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평론가이자 서강대 국문과 최성민 교수의『근대 서사 텍스트와 미디어 테크놀로지』. 이 책은 엄청난 속도로 미디어가 등장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문학이 어떤 운명을 맞이하게 될 것인가에 대한 자문의 소산이다. 저자는 기존의 ‘문학’과 ‘신매체’ 개념을 새롭게 규정한다. 특히 20세기 이후 등장한 각각의 뉴 미디어들, 즉 신문, 잡지, 연극, 영화, 방송, 인터넷 등이 기존의 서사들을 어떻게 담아냈는가를 구체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설명하였다.
Contents
차 례
책머리에
제1부 근대 서사 텍스트와 미디어의 관계
제1장_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_ 서사 텍스트의 재매개 방식과 소통
1. ‘문자성(文字性)’의 고정(固定)과 근대적 ‘문학’ 개념의 형성
1) 독서 양식의 변화와 학문적 제도의 관습
2) 근대 ‘문학’ 개념의 편협성과 그 극복의 필요성
3) 대중적 상품으로서의 서사 텍스트
2. 서사의 재매개와 서사 텍스트의 수사학적 구성
1) 서사의 재매개 역학
2) 재매개를 통한 서사 텍스트 장르의 수사학적 구성
3) 춘향 서사의 재매개 양상
제3장_ 신매체의 등장과 근대 서사 텍스트의 대중적 소통 양상
1. ‘신문’의 등장과 활자 중심 문학의 확립
1) 근대 전환기 ‘신문’의 등장과 역할
2) 사건과 발화의 재매개와 ‘기자(記者)’의 서사
3) 저널리즘과 상업성의 문학
2. ‘잡지’ 및 ‘단행본’의 유통과 문학 독자의 형성
1) 딱지본 및 단행본의 유통과 ‘동인지’ 및 ‘문예지’의 등장
2) 묘사의 재매개와 전문 문인(專門文人)의 서사
3) 예술로서의 문학의 확립과 상품으로서의 문학의 소비
3. ‘연극’ 및 ‘영화’의 등장과 서사 관객의 형성
1) 근대 연극?영화의 형성기와 서사의 조직적 생산
2) 서사의 영상적(映像的) 재매개
3) 문학과의 영향 관계와 대중적 관객의 형성
4. 전파?전자 매체의 등장과 다감각 시대의 서사
1) 전파?전자 매체의 발전과 서사의 사적(私的) 재구성
2) 청각적 재매개로의 복귀와 다감각적 재매개
3) 테크놀로지를 통한 새로운 서사 문학의 소통과 재생산
제4장_ 결론:재매개의 투명화와 반성화
제2부 보론
보론 1_ 은유의 매개와 서사의 매체
1. 개념적 은유:은유에 대한 확장적 이해
2. 텍스트의 은유:폴 리쾨르의 서사 이론과 해석 이론
3. 매체의 은유:서사, 텍스트와 신매체
4. 결론
보론 2_ 테크놀로지와 서사적 리얼리티 연구
1. 서론
2. 문자(文字) 이후의 서사적 커뮤니케이션
3. 서사의 본능과 매체의 리얼리티
4. 디지털 게임의 특성과 유형 분류 양상
5. 디지털 게임의 가능 세계와 리얼리티 유형
6. 결론
l 참고문헌 l
Author
최성민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나와 동대학원에서 「서사 텍스트와 매체의 관계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학의 매체를 확장하여, 게임, 웹툰, 영화, 드라마 등을 폭넓게 연구해 왔다. 현재는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연구교수로 일하 문학과 대중문화콘텐츠를 통해 의료인문학 연구 범위를 확장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다매체 시대의 문학이론과 비평』(2017), 『근대서사텍스트와 미디어 테크놀로지』(2012) 등이 있고, 주요논문으로 「판타지의 리얼리티 전략과 서사적 감염」, 「한국 의학드라마 연구 현황과 전망」, 「융합 시대 글쓰기 교육의 과제」, 「현대 신화 스토리텔링의 프로세스」 등이 있다.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나와 동대학원에서 「서사 텍스트와 매체의 관계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학의 매체를 확장하여, 게임, 웹툰, 영화, 드라마 등을 폭넓게 연구해 왔다. 현재는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연구교수로 일하 문학과 대중문화콘텐츠를 통해 의료인문학 연구 범위를 확장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다매체 시대의 문학이론과 비평』(2017), 『근대서사텍스트와 미디어 테크놀로지』(2012) 등이 있고, 주요논문으로 「판타지의 리얼리티 전략과 서사적 감염」, 「한국 의학드라마 연구 현황과 전망」, 「융합 시대 글쓰기 교육의 과제」, 「현대 신화 스토리텔링의 프로세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