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개화기 문학 연구는 주로 이인직, 이해조, 안국선 중심으로 고착화된 기존의 연구 풍토를 확장하는 데 있었다. 이 책은 기존의 연구 방향에서 벗어나 개화기 시대 문학의 다양한 자료 발굴, 개화기의 여러 작품들이 지니고 있는 당대적인 의미와 문학사적 의미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도록 연구 관점을 넓혀 내용을 다루었다. 또 근대 문학의 연구 영역에서 연구의 논점을 예술가의 발견, 여성 육체의 재현, 민족을 상상하는 방식, 모티프 연구, 과학의 문제 등 근대문학 작품을 좀더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며 작품의 문학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기존의 문학 작품을 다루던 구태의연한 시선에서 벗어난 작가의 새롭고 다양한 접근 방식이 책을 읽는 모든 이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 줄 것이다.
Contents
제1부 개화기 소설의 시학과 해석
1 개화기 소설, 그 낯설지만 매력적인 세계
-새롭게 주목해야 하는 소설을 중심으로-
1. 문학사의 진실
2. 허명 개화와 식민화를 비판하는 소설:
「소경과 앉은뱅이 문답」, 「거부오해」
3. 기독교 수용의 문화적 의미: 「몽조」, 「다정다한」
4. 개화기 지식인들의 우울한 절망: 「요조오한」
5. 토론과 연설의 소설화: 「경세종」
6. 오락으로서의 소설과 눈부신 미완의 소설:
『목단화』,『송뢰금』
제2부 근대소설의 시학과 해석
1 1910년대 단편소설 플롯에 관한 시론적 고찰
-이인직, 양건식, 현상윤의 소설-
1. 1910년대 단편소설과 플롯
2. 이인직의 「빈선랑의 일미인」: 일상 사건의 첨가와
서사의 확장
3. 현상윤의 「핍박」: 관념의 고백과 사건의 종속
4. 양건식의 「슬픈 모순」: 사건의 환유적 반복과
사건의 중첩
5. 맺음말
2 김동인이 발견한 예술가의 의미
-「광염 소나타」와 「광화사」를 중심으로-
1. 근대문학의 풍경
2. 왜 김동인인가?
3. 추의 미 혹은 잔인한 아름다움
4. 「광염 소나타」의 예술가
5. 「광화사」의 예술가
6. 예술가의 존재 방식과 존재의 의미: 결론에
대신하여
3 「약한 자의 슬픔」다시 읽기
-여성 육체의 재현 양상과 그 문학적 의미-
1. 문제제기
2. 여성 육체의 재현과 문학적 의미
2.1 여성 육체의 재현 양상
2.2 여성 육체 재현의 문학적 의미 181
3. 맺음말
4 홍명희의 『임꺽정』연구
-민족을 상상하는 방식에 관하여-
1. 서론
2. 전 양식의 중층적 확장과 민족 전기의 창조
3. 영토의 재현과 민족 지리지의 창조
4. 결론을 대신하여
5 현진건의 『무영탑』연구
-민족을 상상하는 방식에 관하여-
1. 문제제기 및 연구방향
2. 「고도순례 경주」와 문화적 전통의 발견
3. 신흥의 문화적 전통과 민족의 상상
4. 국선도의 문화적 전통과 민족의 상상
5. 문화적 전통의 확대재생산과 수난당하는 여성들
6. 맺음말
6 부자(父子)모티프의 문학 주제학적 연구
1. 연구목적 242
2. 상고대 신화에서의 부자 모티프
3. 고소설의 부자 모티프
4. 근대소설의 부자 모티프: 『삼대』를 중심으로
5. 맺음말
7 근대소설은 과학을 어떻게 사유하는가?
1. 과학담론의 형성
2. 절대 선으로서의 서양과학
3. 의미 없는 풍경의 탄생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