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시문학사에서 텍스트의 생산과 전파(傳播)라는 중요 영역과 맞물리는 매체, 정전(正典)의 문제를 주제로 삼고 있다. 신문, 잡지, 단행본 등의 출판 매체들은 근대로 접어들면서 각 시기 공론장을 이끌어가는 핵심 요소로 기능하였다. 한국 현대문학은 출판 매체를 통해서 뚜렷한 문학의 장(場)을 형성할 수 있었다. 중요 문학 작품들이 출판 매체에 실렸고, 매체를 통해 근·현대문학이 정착되어 나갔기 때문에 매체에 실린 작품들은 그것이 생산된 시대 및 작가의 특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매체를 기획한 편집자의 의도 또한 담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근현대시문학을 제대로 조망하기 위해 작품이 실린 신문, 잡지, 동인지나 각종 문학 단행본에 대한 실증적 조사와 더불어 매체의 특성을 연구하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현대시의 공간과 매체
1장 1920년대 시와 매개자적 통로
1. 서론 / 2. 매개자의 역할과 '거화', '금성' / 3. 출판 미디어와 '신지식', '조선시인선집' / 4. 출판 미디어에 실린 시와 그 의미 / 5. 결론
2장 이용악 시의 공간적 특성
1. 서론 / 2. 이용악 시에 나타난 공간과 장소 1) 부재와 상실의 공간-‘집’과 ‘고향’ 2) 퇴행과 각성의 장소-‘방’과 ‘거리’ / 3. 결론
3장 이호우 시조의 공간과 매체
1. 서론 / 2. 이호우 시조의 공간과 매체 1) '문장'과 원형적 공간 2) '죽순'과 갈등의 공간 3) 전선 매체와 의지의 공간 / 3. 결론
제2부 시문학 매체의 구성담론과 이념
1장 / 해방기 시문학 매체에 나타난 시적 담론의 특성 서, 발, 후기를 중심으로
1. 서론 / 2. 해방기 출판계의 상황과 시문학 매체 / 3. 서, 발, 후기에 나타난 시적 담론의 특성 1) 자기 고백의 언술과 시적 실천 2) 헌사(獻詞), 혹은 타자를 통한 자기 응시 / 4. 결론
2장 한국전쟁 전후(前後) 문학 매체의 현황과 성격
1. 서론 / 2. 한국전쟁 전후의 문학 매체 / 3. 전선 매체의 기획과 구성담론 1) ‘전시판’ 문학 매체로의 이동 2) 숭고의 시선과 국가주의 전략 / 4. 결론
3장 한국전쟁기 팔봉 김기진의 문학 활동과 전선 매체
1. 서론 / 2. ‘인민재판’ 체험과 종군작가단 가입 / 3. '전선문학'과 반공주의 이념의 유포 / 4. 종군시와 낙관적 전망의 제시 / 5. 결론
제3부 현대시의 교재화와 정전
1장 문학교과서와 정전(正典)의 문제
1. 서론 / 2. 정전 논의의 양상 / 3. 문학교과서와 정전의 문제 / 4. 결론
2장 한국전쟁 전후, 현대시의 국어교과서 정전화(正典化) 과정
1. 서론 / 2. 한국전쟁 전후 현대시의 국어교과서 정전화 과정 1) 첨언(添言)을 통한 타자 적대화의 기획 2) 반공주의와 애국주의 담론의 결합 / 3. 결론
3장 해방기의 시조 담론과 시조문학교재의 양상
1. 서론 / 2. 해방기의 시조 담론 / 3. 해방기 시조문학 교재의 구성 양상 1) 시조 보급형 교재의 출판과 ‘독본’의 구성 2) 시조 텍스트의 수용과정과 국어교재 / 4. 결론
제4부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과 정전
1장 교실에서의 시 읽기 단계와 그 확장
1. 서론 / 2. 시 교육의 문제와 반성 / 3. 시 읽기의 모형과 단계 / 4. 확장의 다양한 방법들 / 5. 결론
2장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시교육의 방법
1. 서론 / 2. 텍스트의 상호 연계성을 통한 시 교육 1) 통과제의의 아픔과 세계와의 충돌-?바다와 나비?(김기림)와 확장된 텍스트 2) 황폐한 삶의 포착과 고향상실-?여승?(백석)과 확장된 텍스트 3) 문화론적 맥락과 정신주의-?장수산 1?(정지용)과 확장된 텍스트 / 3.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