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였던 1930년대 한국소설의 주류가 리얼리즘 소설과 모더니즘 소설이며 이 둘사이의 변주가 지금에 이르기까지 소설의 창작이나 이해에 있어서 하나의 전범이 되고 있다. 이 책은 이 시기 한국 소설의 두 주류에 대해 이념과 윤리라는 일견 양립불가능해보이는 양날의 탐침을 드리워 당대 소설사의 논리와 그 속에서 내연되고 있는 문학적 파토스를 파헤쳐보려고 한 책이다.
Contents
책머리에
1부 리얼리즘소설의 이념과 윤리
1920~30년대 경향소설에 나타난 인물 유형
1. 공동체의 가치와 인물유형
2. 초기 경향소설의 단편성과 추상성
3. 「과도기」에 이르는 길
4. 「공장신문」의 급진성
5. 합행동적 사건의 문학적 의미
6. 「총동원」과 문제적 집단
7. 「여직공」과 진지한 행동주의
일제강점기 노동소설의 이념 지향성과 현실인식의 문제 : 강경애의 「인간문제」론
1. 들어가는 말
2. 이념 드러내기의 몇 가지 방식
3. 낙관적 비극의 문제
4. 긍정적 인물유형의 제시
5. 결론
『황혼』과 1930년대 노동문학의 수준
1. 들어가는 말
2. 1920년대 노동문학의 성격
3. 『황혼』의 수준
4. 결론
토지개혁의 형상화와 농본주의 사상 : 이태준의 『농토』에 대하여
1. 『농토』의 작가 - 해방의 의미
2. 토지개혁의 형상화
3. 주체성의 미학 - 농본주의 사상의 드러냄
2부 모더니즘소설의 이념과 윤리
현대적 글쓰기의 기원 : 모더니즘의 경헙과 방법에 대한 고찰
1. 모더니즘의 '아이'들
2. 유아기의 감수성
3. 고갈된 낭만주의와 나침반론
4. 모더니즘 혹은 모더니스트의 유형학
문학과 이데올로기, 주체 그리고 윤리학 : 프로문학과 모더니즘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왜상과 실상
3. 주체 혹은 주체성
4. 세 가지 윤리학
5. 결론
표층의 해석학 : 박태원의 『천변풍경』론
1. 태도 혹은 방법의 문제
2. '깨진 거울'론과 표층의 현상학
3. 모더니즘의 근대 체험과 우울증
자기모멸의 윤리학 : 이상 소설의 몇 가지 모티프(1)
1. 새로운 여행의 방식
2. 방법론 혹은 당혹감
3. 이분법의 거부
4. '태도'의 정립
5. 지도 만들기
6. 고통 혹은 자기 처벌의 논리
7. 자기모멸의 윤리학
미적 주체의 가능성 : 이상 소설의 몇 가지 모티프(2)
1. 연애담의 의미
2. 리얼리즘의 시간과 모더니즘의 시간
3. 죽음의 논리
4. 미적 주체의 가능성 혹은 절대 형식으로서의 예술
3부 자유주의 문학의 논리와 한계
유명론적 세게 이해와 개체성의 윤리학 : 염상섭과 1920년대
1. 가면 쓰기와 균혈의 사회학
2. 실패한 두 개의 실험 - 광기와 냉소의 세계
3. 원숙함과 개체성의 드라마
4. 결어 - 염상섭과 192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