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문학의 좌표

$27.00
SKU
978895640714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hu 05/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Thu 05/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9/2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56407142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한국 현대문학의 좌표』는 한국 현대문학은 지금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현대문학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지금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가? 등의 현대문학의 정확한 위치를 짚고자 한다. 그동안 수많은 한국문학에 대한 평가들이 과연 옳은지, 그리고 한국문학이 지금까지 이어오는 동안 어떠한 사람들이 어떠한 역할들을 했는지 차근히,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Ⅰ. 『님의 침묵』의 원천-한용운론
1. 첫 번째 소인-한학(漢學)과 한시(漢詩)
2. 두 번째 바탕-반제(反帝), 민족 운동의 불기둥
3. 세 번째 마당-초공(超空), 또는 유심 철학의 경지
1) 『불교대전(佛敎大典)』,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2) 민족불교의 불기둥
3) 개혁론의 기치
4. 또 하나의 자극 계열, R. 타골과 만해

Ⅱ. 서정과 역사적 상황-김소월론
1. 부드럽고 따뜻한 마음의 세계
2. 형태적 특성
3. 「접동새」의 울림
4. 민족적 절규와 시적 진실

Ⅲ. 시와 시대의식-이상화론
1. 낭만파 시기의 이상화
2. 대표작 「나의 침실로」
3.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세계와 그 원천

Ⅳ. 시와 그 넘어서기-양주동론
1. 제기되는 문제
2. 시 선택의 여건과 『금성』 발간
1) 무애의 시양식 선택
2) 『금성』 발간의 전후 사정
3. 무애의 시와 시론
1) 시집 『조선(朝鮮)의 맥박(脈搏)』
2) 무애의 시론
4. 시를 넘어서-맺는 말

Ⅴ. 순수와 시대상황-김영랑론
1. 서정시의 대명사
2. 박용철의 발견
3. 기법과 형태 해석
4. 암흑기의 변신, 순수시의 역사 수용

Ⅵ. 문학 절대 의식과 문단 활동-박용철론
1. 짧은 생애, 큰 발자취
2. 서정시 지상주의의 참모습
3. 하나의 원천-서구 근대시 수용
4. 시론과 미학적 실체성
1) 순수와 변용의 논리-시의 해석
2) 박용철의 실제 비평

Ⅶ. 여류시인의 법식 넘어서기-모윤숙론
1. 생동하는 의식과 함께
2. 여류시인의 탄생, 민족 정서를 바탕으로
3. 제2기의 시-내면성의 확보
4. 일제말기와 8」15 직후
5. 역사의 격랑기, 『풍랑(風浪)』의 세계

Ⅷ. 한국 현대시에 있어서의 ‘바다’
1. 현대시의 효시, 「해에게서 소년에게」
2. 새로운 문화기호로서의 바다, 육당(六堂) 시의 문학사적 의의
3. 정물화(靜物化)된 바다-김억(金億)과 김소월(金素月)
4. 임화(林和)의 바다-「현해탄(玄海灘)」과 반제 의식
5. 이 담론의 종장과 보태는 말

Ⅸ. 육당 최남선(六堂 崔南善)과 민족 문화 운동
1. 약간의 전제
2. 민족 문화 탐구 활동
3. 민족사 연구
4. 문화 유산 발굴 정리와 해석, 평가
5. 시조 부흥 운동과 육당
6. 끝자리 요약과 결론

Ⅹ. 춘원 이광수(春園 李光洙)의 민족의식
-1920년대 담론에 나타나는 점진주의의 의의
1. 들머리의 말
2. 독립선언과 상해임시정부 참여
3. 임시정부 이탈과 귀국의 논리
4. 위장형태의 민족활동, ‘민족개조론’과 그 주변
5. 점진주의의 논리와 실제

ⅩⅠ. 저항시인 윤동주(尹東柱)와 나
-후쿠오카(福岡)와 북간도 체험을 바탕으로
1. 항일 저항 시인 윤동주(尹東柱)
2. 윤동주와 후쿠오카
3. 사라진 절명(絶命)의 자리
4. 시인의 무덤, 그림자 없는 비석의 자리

ⅩⅡ. 조지훈(趙芝薰) 문학 주변과 나
1. 「승무」, 「봉황수」의 세계
2. 『청록집』의 기억
3. 고전에 대한 소양
4. 시인의 고향을 찾아
5. 「송행(送行)」과 「송인(送人)」

권말부록-50년 연구 인생의 회고(대담)
찾아보기
Author
김용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