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타나베 나오키를 중심으로 2006년 봄부터 현재까지 도쿄의 무사시대학에서 계속되어 온 '인문평론연구회'의 연구결과를 담은 책이다. 식민지 말의 문학 및 문화현상과 관련된 13편의 글이 실려 있으며, 식민지 말의 문학 및 사상의 전체상을 조망한 글과 제국문화의 위계 및 소수자문학의 네트워크를 논한 글, 그리고 국민문학의 기치 아래 창작된 실제적 창작물들과 그것이 유통되는 방식에 대해 논한 글들 다양한 연구시도를 담아냈다.
Contents
제1부 전시(戰時) 지적 협력의 논리 구조
‘사실의 세기’, 우연성, 협력의 윤리 / 차승기
1. 비상사태(예외상태)-비결정성의 세계
2. 사실/허구의 전도와 정신의 위기
3. ‘사실’또는 새로운 직접성
4. 우연성과 아이러니, 또는 ‘사실’ 을 대하는 잠정적 도덕 격률
5. ‘현실’ 표상의 붕괴와 생활의 발견
6. 시정(市井), 풍속 또는 ‘사실’의 문학화
7. 협력의 윤리적 공간
최재서의 Order / 미하라 요시아키[三原芳秋]
1. Jaisou Choe, Seoul 1963
2. 최재서와 반(反)낭만주의
3. 풍자문학론-‘그 자신의 주인’
4. 『인문평론(人文評論)』-Order 없는 order
5. 『국민문학(國民文學)』-최재서의 ‘전향’
6. 이시다 고조[石田耕造] 게이죠[京城]ㆍ쇼와[昭和] 19년
식민지 조선의 프롤레타리아 농민문학과 ‘만주’ - ‘협화’의 서사와 ‘재발명된 농본주의’ / 와타나베 나오키[渡?直紀]
1. 머리말
2. 만보산사건. ‘재발명된 농본주의’, 개척문학
3. ‘협화’ 의 서사와 ‘재발명된 농본주의‘
4. ‘만주’를 바라보는 지정학적 상상력-결론에 대신하여
제2부 세계ㆍ제국ㆍ로컬-문화의 위계와 고통의 네트워크
제국 인본과 번역(없는)정치 - 루쉰ㆍ룽잉쭝ㆍ김사량,‘아큐(阿Q)적 삶과 주권 / 황호덕
1. “흔들리는 손” -비어(秘語)와 정치
2. 제국문단의 두 문우(文友)-연옥에서 보낸 한철
3. 「아Q정전」과 「Q백작」-루쉰과 조선문학
4. 예외상태, 예외적 삶-예와 예의
일그러진 동심 - 김사량의 「빛 속으로」와 조이 코가와의 『오바상』에 그려진 인종차별의 문제 / 테드구센(Ted Goossen)
1. 재교육된 제국문학-어린이라는 타자 혹은 나
2. 복자(伏字)들의 이면, ‘어둠 속으로’-김사량의「빛 속으로」
3. 일본계 ‘캐네디안’ -조이코가와의 『오바상』
4. 인종의 침묵, 인간의 목소리-어린이, 위대한 생존자
제국, 민족, 그리고 소수자 작가 - 식민지 사소설과 식민지인 재현 난제 / 권나영(Nayong Aimee Kwon)
1. 머리말
2. ‘식민지 사소설’ -김사량과 아쿠타가와 문학상
3.「빛 속으로」-제국의 파편화된 정체성들
4. 두 식민지 작가들의 양가적 서신교환
5. 식민지 조선문학-제국의 ‘지방’ 문학
6. 맺음말
제3부 시학, 정치, 자본-국민문학의 이념과 시장
일제 말 조선인이 쓴 일본어 시의 전개과정 / 김응교
1. ‘국민문학’과 일본어 시
2. 일본어‘국민의’의 전개과정
3. 전쟁과정과 관련 없는 ‘조선적인 일본어 시’
4. 일본어 시의 연도별 작품 분포-『근대조선문학 일본어 작품집』과 『국민문학』의 경우
5. 일본어 시의 소멸과 재탄생-결론
김종한(金鍾漢)의 전향(轉向) 과정에 대하여 / 심원섭
1. 서론
2. 전향 전의 김종한
3. ‘이상적 시’와 현실의 문제
4. 유린되어 가는 청춘의 애가(哀歌)-전쟁시「살구꽃처럼」
5. 최초의 ‘사실수리론’ 과 ’신지방주의론‘
6. 전향 이후, 김종한의 전향 스타일
7. 결론
출판신체제의 성립과 조선문단의 사정 / 이종호
1. 전시체제기, 판권지(板權紙)의 전언
2. 출판신체제의 성립-유통의 광역화와 생산의 지역화
3. 광역적 유통망의 최전선-『출판보급(出版普及)』과 『잡지연감(雜誌年鑑)』, 그리고 조선의 위치
4. 조선문단의 행로와 사정- 그 일단면
제4부 미디어, 표상, 국민문화
프로파간다 영화에 나타난 젠더와 국가 - 『사무라이의 딸』과 『망루의 결사대』를 중심으로 / 이주연(Jooyeon Rhee)
1. 들어가며
2. 저항과 굴복의 함수관계
3. 창조적 예술로서의 정치적 프로파간다와 언어의 문제
4. 언어의 근원과 여성-〈사무라이의 딸〉
5. 대동아 공영권 안에서의 자매애-〈망루의 결사대〉
6. 맺음말
식민지 조선의 국민 연극 연구 - 조선연극문화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 이재명
1. 문제의 제기
2. 본론
3. 결어
무법과 범법, 쿠데타 이후의 주먹들 1960년대 한국 액션영화의 두 계열 / 이영재
1. 영화와 법- ‘국가’ 들은 반복한다
2. 법도 가깝고 주먹도 가깝다-법학자 박정희의 주권권력
3. 내 건 내가 지킨다-〈노다지〉,죄 없는 ‘살인의 추억’
4. 복종하는 야수는 경차의 국적을 묻지 않는다-〈팔도사나이〉의 범법자들
5. 믿지 않는 자가 승리한다-〈쇠사슬을 끊어라〉의 무법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