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의례공간

$25.30
SKU
978895638547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7/12/31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56385471
Categories 종교 > 종교 일반
Description
이 책은 종교민속연구회에서 기획하여 펴내고 있는 총서의 네번째 작품이다. 종교와 민속, 민속과 종교가 다양하게 관계 맺으면서 상호침투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고 그 배경과 원리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민속종교의 '의례공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그 결과에 대한 연구논문들이 수록되어 있다.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종교라 할 수 있는 불교, 기독교, 유교 등의 의례공간을 과거와 현재에 걸쳐 미시적·거시적 관점으로 나누어 살피면서 의례공간에 대해 개별 종교가 이해하는 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다루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장 종교민속의 연구범위 재구성-이론과 총론||편무영
제2장 망혼의 공간이동을 통해 본 불교 천도의례공간의 특성||구미래
제3장 봉원사의 의례와 공간적 특성||서명진
제4장 한국 가톨릭 전례공간의 변화과정과 민속학적 의미||김영수
제5장 한국 개신교 교회의 의례공간||이복규
제6장 초기 한국 개신교의 예배당 건축의 특징||옥성득
제7장 유교 제례공간의 속성과 의미||김미영
제8장 가정신앙의 의례공간||김명자
제9장 주거민속을 통해 본 주거공간의 영역화||이영진
제10장 종족집거적인 촌락의 신앙체계||팡지엔춘.김호걸

참고문헌
찾아보기
후기
필자소개
Author
편무영,구미래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12년간 근무하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발간작업에 참여하였으며, 직장생활과 병행하여 1988년 각 분야의 한국학 전공자들과 함께 우리문화연구원을 만들어 활동하면서 10여 년간 월간 『얼과 문화』를 발간하였다. 이화여대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여 「사회적 권력관계에 따른 nonverbal communication 차이 연구」로 석사학위를, 안동대 민속학과에서 불교민속을 전공하여 「‘사십구재’의 의례체계와 의례주체들의 죽음 인식」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성보문화재연구원 연구실장, 동국대 불교대학원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종교와 노래』(공저, 민속원, 2012), 『불교 상제례 안내』(책임집필, 조계종출판사, 2011), 『사십구재』(민족사, 2010), 『불교 임종 준비와 안내』(공저, 조계종출판사, 2010), 『한국인의 죽음과 사십구재』(민속원, 2009),『종교와 그림』(공저, 2008)ㆍ『종교와 의례공간』(공저, 2007)ㆍ『종교와 일생의례』(공저, 2006)ㆍ『종교와 조상제사』(공저, 2005)ㆍ『韓國宗敎民俗試論』(공저, 2004)ㆍ『한국인의 상징세계』 등이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12년간 근무하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발간작업에 참여하였으며, 직장생활과 병행하여 1988년 각 분야의 한국학 전공자들과 함께 우리문화연구원을 만들어 활동하면서 10여 년간 월간 『얼과 문화』를 발간하였다. 이화여대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여 「사회적 권력관계에 따른 nonverbal communication 차이 연구」로 석사학위를, 안동대 민속학과에서 불교민속을 전공하여 「‘사십구재’의 의례체계와 의례주체들의 죽음 인식」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성보문화재연구원 연구실장, 동국대 불교대학원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종교와 노래』(공저, 민속원, 2012), 『불교 상제례 안내』(책임집필, 조계종출판사, 2011), 『사십구재』(민족사, 2010), 『불교 임종 준비와 안내』(공저, 조계종출판사, 2010), 『한국인의 죽음과 사십구재』(민속원, 2009),『종교와 그림』(공저, 2008)ㆍ『종교와 의례공간』(공저, 2007)ㆍ『종교와 일생의례』(공저, 2006)ㆍ『종교와 조상제사』(공저, 2005)ㆍ『韓國宗敎民俗試論』(공저, 2004)ㆍ『한국인의 상징세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