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의 각 영역별로 기존 평가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국어과 평가 본연의 평가를 지향하는 평가 방식과 결과 보고 방식 등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를 담은 책이다. 연구는 전북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하면서 연구하고 있는 국어교육 현장 교사와 문학가, 한국어교육 강사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교육의 현장과 문학의 의사소통 현장에서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국어과 평가가 진정한 평가가 되기 위한 대안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초등과 중등, 그리고 세계 속의 한국어 교육의 영역까지 논의를 진행하였고, 교육과정 분류에 따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지식(문법), 문학, 한국어로 나누어 그 영역을 나누었다.
Contents
발간사
책머리에
국어과 교육 평가의 현황과 문제점 - 권순희
공감적 듣기 평가의 실제 - 소미영
1. 공감적 듣기 평가의 필요
2. 선행 연구 고찰
3. 공감적 듣기 평가의 실제
4. 공감적 듣기 평가의 결과
개별화 읽기 수업 설계를 위한 평가방법 - 안재란
1. 수업설계와 평가
2. 이론적 근거
3. 읽기 영역 수업 설계를 위한 진단 평가 요인 분석
4. 읽기 영역 진단평가 틀
5. 진단을 통한 수업 설계의 가능성
사고 구술을 활용한 읽기 과정 평가 - 임미성
1. 읽기 과정 평가의 필요성
2. 사고 구술 기법의 원리와 선행 연구
3. 사고 구술 기법을 활용한 읽기 과정 평가
4. 읽기 과정 평가의 성과와 전망
시각자료가 평가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 - 김병오
1. 연구의 필요성
2. 읽기 능력과 시각자료와의 관계
3. 제안과 전망
중학 논술의 평가 기준 - 최은경
1. 연구의 필요성
2. 중학 논술의 개념 및 특징
3. 중학 논술의 평가 기준안
4. 평가 기준안의 특징
5. 기대 효과 및 제안
초등학교 국어지식 평가의 실제 - 정승우
1. 초등학교 국어지식 평가의 양상
2. 초등학교 국어지식 평가의 실제
3. 초등학교 국어지식 평가의 개선점
학습자 정서 중심의 문학교육 평가 - 문신
1. 문학교육 평가의 전제
2. 연구 성과 검토
3. 학습자의 정서 형성을 위한 문학교육 평가
4. 마무리
한국어 작문의 숙달도 평가 방안 - 이중진
1. 한국어 작문 평가의 의의
2. 한국어 작문 평가기준 설정
3. 작문 문항 텍스트의 다양성
4. 작문 문항 제시 및 채점의 실제
5. 마무리