-밥-고향
3. 생신(生身)-공양(供養)-대지
4. 생리(生理)-양생(養生)-자연
5. 다시 생가(生家)-중생(重生)-우주

천진(天眞) 혹은 ‘나-너’의 상상력 ─ 오탁번의 시세계
1. 시작하며
2. ‘나-어머니’의 길
3. ‘나-애인’의 길
4. ‘나-자연(혹은 도인)’의 길
5. 마치며

고백 혹은 고해성사로서의 시쓰기 ─ 김종철론
1. 시선집과 핵심감정
2. 어머니의 빈 젖꼭지 빨기
3. ‘수녀님’에게 영세명 받기
4. 성부(聖父) 혹은 ‘신부(神父)님’에게 고해성사하기
5. ‘-습니다’ 체의 사용과 남는 문제

불의 시대에서 물의 시대로 ─ 장석주론1
1. 문제제기
2. 나는 졌다, 그러나 질 수가 없다
3. 나는 졌다, 그러므로 이길 수가 있었다
4. 마무리

오르내림의 언어, 드나듦의 자재(自在)함 ─ 장석주론2

가족적 상상력, 대모(大母)적 대부(大父)의 삶 ─ 김사인론
1. 글을 시작하며
2. 가족적 상상력 또는 가족 콤플렉스
3. 대모적 대부의 삶
4. 글을 마치며

비무장지대 의식 혹은 무장해제의 상상력 ─ 함민복론
1. 시작하며
2. 일가친척의 상상력
3. 자궁의 상상력
4. 흙과 물의 상상력
5. 방생(放生)의 상상력
6. 마치며

제3부

공기와 바람의 생태시학
─ 질료에서 우주적인 몸 혹은 구체(具體)가 되기까지

1. 지수화풍(地水火風) 4대(四大) 속의 공기 혹은 바람
2. 공(空)의 기운인 공기(空氣), 공(空)의 활구(活句)인 바람
3. 영기(靈氣)인 공기, 영활(靈活)로서의 바람
4. 시 속의 공기와 바람

‘자발적 가난’의 시학

설병위법(說病爲法 : 병을 법이라 설함)의 시

시어의 선택과 그 인식, 그리고 발전에 대하여

1. 시인들의 언어 선택
2. 시인들의 언어 인식
3. 시인들의 언어 발전을 기대하며

‘자아 진화사’의 근대적 자화상
1. 시작하며
2. 생식(生殖)이 멈춘 : 절망
3. 관계가 부재하는 : 단절
4. 주변을 맴도는 : 소외
5. 외부에 잠식된 : 상실
6. 애증이 교차하는 : 소망
7. 우주와 화해하는 : 열림/포용
8. 끝내며

노경(老境)의 안쪽, 시경(詩境)의 심층
1. 시작하며
2. 몸의 말, 육체의 언어
3. 시인과 시의 말
4. 인간의 말, 인류의 언어
5. 영혼의 말

생명의 언어, 지예(至藝)와 지도(至道)의 시
1. 글을 시작하며
2. 실체(實體) 없는 환영(幻影)의 실상(實相)
3. ‘참나’와 ‘참너’에 대한 갈망
4. 일심(一心)과 일체(一體)의 순간에 대한 소망
5. 진언(眞言)에 대한 갈망
6. 글을 마치며

전율, 비극적 황홀, 위반
1. 대사저인(大死底人)의 활인(活人)
2. 감동, 전율 그리고 법열
3. 동일성, 비동일성, 비극적 황홀
4. 위반과 순응
5. 마치며

우리시, 다시 태어나야만 한다
1. 자신을 ‘필터링’하라
2. 독자와 소통하라
3. 혜안(慧眼)으로 심연을 관(觀)하라
4. 혼을 넣어 헌신하라
5. 지성과 영성을 움직여라

-김수영의 비(非)발표시와 이어령의 신작시
시-인(因)과 연(緣)을 맑히고 밝히는 일

1. 정현종의 ‘글쓰기’
2. 최승자의 귀환
3. 이문재의 ‘기도’와 김남조의 ‘화해’
4. 신현정의 ‘춤’, 이규리의 ‘근원’, 고재종의 ‘조복기심(調伏其心)’

젊음의 시와 노년의 시
1. 신인에서 노년까지
2. 문제적인 젊은 시인들
3. 노년의 시와 시인들
4. 마무리

부활, 귀환, 마무리 ─ 김지하, 이윤택, 마종하의 경우
1. 김지하의 「새벽편지」 외 5편
2. 이윤택의 「노래」 외 14편
3. 마종하의 「이장근」 외 9편

발표지 목록
찾아보기
Author
정효구
1958년에 출생하여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5년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문학평론 활동을 시작하였고, 미국 럿거스대학교의 동아시아 언어문화학과에 방문교수로 체류한 바 있다. 현재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존재의 전환을 위하여』(청하, 1987), 『시와 젊음』(문학과비평사, 1989), 『현대시와 기호학』(느티나무, 1989), 『광야의 시학』(열음사, 1991), 『상상력의 모험 : 80년대 시인들』(민음사, 1992), 『우주공동체와 문학의 길』(시와시학사, 1994), 『20세기 한국시의 정신과 방법』(시와시학사, 1995), 『백석』(편저, 문학세계사, 1996), 『20세기 한국시와 비평정신』(새미, 1997), 『몽상의 시학 : 90년대 시인들』(민음사, 1998), 『한국 현대시와 자연탐구』(새미, 1998), 『시 읽는 기쁨』(작가정신, 2001), 『한국 현대시와 문명의 전환』(국학자료원, 2002), 『시 읽는 기쁨 2』(작가정신, 2003), 『재미한인문학연구』(2인 공저, 월인, 2003), 『정진규의 시와 시론 연구』(푸른사상, 2005), 『시 읽는 기쁨 3』(작가정신, 2006), 『한국 현대시와 평인(平人)의 사상』(푸른사상, 2007), 『마당 이야기』(작가정신, 2009), 『맑은 행복을 위한 345장의 불교적 명상』(푸른사상, 2010),『일심(一心)의 시학, 도심(道心)의 미학』(푸른사상사, 2011) 등의 저서가 있다. 2016년 현대불교문학상을 받았다.
1958년에 출생하여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5년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문학평론 활동을 시작하였고, 미국 럿거스대학교의 동아시아 언어문화학과에 방문교수로 체류한 바 있다. 현재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존재의 전환을 위하여』(청하, 1987), 『시와 젊음』(문학과비평사, 1989), 『현대시와 기호학』(느티나무, 1989), 『광야의 시학』(열음사, 1991), 『상상력의 모험 : 80년대 시인들』(민음사, 1992), 『우주공동체와 문학의 길』(시와시학사, 1994), 『20세기 한국시의 정신과 방법』(시와시학사, 1995), 『백석』(편저, 문학세계사, 1996), 『20세기 한국시와 비평정신』(새미, 1997), 『몽상의 시학 : 90년대 시인들』(민음사, 1998), 『한국 현대시와 자연탐구』(새미, 1998), 『시 읽는 기쁨』(작가정신, 2001), 『한국 현대시와 문명의 전환』(국학자료원, 2002), 『시 읽는 기쁨 2』(작가정신, 2003), 『재미한인문학연구』(2인 공저, 월인, 2003), 『정진규의 시와 시론 연구』(푸른사상, 2005), 『시 읽는 기쁨 3』(작가정신, 2006), 『한국 현대시와 평인(平人)의 사상』(푸른사상, 2007), 『마당 이야기』(작가정신, 2009), 『맑은 행복을 위한 345장의 불교적 명상』(푸른사상, 2010),『일심(一心)의 시학, 도심(道心)의 미학』(푸른사상사, 2011) 등의 저서가 있다. 2016년 현대불교문학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